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nsoluble components

검색결과 133건 처리시간 0.032초

Anticaries Effect of Ethanol Extract of Terminalia chebula

  • Lee, Moonkyung;Hwang, Young Sun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119-126
    • /
    • 2021
  • Background: Dental caries is mainly composed of various cellular components and is deposited around the tooth surface and gums, causing a number of periodontal diseases. Streptococcus mutans is commonly found in the human oral cavity and is a significant contributor to tooth decay. The use of antibacterial ingredients in oral hygiene products has demonstrated usefulness in the management of dental caries. This study investigated the anticaries effect of the ethanol extract of Terminalia chebula (EETC) against S. mutans and their cytotoxicity to gingival epithelial cells. Methods: The EETC was prepared from T. chebula fruit using ethanol extraction. Disk diffusion, minimum inhibitory concentration (MIC), minimum bactericidal concentration (MBC), and colony forming unit (CFU) were analyzed to investigate the antimicrobial activity of the EETC. Glucan formation was measured using the filtrate of the bacterial culture medium and sucrose. Gene expression was analyzed using reverse transcription-polymerase chain reaction (RT-PCR). Cytotoxicity was analyzed via the 3-(4,5-dimethylthiazol-2-yl)-2,5-diphenyl tetrazolium bromide assay. Results: The antibacterial activity of the EETC was explored using disc diffusion and CFU measurements. The MIC and MBC of the EETC were 10 and 20 ㎍/ml, respectively. EETC treatment decreased insoluble glucan formation by S. mutans enzymes and also resulted in reduced glycosyltransferase B (gtf B), gtf C, gtf D, and fructosyltransferase (ftf), expressions on RT-PCR. In addition, at effective antibacterial concentrations, EETC treatment was not cytotoxic to gingival epithelial cells. Conclusion: These results demonstrate that the EETC is an effective anticaries ingredient with low cytotoxicity to gingival epithelial cells. The EETC may be useful in antibacterial oral hygiene products for the management of dental caries.

미반응 레진단량체가 우식유발성 세균의 활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UNREACTED RESIN MONOMES ON THE ATIVITY OF CARIOGENIC BACTERIA)

  • 박성규;김화숙;유소영;한진주;국중기;이난영;이상호;이창섭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684-695
    • /
    • 2003
  • 본 연구는 복합레진에서 유출된 수용성 미반응단량체가 치아우식발생 원인균인 S. mutans와 S. sobrinus의 증식과 비수용성 glucan의 형성능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고자 광중합 레진전색제를 10분, 1시간, 12시간 24시간 물에 침잠시켜 레진화학물을 용출한 후 1/2, 1/4, 1/8의 농도로 첨가한 BHI broth 또는 BHI-YS에서 세균을 24시간 배양한 후, 흡광도를 측정하며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S. mutans의 성장률은 10분 용출액의 1/4 농도에서 성장조절군에 비해 현저히 감소된 반면 1/2, 1/8 농도에서는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1시간 용출액은 S. mutans의 성장을 촉진하였으며, 특히 1/2, 1/4 농도에서 성장률이 높았다. 또한 12시간, 24시간 용출액은 S. mutans의 성장에 영향을 주지 않았다. 2. S. sobrinus의 성장률은 10분 용출액의 1/4 농도에서는 현저히 억제되었으나, 1시간, 12시간 24시간 용출액은 모든 농도에서 S. sobrinus의 성장에 영향을 주지 않았다. 3. 레진용출액은 성장조절군에 비해 S. mutans의 총성장을 촉진하였으나 S. sobrinus의 총성장은 억제하였다. 4. S. mutans의 비수용성 glucan 형성능은 성장조절군에 비해 촉진되었으며, 특히 10분 용출액의 1/4농도에서 현저하였으며, 모든 용출액의 1/8농도에서는 glucan의 형성능은 감소하였다. 5. S. sobrinus의 비수용성 glucan의 형성능은 10분용출액의 1/4 농도를 제외하고는 성장대조군에 비해 감소하였다. 6. S. mutans의 비수용성 glucan의 총형성량은 S. sobrinus에서보다 약 3배 정도 높았다.

  • PDF

목란근피(牧丹根皮)의 Paeonol 및 무기성분(無機成分) 함량(含量) (Contents of Paeonol and Inorganic Components in Herbaceous Root-Bark of Paeonia moutan SIMS)

  • 정상환;서동환;박노권;김기재;최부술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2권3호
    • /
    • pp.227-233
    • /
    • 1994
  • 1990년 10월부터 1991년 5월까지 국내시판 생약중 목단근피에 대하여 생약으로서의 안전성과 유효성 및 품질 관리상의 기초자료를 연고자 생약근중에 존재하는 Paeonol 및 회분과 무기성분 함량을 조사분석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한국산 시판 목단근피중의 Paeonol 함량은 평균 0.65% 였다. 2. 회분함량은 평균 3.53%로 대한 약전규격 6.0%이하였으며 산불용성 회분은 0.77%로 기준치 1.0% 이하였다. 3. 시판 목단근피중의 총질소 평균 함량은 1.03%, 인산은 0.55%, 가리는 0.82%, 칼슘 함량은 1.50% 이었다. 4. 시판 목단근피중의 MgO는 0.21%, Fe는 325.83ppm, Cr은 1.82ppm, Cu는 3.73ppm, Zn은 18.93ppm, Mn은 21.27ppm 이었으며 인체의 잔류량 때문에 문제시 되고 었는 Hg는 각지방 별로 수집된 생약에는 검출되지 않았다. 5. 목단근피 생약중의 평균 Cd 함량은 0.25ppm였으며 Pb함량은 3.09ppm이었고 특히 생약 중 잔류량 문제로 심각한 Cd 및 Pb 함량으로 보아 국내산 시판용 목단근피로써는 큰 문제가 없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6. 국내산 목단근피는 재배기술 및 가공조제 방법에 따라 유효성분 및 무기성분들에 많은 차이가 있을 것으로 생각되어 향후 더 많은 연구검토가 요청 된다고 하겠다.

  • PDF

수리취(Synurus deltoids)의 일반성분, 무기질 및 식이섬유에 관한 연구 (Analysis of General Components, Mineral Contents, and Dietary Fiber Contents of Synurus deltoides)

  • 박민희;최병곤;임상현;김경희;허남기;유성희;김종대;이광재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0권11호
    • /
    • pp.1631-1634
    • /
    • 2011
  • 본 연구는 수리취의 식품영양학적 이용 가능성에 관한 기초적인 연구로서 일반성분, 무기질 및 식이섬유의 함량을 분석하였다. 일반성분 분석 결과, 수리취는 수분 81.1%, 조지방 0.3%, 조단백 4.2%, 조회분 2.6% 및 조섬유 3.5%를 함유하고 있었으며, 참취와 곰취는 각각 수분 87.9%, 87.9%와 조지방 0.2%, 0.2%, 조단백 3.3%, 3.3%, 조회분 1.9%, 2.0% 및 조섬유 1.6%, 1.8%를 함유하고 있었다. 수리취의 무기성분 함량을 분석한 결과, 칼륨(K)이 3,249.1 mg으로 가장 높았고 칼슘(Ca)이 854.8 mg, 마그네슘(Mg) 344.7 mg 순으로 높았으며 인(P), 나트륨(Na), 철(Fe) 순으로 분석되었고 망간(Mn), 아연(Zn), 구리(Cu)도 미량 함유되어 있었다. 참취와 곰취 역시 칼륨(K)의 함량이 각각 2,517.0 mg, 2,428.7 mg으로 가장 높았고, 칼슘(Ca) 역시 466.7 mg, 337.8 mg으로 높았으나 수리취와 비교 시 전체적인 무기 성분 함량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식이섬유 함량 분석 결과, 수리취는 불용성 식이섬유 및 수용성 식이섬유의 함량이 각각 37.9% 및 4.7%로 참취 및 곰취에 비해 높았으며, 총 식이섬유 함량이 또한 42.6%로 가장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와 같이, 수리취는 체내 영양에 필수적인 일반성분과 무기성분을 비롯한 식이섬유가 풍부하여 식품으로서 활용가치가 높을 것으로 사료된다.

${\beta}-Cyclodextrin$ 중합체와 한외여과 공정을 이용한 감귤류의 쓴맛 성분 제거 (Debittering of Citrus Products Using ${\beta}-Cyclodextrin$ Polymer and Ultrafiltration Process)

  • 우건조;하성미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9권2호
    • /
    • pp.302-308
    • /
    • 1997
  • Epichlorohydrin을 이용하여 ${\beta}-CD$ 중합체를 제조한 후 차단분자량 10,000인 막(YM 10)을 이용하여 수용성 ${\beta}-CD$ 중합체와 불용성 ${\beta}-CD$ 중합체를 분리하였다. 최적분리 조건은 막횡단압력 51.7 kPa, 운용온도 $35^{\circ}C$, 용적농축비 10이었으며, 이때의 flux는 $0.025\;mL/cm^{2}/min$ 이었다. 겔 투과 크로마토그래피 결과 수용성 중합체의 중합도는 $2{\sim}8$, 불용성 중합체는 10 이상으로 나타났으며, 이들 ${\beta}-CD$ 중합체의 소수성 물질들과의 포접 형성능을 비교하였다. 색소물질인 4-dimethylaminoazobenzene과 methyl red를 이용하여 ${\beta}-CD$${\beta}-CD$ 중합체와의 포접 능력을 측정하였다. 포접 복합체 형성 여부를 간접적으로 알 수 있는 분광학적 변화를 측정한 결과 두 색소물질 흡광도의 강도가 증가하였으며 최대 흡광도 위치가 변하였다. 감귤류의 주된 flavonoid이며 쓴맛물질인 naringin은 물에 대한 용해도가 낮으나 ${\beta}-CD$ 중합체과 포접복합체를 형성함으로써 수용성이 증가하였다. ${\beta}-CD$ 단위체보다는 ${\beta}-CD$ 중합체의 포접능력이 훨씬 강하였으며, 중합도별 포접능력에 있어 불용성 ${\beta}-CD$ 중합체와 수용성 ${\beta}-CD$ 중합체간에 큰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beta}-CD$ 단위체는 용해도가 극히 낮아 쓴맛 물질 제거 이용에 있어 제한이 있는 반면, 수용성 ${\beta}-CD$ 중합체는 용해도가 높아 감귤류 등으로부터 쓴맛 성분을 감소시키는 공정에의 이용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 PDF

느타리버섯 재배기간중 배지의 성분변화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Compositional Change of Media During Oyster Muchroom Cultivation)

  • 홍재식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7권1호
    • /
    • pp.37-46
    • /
    • 1979
  • 나왕과 소나무배지에서 느타리버섯 재배기간 중 배지의 성분변화를 파악하기 위하여 종균접종시부터 수확이 끝나는 폐상시까지의 두 가지 배지와 버섯의 여러가지 성분을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느타리버섯의 전체수량은 나왕배지에서 6.39kg/$m^2$, 소나무배지에서 6.31kg/$m^2$이었고, 양배지 모두 94% 1, 2주기에서 얻어졌다. 2) 재배기간중 양배지의 회분량은 증가 되었으나 유기물은 감소되었으며 수분은 종균접종시 약 79%이던 것이 균사번식기간 중에 다소 감소되었고 그 이후부터는 큰 변화가 없었다. 3) 두 가지 배지의 전질소는 점차적으로 감소되었고 불용성질소의 절대감소량은 수용성 질소보다 컸으며 아미노태 질소는 계속 증가의 추세를 보이었다. 4) 두 가지 배지에서 pentosan, $\alpha$-cellulose, lig-nin 및 C/N율은 점차적으로 감소되었고 환원당, trehalose, mannitol은 계속 증가의 추세를 보이었다. 5) 두 가지 배지에서 P, K, Mn, Zn은 감소되었고, Mg, Ca, Fe, Cu는 불규칙하게 변화되었다. 6) 재배기간중 CMC 당화활성과 CMC 액화활성은 균사번식후부터 2주기 수확까지는 두 가지 배지에서 점차적으로 증가되었으나 그 이후부터는 감소되었다. Xylanase활성은 1주기보다 2주기에서 급격히 상승되었고 3주기부터는 서서히 감소되었으며, protease 활성은 균사번식 후 최고의 활성도를 보였다가 점차로 감소하였다. 또한 배지의 pH는 재배기간에 걸쳐 다소 감소되었다. 7) 두 가지 배지에서 버섯의 각 주기별 성분변화는 1~3주기까지는 거의 비슷하였으나 4주기에서는 다소 감소의 추세를 보였다.

  • PDF

자색(紫色) 고구마의 영양성분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Nutritional Components of Purple Sweet Potato(Ipomoea batatas))

  • 김선영;유정희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7권5호
    • /
    • pp.819-825
    • /
    • 1995
  • 고안토시아닌을 함유한 자색고구마의 식량자원으로서의 활용도를 높히고자 엷은 황색고구마와 동시에 영양성분을 분석하였다. 자색고구마의 일반성분 중 단백질 함량이 2.01%, 무질소물이 25.73%였으며, 조지방이 0.25%로 엷은 황색 고구마보다 높았다. 총아미노산의 구성은 2품종 모두 aspartic acid, serine, alanine 및 valine이 주성분이었으며, 자색고구마일 경우 함유황 아미노산이 제1제한 아미노산이었다. 지방산의 조성은 2품종 모두 palmitic acid, linoleic acid가 80% 이상으로 주종을 이루었으며, 불포화지방산 함량이 포화지방산 함량보다 더 높았다. 2품종의 고구마 모두 탄수화물 함량은 75%이상이었고 자색고구마의 중성당 함량은 67.22%로 이중 대부분은 glucose였다. 그리고 uronic acid는 11.88%, starch 59.42%였으며, 특히 자색고구마의 유리당은 엷은 황색고구마의 1/3 정도로서 고구마 고유의 단맛이 적었다. 비타민 $B_1$, 비타민 $B_2$ niacin 함량은 2품종 모두 큰 차이는 없었으나 비타민 C의 함량은 자색고구마가 63.4mg%, 엷은 황색고구마가 48.7mg%였다. 다음 무기질 구성원소로는 자색고구마일 경우 K, Mg, Ca, Na 등이 주성분이었고, 그외 Fe, Mn, Zn, Cu, Al 등이 확인되었다. 총식이섬유는 자색고구마가 13.43%로서, 이중 수용성식이섬유가 7.74%, 불용성식이섬유는 5.69%였으며 또 엷은 황색 고구마는 총식이섬유 함량이 9.79%로 수용성, 불용성 식이섬유 함량이 비슷하였다.

  • PDF

Methodology effects on determining the energy concentration and the apparent total tract digestibility of components in diets fed to growing pigs

  • Huang, Chengfei;Li, Ping;Ma, Xiaokang;Jaworski, Neil William;Stein, Hans-Henrik;Lai, Changhua;Zhao, Jinbiao;Zhang, Shuai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31권8호
    • /
    • pp.1315-1324
    • /
    • 2018
  • Objective: An experiment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different diet formulations: F1 (Two complicated basal diets containing different crude protein levels plus tested feedstuff) vs F2 (A simple corn soybean meal [SBM] basal diet plus tested feedstuff) combined with total collection (TC) or chromic oxide ($Cr_2O_3$) marker or acid-insoluble ash (AIA) marker method, and freeze-dry or oven-dry (OD) technique on estimation of nutrient digestibility in diets fed to growing pigs. Methods: In F1, twelve barrows were allocated to two $6{\times}4$ Youden Squares. The treatment diets included a high protein basal (HPB) diet, a low protein basal (LPB) diet, a corn diet and a wheat bran (WB) diet formulated based on the HPB diet, and a SBM diet and a rapeseed meal (RSM) diet formulated based on the LPB diet. In F2, eight barrows were allocated to two $4{\times}4$ Latin Squares. The treatment diets included a corn basal diet, a SBM basal diet formulated based on the corn diet, and a WB diet and a RSM diet formulated based on the SBM diet. Results: Concentration of digestible (DE) and metabolizable energy (ME), and the apparent total tract digestibility of gross energy, ash, neutral detergent fibre, and acid detergent fibre determined by $Cr_2O_3$ marker method were greater than those determined by TC and AIA marker methods in HPB, LPB, and RSM diets formulated by F1 and in corn diet formulated by F2 (p<0.05). The DE values in WB and both DE and ME values in SBM and RSM estimated using F1 were greater than those estimated using F2 (p<0.05). Conclusion: From the accuracy aspect, the AIA marker or TC method combined with OD technique is recommended for determining the energy concentration and nutrient digestibility of components in diets fed to growing pigs.

창출 성분의 장관면역 자극을 통한 골수세포 증식활성 (Bone Marrow Cell Proliferation Activity through Intestinal Immune System by the Components of Atractylodes lancea DC.)

  • 유광원;신광순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3권1호
    • /
    • pp.135-141
    • /
    • 2001
  • 십전대보탕의 10가지 구성 천연물을 열수추출하여 장관면역 활성을 비교 검토한 결과, 창출(Atractylodes lancea DC., ALR)과 인삼(Panax ginseng C.A. Meyer, PG)에서는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으나 약한 활성을 갖는 황기(Astragalus membranacues, ASR)와 당귀(Angelica aculiloba Kitagawa, AR)를 제외하고는 어떤 생약에서도 거의 활성을 갖지 않았다. 한편 이러한 활성을 가진 생약(ALR, PG와 ASR) 중에서도 특히 ALR만이 종류, 생산지 및 육종조건에 관계없이 항상 일정하게 높은 활성을 보여주어 창출의 열수추출물 획분(ALR-0)이 십전대보탕의 장관면역 활성에 중요하게 관여하는 시료로 선정되었다. ALR-0 획분은 다시 용매별로 분획되어 메탄올-가용성 획분(ALR-1), 메탄올-불용성/에탄올-가용성 획분(ALR-2) 및 조다당 획분(ALR-3)으로 조제되었으며 이들의 활성을 측정한 결과, 단지 ALR-3 획분만이 Peyer's patch를 통한 골수세포의 증식을 활성화시키는 장관면역 활성을 시료농도에 의존적으로 나타내었으며 그 외의 획분에는 활성이 거의 없었다. 한편 ALR-3 획분을 $NaIO_4,\;NaClO_2$ 및 pronase로 처리한 후 활성을 측정한 결과, 모든 처리군에서 활성이 감소되었으며 특히 periodate 산화에 의해 심한 활성감소를 보였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십전대보탕의 장관면역 활성은 10종의 생약 중에서도 특히 창출이 중요하게 활성에 관여하는 것으로 보이며 다양한 용매별 분획을 통해 저분자보다는 에탄올에 침전된 고분자가 주요 함유물질인 조다당 획분이 장관면역 활성에 관여하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또한 periodate 산화에 의해 활성이 크게 감소되는 것으로 보아 주로 다당류가 창출의 장관면역에 중요한 활성물질인 것으로 생각된다.

  • PDF

가정에서 제조된 전통된장의 품질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home-made doenjang, a traditional Korean soybean paste)

  • 박석규;서권일;손미예;문주석;이영환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121-127
    • /
    • 2000
  • 가정에서 제조된 전통된장의 품질을 비교하기 위하여 일반성분, 유기산, 아미노산 및 지방산 조성을 조사하였다. 1. 된장의 수분, 조단백, 조지방, 적정산도(0.1N NaOH 소비 ml수)및 염도는 각각 평균 57.3%, 11.6%, 8.3%, 11.8 및 13.9%였으며, 특기 적정산도.조단백질과 염도는 시료간에 차이가 많이 나타났다. 아미노산성 질소의 함량은 평균 308.4 mg%로서 202.3∼416.3mg%의 범위로 시료간에 1.3∼2.1배 이상 차이를 나타내는 경우도 있었다. Hunter색차계의 L(명도), a(적색도), b(황색도)값은 각각 평균 37.7, +19.6, +7.5이었으며, 수용성 및 지용성 갈변물질은 각각 평균 흡광도 2.23, 0.39로서 유리 아미노산 함량이 총 아미노산 함량보다 5.7배이상 높았다. 2. 유리 및 구성아미노산의 총 함량은 각각 평균 2908.9, 9,019.3 mg%이었으며, 시료간에 1.8∼6.2배와 1.2∼2.0배의 차이가 나타났다. 가장 많은 아미노산은 glutamic acid로서 각각 576, 1,126mg%였다. 3. 유기산은 lactic acid(평균 326.8 mg%)가 가장 많았는데 시료간에 59.4∼613.4mg%의 범위로 큰 차이를 나타내었다. 총 지방산 중에 linoleic acid의 비율(평균49.24%)이 가장 높았으며, 불포화 지방산은 평균 81.97%였고, 다가불포지방산은 시료간에 51.79∼62.97%의 범위로 차이를 많이 나타내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