DOI QR코드

DOI QR Code

Analysis of the 2015 Revised Mathematics Textbooks on Quadrilaterals: Focusing on the Instructional Components of 2-D Shape

평면도형의 교수·학습 요소에 따른 사각형에 관한 2015 개정 수학 국정 및 검정 교과서 분석

  • Received : 2023.09.12
  • Accepted : 2023.10.12
  • Published : 2023.10.31

Abstract

At a time when the textbooks publishing system is changing from government-administered to certified, it is necessary to analyze textbooks published in both systems. This study analyzed one government textbook and three certified textbooks on quadrilaterals based on the instructional components that must be taught in the area of 2-D shape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was found that concept exploration was implemented appropriately, but classification activities were not presented in some lessons. In Defining Concepts, the definition of the concept was presented appropriately, but there were differences depending on the textbooks.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there was little activity in talking about the components of shapes or shapes. In applying concepts, more diverse activities were presented in certified textbooks than in government textbooks. Knowing relationships are rarely presented in textbooks due to its influence on the curriculum.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analysis of quadrilaterals, this study provides textbook writers with implications on what to further consider is dealing with quadrilaterals.

현재 교과서의 발행 체제가 국정에서 검정으로 전환되고 있다. 이러한 시점에 국정 및 검정 교과서의 비교를 통해 그 변화를 살펴보는 것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 도형 영역에서 지도할 수 있는 교수·학습 요소를 기준으로 사각형에 대한 2015 개정 수학 국정 및 검정 교과서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개념 탐구하기'는 전반적으로 적절히 구현되었으나 일부 검정 교과서의 경우 교육과정 성취기준인 분류하기를 제시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개념 알기'는 도형의 구성 요소나 도형에 대해 이야기하는 활동이 다른 활동에 비해 적게 제시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평면도형의 정의가 교과서에 따라 다르게 제시되기도 하였다. '개념 적용하기'는 국정 교과서보다 검정 교과서에서 더 다양한 활동을 제시하고 있었다. '관계 알기'는 교육과 정의 영향으로 교과서에서 거의 제시되지 않았다. 이와 같은 사각형에 대한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2022 개정 수학 교과서의 개발에 도움이 되길 기대한다.

Keywords

References

  1. 강상욱, 강승호, 김일문, 김철응, 김현중, 김현태, 박상언, 박재우 외 6인(2022). Excel.Spss.R로 배우는 통계학 입문(제 4판). 자유아카데미.
  2. 강완, 김현미(2010). 초등학교 수학과 교육과정에 근거한 도형영역 교수단위 추출 연구. 수학교육학연구, 20(3), 323-338.
  3. 강완, 나귀수, 백석윤, 이경화(2013). 초등수학 교수 단위 사전. 경문사.
  4. 강홍재, 권성룡, 김성준, 김수환, 신준식, 이대현, 이종영, 최창우(2018). 2015 교육과정에 따른 초등수학교수법. 동명사.
  5. 고은성, 김상미, 김성준, 김수환, 유현주, 이동환, 이종영, 조영미(2017). 초등수학 교과교육론. 동명사.
  6. 교육과학기술부(2011). 수학 4-2. 두산동아.
  7. 교육부(2015). 수학과 교육과정. 교육부 고시 제 2015-74호 [별책 8].
  8. 교육부(2018a). 수학 3-1. 천재교육.
  9. 교육부(2018b). 수학 4-2. 천재교육.
  10. 교육부(2018c). 수학 3-1 교사용 지도서. 천재교육.
  11. 교육부(2018d). 수학 4-2 교사용 지도서. 천재교육.
  12. 교육부(2019). 초등 3-6학년 사회, 수학, 과학 교과서 검정 전환계획 예고. 교육부 보도자료(2019. 7. 30.)
  13. 교육부(2022). 수학과 교육과정. 교육부 고시 제 2022-33호 [별책 8].
  14. 교육인적자원부(2007). 초등학교 교육과정. 교육인적자원부 고시 제 2007-79호 [별책 02].
  15. 권미선(2021). 평면도형의 교수.학습 요소에 따른 삼각형에 관한 초등학교 교과서 분석. 초등수학교육, 24(4), 233-246.
  16. 김성여, 강언진, 강요한, 고창수, 김보현, 김영준 외(2022a). 수학 3-1. 아이스크림 미디어.
  17. 김성여, 강언진, 강요한, 고창수, 김보현, 김영준 외(2022b). 수학 4-2. 아이스크림 미디어.
  18. 김성여, 강언진, 강요한, 고창수, 김보현, 김영준 외(2022c). 수학 3-1 교사용 지도서. 아이스크림 미디어.
  19. 김성여, 강언진, 강요한, 고창수, 김보현, 김영준 외(2022d). 수학 4-2 교사용 지도서. 아이스크림 미디어.
  20. 김상미(2023). 초등학생의 각 개념 형성에 나타난 수학적 은유. 수학교육, 62(1), 79-93.
  21. 김현미, 신항균(2019). 초등학교 수학과 교육과정에 따른 성취기준 변화 분석: 도형 영역을 중심으로.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23(4), 437-457.
  22. 남지현, 장혜원(2019). 초등학교 수학과 도형 영역 용어의 정의 방법에 대한 종적 분석. 학교수학, 21(1), 251-268.
  23. 도주원(2022). 초등수학 교과서의 도형 및 측정 영역에 제시된 발문의 특성. 초등수학교육, 25(4), 313-328.
  24. 박만구, 강경은, 김대진, 김도경, 김수정, 김은혜 외(2022a). 수학 3-1. 천재교육.
  25. 박만구, 강경은, 김대진, 김도경, 김수정, 김은혜 외(2022b). 수학 4-2. 천재교육.
  26. 박만구, 강경은, 김대진, 김도경, 김수정, 김은혜 외(2022c). 수학 3-1 교사용 지도서. 천재교육.
  27. 박만구, 강경은, 김대진, 김도경, 김수정, 김은혜 외(2022d). 수학 4-2 교사용 지도서. 천재교육.
  28. 박지연, 김민경(2023). 탐구형 소프트웨어를 활용한 합동과 대칭 수업에서 나타나는 초등학생의 귀납적 추론과 시각화에 관한 연구. 수학교육논문집, 37(2), 299-327.
  29. 박경미 외(2015). 2015 수학과 교육과정 개정을 위한 시안 개발 정책 연구. 한국과학창의재단.
  30. 방정숙(2010). 평면도형에 관한 초등학교 수학과 교과용 도서 분석.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13(1), 1-21.
  31. 방정숙, 권미선, 김민정, 최인영, 선우진(2016). 길이와 시간에 관한 초등학교 수학 교과서 분석. 학교수학, 18(2), 301-322.
  32. 이승은, 임재훈(2023). 점대칭도형에 대한 학생들의 이해 양상과 교육적 함의. 수학교육학연구, 33(2), 245-265.
  33. 장혜원, 박혜민, 김주숙, 임미인, 유미경, 이화영(2017). 비례식과 비례배분에 대한 초등 수학 교과서 비교 분석. 학교수학, 19(2), 229-248.
  34. 장혜원, 서동엽, 김민회, 김선, 김주숙, 김차명 외(2022a). 수학 3-1. 미래엔.
  35. 장혜원, 서동엽, 김민회, 김선, 김주숙, 김차명 외(2022b). 수학 4-2. 미래엔.
  36. 장혜원, 서동엽, 김민회, 김선, 김주숙, 김차명 외(2022c). 수학 3-1 교사용 지도서. 미래엔.
  37. 장혜원, 서동엽, 김민회, 김선, 김주숙, 김차명 외(2022d). 수학 4-2 교사용 지도서. 미래엔.
  38. 조가은, 박만구(2021). 한국과 미국 초등수학교과서의 도형 영역 발문 유형 분석.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25(3), 315-336.
  39. 조성민, 구남욱, 김현정, 이소연, 이인화(2019). OECD 국제 학업성취도 평가 연구: PISA 2018 결과 보고서. 연구보고 RRE 2019-11.
  40. 최창우(2010). 초등수학교육의 이해. 경문사.
  41. Anderson, L. W., Krathwohl, D. R., et al (Eds..) (2001). A taxonomy for learning, teaching, and assessing: A revision of bloom's taxonomy of educational objectives. Allyn & Bacon.
  42. Billstein, R., Libeskind, S., & Lott, J. W. (1990). A problem solving approach to mathematics for elementary school teachers(forth edition). The Benjamin/Cummings Publishing Company, Inc.
  43. Chval, K., Lannin, J., & Jones, D. (2016). Putting essential understanding of geometry and measurement into practice 3-5. NCTM.
  44. Clements, D. H. & Sarama, J. (2014). Learning and teaching early math: The learning trajectories approach (2nd Ed.). Routledge.
  45. Copley, J. (2017). Putting essential understanding of geometry and measurement into practice K-2. NCT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