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nitial modulus

검색결과 325건 처리시간 0.022초

COD-저항곡선을 이용한 불안정 균열 성장에 관한 연구 (Crack growth instability based on COD-R curve)

  • 한창석;엄윤용;송지호
    • 대한기계학회논문집
    • /
    • 제12권1호
    • /
    • pp.53-63
    • /
    • 1988
  • 본 연구에서는 COA와 COD저항곡선의 기울기가 밀접한 관계가 있다는 점을 고려하여 COD저항곡선을 이용하여 현재까지 거의 연구결과가 없는 T$_{\delta}$에 의한 불안정균열성장문제를 검토하기로 하고, 이때 필요한 외부하중에 의한 부하 찢어짐계수 T$_{{\delta}{\app}}$ 의 평가방법에 대해서도 생각해 보기로 한다.한다.

왕겨재를 혼입한 콘크리트의 동결융해 저항성에 관한 실험적 연구 (An Experimental Study on the Resistance of Concrete Included Rice Husk Ash Against Rapid Freezing and Thawing)

  • 이준구;박광수;이응찬;김한중
    • 한국농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농공학회 1999년도 Proceedings of the 1999 Annual Conference The Korean Society of Agricutural Engineers
    • /
    • pp.294-300
    • /
    • 1999
  • After researching the physical properties of the concrete included Rice Husk Ash(RHA concrete) and workability of fresh concrete admixed RHA, we have tested durability of RHA-concrete against freeaing and thawing in the winter using rapid freezing and thawing test method(KS F 2456) . There aretwo hypotheses to explain the failure mechanism of a freezing and thawing action. First, the hydraulic pressure in the pores of freezing concrete make an internal stress of concrete structures outbreaking micro crack in the face of concrete, Second, Frost action causing damage to cement paste repeatedly come from soil frost action, freezing water in the capillaries. Initial Relative Dynamic Modulus of Elasticity (DME) was biggest in cae of unit binder weight 600kgf/㎥ and relative dynamic modulus of elasticity increased until 300cycles. In general , initial relative DME was proportional to unit binder weight . Relative DME was decreased in proportion to unit binder weight in the case of 300, 400, 500kgf/㎥ , but relative DME fo the others remained more than 90% until 300 cycles. It was not good effect of intermixed RHA to concrete in case of below unit binder weight 300kgf/㎥ and the resistance of freezing and thawing was not good either.

  • PDF

삼축압축시험을 통한 암반에 근입된 현장타설말뚝의 선단 하중전이곡선 산정 (Evaluation of the q-w Curve on Rock-Socketed Drilled Shafts by Triaxial Compression Tests)

  • 김태형;김용민;정상섬
    • 한국지반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반공학회 2008년도 추계 학술발표회
    • /
    • pp.455-465
    • /
    • 2008
  • In this study, the load distribution and deformation of rock-socketed drilled shafts subjected to axial load are investigated based on small scale model tests. In order to analyze the effects of major influencing factors of end bearing capacity, Hoek-cell triaxial tests were performed. From the test results, it was found that the initial slope of end bearing load transfer (q-w) curve was highly dependent on rock mass modulus and pile diameter, while the ultimate unit toe resistance ($q_{max}$) was influenced by rock mass modulus and the spacing of discontinuities. End bearing load transfer function of drilled shafts socketed in rock was proposed based on the Hoek-cell triaxial test results and the field loading tests which were performed on granite and gneiss in South Korea. Through the comparison with pile load tests, it is found that the load-transfer curve by the present study is in good agreement with the general trend observed by field loading tests, and thus represents a significant improvement in the prediction of load transfer of drilled shaft.

  • PDF

강섬유를 이용한 CS-H 벽체의 성능 평가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Performance Evaluation of CS-H Wall composed of Steel Fiber)

  • 유남재;이강일
    • 한국지반신소재학회논문집
    • /
    • 제16권2호
    • /
    • pp.89-96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국내에서 30m 이상인 대심도에서 강성이 큰 CS-H벽체를 만들기 위하여 지반신소재를 이용하였으며 지반신소재의 혼입율과 슬럼프(슬럼프 플로우) 값에 변화를 주어 현장여건에 맞는 배합을 실시하였으며 목표 슬럼프 180mm 및 슬럼프 플로우 500mm에서는 초기 휨강도, 장기 거동특성 및 탄성계수의 역학적 특성과 동시에 경제성을 모두 만족할 수 있는 배합을 확인하였으나 슬럼프 플로우 600mm에서는 역학적 특성 및 초기, 장기 거동특성에서 취약한 결과를 보였다.

Effect of NCO/OH ratio and binder content with micro-AP on HTPB/AP/Al-based propellants mechanical properties

  • Zulfam Adnan;Nurul Musfirah Mazlan
    • Advances in materials Research
    • /
    • 제13권2호
    • /
    • pp.129-140
    • /
    • 2024
  • This study evaluates the ratio of Toluene di-isocyanate (TDI) functional group isocyanate (NCO) to the binder functional hydroxyl group (OH) in HTPB/AP/Al-based propellants on their mechanical properties, flow rate, and viscosity to determine the limitations of NCO/OH in the composition of solid propellants. The propellants consisted of hydroxyl-terminated polybutadiene (HTPB) polyurethane (PU), aluminum (Al) and tri-modal ammonium perchlorate (AP). The tri-modal AP consisted of 30% of coarse AP, 30% of medium AP, and 8% of fine AP. The ratio of NCO/OH varies from 0.73 to 0.85, with two binder percentages of 10.5% and 12%. An increase in NCO/OH ratio with 10.5% binder provided 20%, 95%, and 8 to 9% increments in UTS, modulus, and hardness, respectively. However, the propellant elongation, density, and flow rate decreased by 170%, 0.2%, and 11-12%, respectively. Viscosity increased 20% based on initial hour reading. The 12% binder provides 27%, 47%, and 5~6% an increment of UTS, modulus and hardness respectively. However, the propellant elongation, density, and flow rate decreased by 47%, 0.17% and 27%, respectively. The viscosity increased 30% based on initial hour reading. This study suggests the NCO/OH value of 0.77 and 10.5~11% binder content in propellant based on the mechanical properties, flow rate, and viscosity for better processing and pot life.

The effects of limestone powder and fly ash as an addition on fresh, elastic, inelastic and strength properties of self-compacting concrete

  • Hilmioglu, Hayati;Sengul, Cengiz;Ozkul, M. Hulusi
    • Advances in concrete construction
    • /
    • 제14권2호
    • /
    • pp.93-102
    • /
    • 2022
  • In this study, limestone powder (LS) and fly ash (FA) were used as powder materials in self-compacting concrete (SCC) in increasing quantities in addition to cement, so that the two powders commonly used in the production of SCC could be compared in the same study. Considering the reduction of the maximum aggregate size in SCC, 10 mm or 16 mm was selected as the coarse aggregate size. The properties of fresh concrete were determined by slump flow (including T500 time), V-funnel and J-ring experiments. The experimental results showed that as the amount of both LS and FA increased, the slump flow also increased. The increase in powder material had a negative effect on V-funnel flow times, causing it to increase; however, the increase in FA concretes was smaller compared to LS ones. The increase in the powder content reduced the amount of blockage in the J-ring test for both aggregate sizes. As the hardened concrete properties, the compressive and splitting strengths as well as the modulus of elasticity were determined. Longitudinal and transverse deformations were measured by attaching a special frame to the cylindrical specimens and the values of Poisson's ratio, initiation and critical stresses were obtained. Despite having a similar W/C ratio, all SCC exhibited higher compressive strength than NVC. Compressive strength increased with increasing powder content for both LS and FA; however, the increase of the FA was higher than the LS due to the pozzolanic effect. SCC with a coarse aggregate size of 16 mm showed higher strength than 10 mm for both powders. Similarly, the modulus of elasticity increased with the amount of powder material. Inelastic properties, which are rarely found in the literature for SCC, were determined by measuring the initial and critical stresses. Crack formation in SCC begins under lower stresses (corresponding to lower initial stresses) than in normal concretes, while critical stresses indicate a more brittle behavior by taking higher values.

초기응력상태(初期應力狀態)가 모래의 변형(變形)에 미치는 영향(影響) (Effects of Initial Stress on the Deformation of Sand)

  • 강병희;정인준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3권1호
    • /
    • pp.65-72
    • /
    • 1983
  • 건조(乾操)한 모래 시료(試料)를 토압계수(土壓係數)가 1.0, 3/4, 0.55, $K_0$ 1/3 및 1/3 인 응력경로(應力經路)를 따라 정규압밀(正規壓密) 또는 과압밀(過壓密)시킨 후 삼축압축시험(三軸壓縮試驗)을 행(行)하였다. 정규압밀시료(正規壓密試料)의 변형저항(變形抵抗)은 압밀시(壓密時)의 토압계수(土壓係數)의 크기에 관계(關係)없이 초기응력(初期應力)의 증가(增加)에 따라서 증가(增加)하였으며 또 어떤 한 초기응력(初期應力)에 대한 변형계수(變形係數)는 토압계수(土壓係數)가 클수록 커지는 경향(傾向)을 보였다. 그리고 등방정규압밀(等方正規壓密) 및 이방정규압밀(異方正規壓密)된 시료(試料)의 변형계수(變形係數) ($E_i$$E_{50}$)는 초기응력(初期應力)[${\sigma}_{m0}{^{\prime}}$, ${\sigma}_{10}{^{\prime}}$, ${\sigma}_{30}{^{\prime}}$, $({\sigma}_1-{\sigma}_3)_0$]의 n승(乘)에 비례(比例)하며 이 n 치(値)는 0.37에서 0.92의 범위 내에 있었다. 그리고 과압밀시료(過壓密試料)에서는 과압밀비(過壓密比)가 클수록 변형계수(變形係)는 크게 되었음을 냐타내었다. 결론적(結論的)으로 좀더 정확(正確)한 현위치(現位置)의 변형계수(變形係數)를 구하기 위해서는 $K_0$-이방압밀삼축압축시험(理方壓密三軸壓縮試驗)을 행(行)하여야 한다.

  • PDF

다짐 풍화토의 Duncan & Chang 모델 매개변수-초기접선계수와 극한축차응력 산정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Estimation of Duncan & Chang Model Parameters-initial Tangent Modulus and Ultimate Deviator Stress for Compacted Weathered Soil)

  • 유건선
    • 한국지반환경공학회 논문집
    • /
    • 제19권12호
    • /
    • pp.47-58
    • /
    • 2018
  • Duncan & Chang(1970)는 던컨-창 모델을 제안하면서 흙시료의 초기 접선계수와 극한 축차응력을 구하기 위하여 쌍곡선이론을 사용하여 삼축압축시험의 응력-변형률의 비선형관계를 변환된 변형률/축차응력-변형률의 선형관계로 재구성하였다. 그러나 변환된 응력-변형률 관계는 이론적으로 선형관계를 나타내지만, 실제로는 시험이 시작되는 변형률이 작은 구간과 시료가 파괴에 이르는 변형률이 큰 구간에서는 비선형관계를 보인다. 이러한 현상은 삼축압축시험의 응력-변형률 곡선이 완전한 쌍곡선 형태가 아님을 나타낸다. 따라서 변환된 응력-변형률 곡선의 전 구간에 대하여 선형 회귀분석을 실시하여 직선의 식을 구하게 되면, 비선형관계를 나타내는 구간의 범위에 따라 선형관계식의 산정에 편차가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편차를 줄이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변환응력-변형률 관계에서 비선형을 나타내는 초반과 종반 구간을 제외한 구간에 대하여 선형회귀분석을 실시함으로써 초기접선계수와 극한 축차응력을 산정하는 수정회귀분석법을 제안하였다. 수정회귀분석법을 검증하기 위하여, 풍화토의 다짐시료에 대하여 압밀-배수 삼축압축시험을 실시하였다. 삼축압축시험의 응력-변형률 곡선으로부터 구한 변환응력-변형률 관계에 대해서 수정회귀분석을 실시하여 Duncan et al.(1980)이 제안한 2점법으로 구한 결과와 비교하였다. 분석결과 수정회기분석법에 비해 Duncan의 2점법으로 산정한 초기 접선계수는 4.0% 크게, 그리고 극한 축차응력은 2.9% 작게 평가되었다.

상수 모듈러스 오차의 반복적 확률추정에 기반한 결정궤환 등화 (Recursive Probability Estimation of Decision Feedback Equalizers based on Constant Modulus Errors)

  • 김남용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6권3호
    • /
    • pp.2172-2177
    • /
    • 2015
  • 상수 모듈러스 오차의 확률을 영으로 줄이는 등화 알고리듬에 결정 궤환 방식이 도입된 DF-MZEP-CME (decision feedback - maximum zero-error probability for constant modulus errors) 알고리듬은 채널 왜곡 보상에서 보다 향상된 성능을 보인다. 그러나 이 DF-MZEP-CME 알고리듬은 기울기 계산에서 샘플 사이즈에 비례하는 계산량을 가지게 되어 구현상 장애요인으로 작용한다. 이 논문에서는 DF-MZEP-CME 알고리듬의 기울기를 반복적으로 추정하도록 하여 계산량이 샘플 사이즈와 무관하게 함으로서 계산량 문제를 해결한다. 샘플 사이즈 N 에 대해 기존 알고리듬이 10N 의 곱셈량을 가지지만 제안한 방식은 샘플 사이즈와 무관하게 단지 20 번의 곱셈을 수행한다. 또한 제안한 방식의 기울기 계산이 초기상태로부터 안정 상태로 넘어갈 때 연속성을 유지하는 것으로 나타나 오차 전파에 예민한 결정 궤환 방식에 매우 적합한 알고리듬으로 판단된다.

밀도와 구속압력이 노상토의 탄성계수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실험적 연구 (An Experimental Study on Effects of Density and Confining Pressure on the Elastic Modulus of Subgrade Soils)

  • 김수일;김문겸;유지형;김철수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8권2호
    • /
    • pp.33-40
    • /
    • 1988
  • 본 연구에서는 밀도와 구속압력이 노상토의 탄성계수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기 위하여 전국 고속도로로 노상토를 채취분석하여 얻은 전형적인 5가지 노상토 재료에 대하여 함수비, 밀도 및 구속압력을 달리하면서 비압밀 비배수 삼축압축시험을 실시하였다. 삼축압축시험시 unloading-reloading 실험을 수행하여 얻은 응력-변형을 관계로부터 최대탄성계수를 측정하였다. 실험결과 노상토의 탄성거동은 Janbu의 제안식에 잘 부합하였으며, 구속압력으로 표준화된 탄성계수는 건조단위체적중량과 지수함수의 상관관계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포화도가 70%이하에서는 함수비가 탄성계수에 영향을 거의 미치지 않음이 밝혀졌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