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insertion layer

검색결과 246건 처리시간 0.022초

자연스러운 목턱각 성형을 위한 안면부 조직확장술 (The facial tissue expansion to achieve the natural cervicomental angle)

  • 이기응;고장휴;서동국;이종욱;최재구;장영철
    • Archives of Plastic Surgery
    • /
    • 제36권5호
    • /
    • pp.629-636
    • /
    • 2009
  • Purposes: Wide scars occurring on the lower face and neck are a source of both functional and esthetic problems. Consequently, we can use skin grafts, pedicled flaps, free flaps, and tissue expansion for the reconstruction of this area. Compared with other reconstruction techniques, tissue expansion is advantageous in that it enables the maintenance of a color and texture similar to that of the adjacent tissue. However, the conventional method of tissue expansion has been reported to lead to an unnatural cervicomental angle and to the deformity of adjacent structures. We have therefore made efforts to prevent these problems through the use of several operative procedures. Methods: Forty-one patients with lower facial and cervical scars underwent tissue expansion. The tissue expansion was performed using a rectangular-shaped Nagosil$^{(R)}$ tissue expansion device. On insertion of the tissue expander, the intermediate area of superficial fat layer was dissected and then the tissue expander was inserted to make a flap that was as thin as possible. In advancement of the flap, a capsule-formed by the tissue expander-was used for the interrupted fixed suture of the flap to the fascia of the platysma muscle of the neck. This procedure was performed multiple times and also performed between the flap and the periosteum of the mandible, such that the tension was removed during the suture of the flap margin. Finally, the patients were fitted with a Jobst$^{(R)}$ facial garment in order to stabilize the operation site at least twelve months. Results: The most prevalent location of the scar was the cheek (15 cases), followed by the chin in 14 cases and the neck in 12 cases. The mean size of scar was $55.7{\pm}39.4cm^2$. Conclusions: Using our procedures, we have experienced no significant deformities and have also achieved a more natural cervicomental angle in the patients.

GFRP보강적층목재핀의 휨강도 및 인장형 전단내력 성능평가 (Performance Evaluation for Bending Strength and Tensile Type Shear Strength of GFRP Reinforced Laminated Wooden Pin)

  • 송요진;정홍주;김대길;김상일;홍순일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2권3호
    • /
    • pp.258-265
    • /
    • 2014
  • 목구조물 접합부에 기존 드리프트핀(Drift pin)을 대체하고자 단판이나 합판을 유리섬유강화플라스틱(GFRP: Glass fiber reinforced plastic)과 복합 적층시킨 GFRP보강적층목재핀을 제작하였다. 더불어 GFRP보강적층목재핀을 사용하여 집성재 접합부의 인장형 전단내력 시험을 실시하였다. GFRP 배열에 따른 보강적층목재핀의 휨강도 시험결과 GFRP를 각층에 1장씩 삽입한 시험편(Type-A)이 가장 양호한 성능을 발휘하였다. 또한 압체압력 $1.96N/mm^2$, 온도 $150^{\circ}C$에서 한 시간 열압하여 고밀화한 시험편이 고밀화하지 않은 시험편과 비교하여 휨강도 성능이 1.57배 향상됨을 확인하였으며, 하중방향에 따라 Edgewise가 Flatwise보다 3.51배 높은 성능을 발휘하였다. 시험을 통해 가장 양호한 성능을 보인 Type-A 보강적층목재핀을 이용하여 전단내력 시험을 실시하였다. 접합구의 종류와 접합판의 종류를 달리하여 시험한 결과 드리프트핀과 강판을 적용한 시험체(Type-DS)와 비교하여 GFRP보강적층목재핀과 GFRP보강목재적층판을 적용한 시험체(Type-WL)가 1.12배 높은 전단내력이 측정되었으며 최대하중 이후에도 매우 양호한 인성이 관찰되었다.

SPDT 단일고주파집적회로 스위치용 pHEMT 채널구조 설계 (Design of pHEMT channel structure for single-pole-double-throw MMIC switches)

  • 문재경;임종원;장우진;지흥구;안호균;김해천;박종욱
    • 한국진공학회지
    • /
    • 제14권4호
    • /
    • pp.207-214
    • /
    • 2005
  • 본 연구에서는 스위치, 위상변위기, 감쇄기등 전파제어회로를 설계 및 제작할 수 있는 pHEMT스위치 소자에 적합한 에피구조를 설계하였다. 고성능의 스위치 소자를 위한 pHEMT 채널층 구조는 이중 면도핑층을 가지며 사용 중 게이트 전극의 전계강도가 약한 깊은 쪽 채널층의 Si 면농도가 상층부보다 약 1/4정도 낮을 경우 격리도등 우수한 특성을 보였다. 설계된 에피구조와 ETRI의 $0.5\mu$m pHEMT MMIC 공정을 이용하여 2.4GHz 및 5GHz 대역 표준 무선랜 단말기에 활용 가능한 SPDT Tx/Rx MMIC 스위치를 설계 및 제작하였다. 제작된 SPDT형 스위치는 주파수 6.0 GHz, 동작전압 0/-3V에서 삽입손실 0.849 dB, 격리도 32.638 dB, 그리고 반사손실 11.006 dB의 특성을 보였으며, 전력전송능력인 $P\_{1dB}$는 약 25dBm, 그리고 선형성의 척도인 IIP3는 42 dBm 이상으로 평가되었다. 이와 같은 칩의 성능은 본 연구에서 개발된 SPDT 단일고주파집적회로 스위치가 2.4GHz뿐만 아니라 SGHB 대역 무선랜 단말기에 활용이 충분히 가능함을 말해준다.

R.F. Sputtering 방법에 의한 상변화형 광디스크의 $(ZnS)_{1-x}(SiO_2)_x$ 보호막 형성에 미치는 전극거리의 영향 (The Effects of Electrode Distance on the Formation of $(ZnS)_{1-x}(SiO_2)_x$ Protective Films in Phase Change Optical Disk by R.F. Sputtering Method)

  • 이준호;김도훈
    • 한국재료학회지
    • /
    • 제9권12호
    • /
    • pp.1245-1251
    • /
    • 1999
  • 상변화형 광디스크는 직접 반복기록에 의한 고속기록, 고밀도화가 가능하고 높은 전송속도, 재생신호의 C/N (carrier to noise) 비가 좋은 장점을 가지고 있으나 반복되는 열에너지에 의한 디스크의 변형과 소거도의 저하, 기록 반복성의 저하가 문제가 된다. 이러한 반복성의 저하를 개선하기 위해 적절한 디스크의 구조와 기록막의 상하부에 유전체 보호막인 ZnS-$SiO_2$ 박막층을 삽입하였다. 박막 제조시 많은 실험변수의 제어를 위해 다꾸찌 방법을 통하여 타겟 R.F. Power 200W, 기판 R.F. Power 20W, 아르곤 압력 4mTorr, 전극거리 6cm의 최적조건을 얻을수 있었다. TEM과 XRD분석 결과, 전극거리가 가까워질수록 높은 증착속도로 인하여 미세한 조직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일정거리 이상 가까워지면 막의 morphology에 나쁜 영향을 끼침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막의 morphology의 영향으로 투과율이 감소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AFM과 SEM분석에서는 전극거리가 가까워질수록 높은 증착속도로 인하여 morphology에 나쁜 영향을 끼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최적조건에서 증착한 박막은 우수한 morphology를 가진 초미세구조의 치밀하고 결함이 없는 박막이었다. 이 박막은 상변화형 광디스크에서 열적 변형을 억제하고, 열전도를 감소시켜 우수한 유전체 보호피막의 역할을 할 수 있다. 그리고, 전극거리가 ZnS결정립의 크기와 증착속도, morphology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고찰하였다.

  • PDF

수궐음 심포경근의 해부학적 고찰 (Study on the Anatomical Pericardium Meridian Muscle in Human)

  • 박경식
    • Korean Journal of Acupuncture
    • /
    • 제22권1호
    • /
    • pp.67-74
    • /
    • 2005
  • Objectives : This study was carried to identify the component of the Pericardium Meridian Muscle in human. Methods : The regional muscle group was divided into outer, middle, and inner layer. The inner part of body surface were opened widely to demonstrate muscles, nerve, blood vessels and to expose the inner structure of the Pericardium Meridian Muscle in the order of layers. Results We obtained the results as follows; He Perfcardium Meridian Muscle composed of the muscles, nerves and blood vessels. In human anatomy, it is present the difference between terms (that is, nerves or blood vessels which control the muscle of the Pericardium Meridian Muscle and those which pass near by the Pericardium Meridian Muscle). The inner composition of the Pericardium Meridian Muscle in human is as follows ; 1) Muscle P-1 : pectoralis major and minor muscles, intercostalis muscle(m.) P-2 : space between biceps brachialis m. heads. P-3 : tendon of biceps brachialis and brachialis m. P-4 : space between flexor carpi radialis m. and palmaris longus m. tendon(tend.), flexor digitorum superficialis m., flexor digitorum profundus m. P-5 : space between flexor carpi radialis m. tend. and palmaris longus m. tend., flexor digitorum superficialis m., flexor digitorum profundus m. tend. P-6 : space between flexor carpi radialis m. tend. and palmaris longus m. tend., flexor digitorum profundus m. tend., pronator quadratus m. H-7 : palmar carpal ligament, flexor retinaculum, radiad of flexor digitorum superficialis m. tend., ulnad of flexor pollicis longus tend. radiad of flexor digitorum profundus m. tend. H-8 : palmar carpal ligament, space between flexor digitorum superficialis m. tends., adductor follicis n., palmar interosseous m. H-9 : radiad of extensor tend. insertion. 2) Blood vessel P-1 : lateral cutaneous branch of 4th. intercostal artery, pectoral br. of Ihoracoacrornial art., 4th. intercostal artery(art) P-3 : intermediate basilic vein(v.), brachial art. P4 : intermediate antebrachial v., anterior interosseous art. P-5 : intermediate antebrarhial v., anterior interosseous art. P-6 : intermediate antebrachial v., anterior interosseous art. P-7 : intermediate antebrachial v., palmar carpal br. of radial art., anterior interosseous art. P-8 : superficial palmar arterial arch, palmar metacarpal art. P-9 : dorsal br. of palmar digital art. 3) Nerve P-1 : lateral cutaneous branch of 4th. intercostal nerve, medial pectoral nerve, 4th. intercostal nerve(n.) P-2 : lateral antebrachial cutaneous n. P-3 : medial antebrachial cutaneous n., median n. musrulocutaneous n. P-4 : medial antebrachial cutaneous n., anterior interosseous n. median n. P-5 : median n., anterior interosseous n. P-6 : median n., anterior interosseous n. P-7 : palmar br. of median n., median n., anterior interosseous n. P-8 : palmar br. of median n., palmar digital br. of median n., br. of median n., deep br. of ulnar n. P-9 : dorsal br. of palmar digital branch of median n. Conclusions : This study shows some differences from already established study on meridian Muscle.

  • PDF

가잠(家蠶)으로부터 분리(分離)된 새로운 Microsporidia S80의 특성(特性) (Characteristics of New Microsporidia S80 Isolated from Silkworm, Bombyx mori L. in Korea)

  • 임종성;조세연
    • Current Research on Agriculture and Life Sciences
    • /
    • 제1권
    • /
    • pp.67-83
    • /
    • 1983
  • 1980년(年) 한국(韓國)에서 발견(發見)된 Microsporidia S 80은 포자(胞子)의 길이가 $2.9{\pm}0.28{\mu}$ 폭(幅)이 $1.7{\pm}0.29{\mu}$으로 난원형(卵圓形)인데 그 크기가 형태(形態)로 보아 누에에 기생(寄生)하는 Microsporidia로서 지금까지 한국(韓國)이나 일본(日本)에서 알려진 것 들과는 다른 것이다. 과산화수소(過酸化水素) 원액(原液)으로 처리(處理)하였을때에 추출(抽出)된 극사(極絲)의 길이는 평균(平均) $26{\mu}$이었고 극사(極絲)의 선단(先端)에서 둥근 모양의 sporoplasm이 돌출(突出)되어 있는 것이 관찰(觀察)되었다. 한편 포자(胞子)는 Giemsa, Safranin-O, Gram 등(等)의 염색(染色)에서 부분적(部分的)으로 염색(染色)되는 특징(特徵)이 나타났으며, 전자현미경(電子顯微鏡)으로 관찰(觀察)한 포자(胞子)의 미세구조(微細構造)는 제일 바깥 부분(部分)이 전자밀도(電子密度)가 높고 요철(凹凸)이 있는 얇은 exospore로 둘러싸여 있고 그 안쪽에는 투명(透明)하고 두꺼운 endospore가 있는데 endospor는 포자(胞子)의 정단부(頂端部)가 다른 부위(部位)보다 상당히 얇은데 이곳으로 극사(極絲)가 추출(抽出)되는 것으로 생각된다. endospore와 cytoplasm과의 경계부(境界部)에는 세포질(細胞質)을 싸고 있는 한층(層)의 한계막(限界膜)인 inner limitting layer가 있다. 세포질(細胞質)의 전단부(前端部)에는 polar cap이 있고 그 밑에는 lamellar 구조(構造)의 발달(發達)된 polaroplast가 있으며 polaroplast의 후부(後部)는 vesiculate part로 되어 있는 것으로 보인다. polar filament는 anchoring disc인 polar cap에서 곧게 뻗어 나아가다가 포자(胞子)의 내벽(內壁)을 따라 돌면서 용수철 처럼 말려 있는데 polar filament의 coiled part 중앙(中央)에 2중막(重膜)에 싸여진 전자밀도(電子密度)가 높은 후형질(厚形質)로된 2핵(核)이 인접(隣接)하여 있으며 포자(胞子)의 부단부(部端部)에는 posterior vacuole이 있을 것이다. 이러한 포자(胞子)의 크기와 형태(形態) 및 미세구조(微細構造)로 보아 Microsporidia인 것을 확인(確認)할 수 있으며 분류학(分類學) 상(上)의 위치(位置)는 Microsporea 강(綱), Microsporidia 일(日)에 소속(所屬)시킬 수 있고 아목(亞目) 및 속(屬)을 규명(糾明)하기 위(爲)해서는 그 생활사(生活史)가 밝혀져야 한다. Mcrosporidia S80을 2령(齡) 기잠(起蠶)에 경구접종(經口接種)한 경우(境遇)의 LD50은 $7.1{\times}10^7/ml$로서 $1.2{\times}10^7/ml$인 Nosema bombycis와 비교(比較)할때 병원성(病原性)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그 발생지역(發生地域)이 경기도(京畿道)를 중심(中心)으로 인접지역(隣接地域)인 강원(江原), 충북(忠北) 충남(忠南) 및 전남(全南)에서도 발생(發生)되고 있는 점(點)과 4령기(齡期) 접종시(接種時) 전견중(全繭重)과 견층중(繭層重)에 나쁜 영향(影響)을 미칠뿐 아니라 화아비율(化蛾比率)이 낮고, 감염(感染)된 모아(母蛾)는 물론 감염(感染)된 웅아(雄蛾)와 교미(交尾)한 모아(母蛾)에서도 산란불능아(産卵不能蛾)가 발생(發生)하거나 산란수(産卵數)가 건전구(健全區)에 비(比)하여 떨어지는 동시(同時)에 부수정란(不受精卵) 비율(比率)도 높은 것으로 볼 때 사견양잠(絲繭養蠶)은 물론 종견양잠(種繭養蠶)에 있어서도 피해(被害)를 입고 있을 것으로 본다. 감염모아(感染母蛾) 21마리에서 얻은 차대잠(次代蠶)의 검사결과(檢査結果) 경란전달(徑卵傳達)은 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혹시 경란전달(徑卵傳達)이 된다고 해도 그 빈도(頻度)는 매우 낮을 것이며 1/21 미만(未滿)일 것으로 생각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