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nitial control

검색결과 4,107건 처리시간 0.028초

한국치위생학회지 게재논문의 연구동향 분석 (The research trends of papers in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dental hygiene)

  • 강부월;안세연;김선경;유영숙;유은미;이선미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10권6호
    • /
    • pp.991-1000
    • /
    • 2010
  • Objectives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356 papers included in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Dental Hygiene between 2000 when the initial number was issued and April, 2010. The papers involved articles, treatises, theses and dissertations. Methods : According to existing literature related to paper analysis, all the journals were analyzed by year to find out the subjects of the studies, places for data gathering, the presence or absence of research funds supplied, the number of researchers, research methods, methods of data collection, themes and data analysis methods. Results : As for subjects, the largest group of the papers that numbered 69(20.7%) examined dental hygienists, and the second biggest group that numbered 65(19.5%) examined dental hygienists and students. The third greatest group that numbered 47(14.2%) examined patients at dental hospitals and clinics. Concerning places of data gathering, schools(37.1%) were the most common places where data were collected, followed by dental hospitals/clinics(31.6%) and laboratories(7.4%). In terms of research design, research studies accounted for 88.5%, and experimental studies accounted for 11.5%. Research studies were far more prevalent. Concerning themes, there were 76 kinds of concepts that the studies dealt with, and the most dominant concepts were oral health awareness and behavior, which 34 studies focused on(9.6%). 10 studies or more were concerned with dental service, oral health status, dental hygiene education, infection control, oral health education, job satisfaction and stress. As to data analysis methods, frequency analysis was most dominant, followed by Chi-square test, t-test, analysis of variance, descriptive statistics, correlation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Most of the studies made use of quantitative research methods. Conclusions : The effort by this study to analyze the papers included in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Dental Hygiene to grasp research trends in the field of dental hygiene is expected to be of some use for the determination of the right directions of dental hygiene research in the future.

팔당호 수변부 퇴적물이 수층의 산소소모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Bottom Sediments on Oxygen Demand of Overlying Water in Onshore of Lake)

  • 강양미;송홍규
    • 생태와환경
    • /
    • 제33권1호통권89호
    • /
    • pp.23-30
    • /
    • 2000
  • 초록(한글) 입력자 : 퇴적층 산소요구는 수중의 퇴적층에서 생물학적 호기성 대사와 화학적 산화에 소모되는 용존산소량으로 1999년 4월부터 11월 사이에 팔당호 현장에서의 SOD는 조사시점에 따라 $4{\sim}5$ 시간동안 $1.57{\sim}12.55$ mg $O_{2}m^{-2}h^{-1}$로 나타났다. 또한 SOD는 퇴적유기물의 양과 퇴적층 내로의 산소 확산의 영향이 컸다. 초기 30분 동안에 물과 퇴적층의 산소요구를 비교하면 SOD가 수층 전체 산소소모의 $63.8{\sim}94$%를 차지하였다. 실험실 내의 SOD 측정에서 화학적 퇴적층 산소요구는 크게 일어나지 않았으며 퇴적층의 탄소성 산소요구는 전체 SOD보다 적게 나타났다. 이 결과로부터 팔당호의 SOD는 주로 생물학적 산소요구에 의한 것이며 질화작용에 의한 산소요구가 SOD에 큰 비중을 차지함을 알 수 있었다. 퇴적층의 두께가 SOD에 미치는 영향은 퇴적물의 특성에 크게 좌우되며 유속을 2배로 빠르게 한 경우에는 SOD가 $1.4{\sim}1.9$배 증가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SOD가 수층의 용존산소를 감소시키는 주요한 요인임을 알 수 있었으며 상수원으로 이용되는 호수에서 이를 감안한 수질관리가 적용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감마선 조사에 의한 튀김어묵의 품질보존 (Preservation of Fried Fish Meat Paste by Irradiation)

  • 조한옥;권중호;변명우;이미경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17권6호
    • /
    • pp.474-481
    • /
    • 1985
  • 튀김어묵의 위생적인 유통과 보존기간 연장을 목적으로 시료에 0-5kgy 범위에 감마선을 조사한 뒤 $3{\pm}1^{\circ}C$의 저온과 $10{\sim}20^{\circ}C$의 실온에 저장하면서 변패의 원인이 되고 있는 미생물의 살균효과와 저장중 생육상태 및 어묵의 품질에 관련된 이화학적 특성변화를 검토하였다. 튀김어묵의 초기 미생물 오염도는 총세균 $2.2{\times}10^3/g, 효모 및 곰팡이가 $2.8{\times}10^2/g, 대장균군이 $1.0{\times}10^2/g$ 수준이었으나 3kGy 정도의 감마선 조사로서 감균효과가 우수하였고 공기포장과 탈기포장간의 차이는 현저하지 않았다. 저장중 시료의 pH, TBA가 휘발성 염기질소량의 변화는 조사고와 비조사구가 유사한 경향이거나 저장기간의 경과에 따라 조사구가 다소 우수하였으며, 적정선량 조사는 시료의 texture에 영향을 주지 않았다. 저장기간 중 진공포장된 시료의 관능시험 결과에서 3kGy의 감마선 조사는 비조사구에 비해 튀김어묵의 신선도를 실온에서는 약 2배, 저온에서는 $3{\sim}4$배 정도 연장시킬 수 있었다.

  • PDF

미분화 갑상선암의 치료 (Treatment of Anaplastic Thyroid Cancer)

  • 장항석;윤종호;정웅윤;이미경;박정수
    • 대한두경부종양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220-227
    • /
    • 1998
  • The clinical and pathological features of 35 cases of anaplastic thyroid cancer were studied. These tumors occurred in 12 men and 23 women ranging in age from 19 to 83 years(mean age; 61.7 years). A rapidly enlarging thyroid mass was the most common presentation. The duration of the presence of mass varied from 20 days to 12 months with an average of 2.7 months. Systemic metastasis at the time of initial examination was found in 14 patients(40.0%) and the lung was the most common site of involvement. The overall rate of distant metastasis was about 65.7%. The tumors were subdivided morphologically into giant cell type of 10 cases, spindle cell type of 7 cases, epidermoid cell type of 1 cases, and mixed giant cell and spindle cell type of 5 cases. The mean survival period of 6 among 35 patients who had biopsy alone was 1.4 months. The 22 patients underwent the incomplete combined treatment modalities (palliative surgery with or without chemotherpy or radiation therapy) survived for a mean period of 3.0 months, among them, 7 patients who had surgery combined with chemotherapy and radiation therapy showed mean survival period of 3.7 months. The mean survival of 7 patients who had complete combined treatment modality(curative surgery combined with chemotherapy and hyperfractionated radiation therapy) was 6.6 months, only one patient survived for 21 months and one patient has been alive for 1 month after operation, and the others survived for a mean period of 4.8 months. So far, as of July 31, 1998, 34 patients among 35 were died(one has been survived for 1 month) despite the various treatment modalities, and the main cause of death were failure of local control and systemic metastasis. None of the various treatment modalities gave consistently favourable results. However, a combination of surgery, radiation therapy and chemotherapy seemed to have a slight positive effect on survival. Furthermore, the aggressive treatment modalities will be indicated only in the early diagnosed and minimal cases.

  • PDF

앵미의 온도와 파종깊이 및 토양수분에 따른 발아와 유묘생육의 특성규명 (Characteristics of Germination and Seedling Growth of Red Rice by Temperatures and Seeding Depths)

  • 조영손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58권3호
    • /
    • pp.319-323
    • /
    • 2013
  • 앵미의 온도와 파종깊이 및 토양수분에 따른 발아와 유묘생육의 특성을 규명하기 위하여 앵미 2종과 대안벼를 공시하여 시험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저온조건에서 발아시험 결과 앵미가 대안벼보다 발아율이 높았고 발아속도도 빨랐으며 종자세가 우수하였다. 2. 저온조건에서는 수분함량이 많을수록 발아율이 높았고, 중온조건에서는 토양수분 45% 조건에서 발아율이 가장 높았다. 3. 영천앵미의 발아 특성은 파종심도 6 cm 처리구에서는 저온과 중온에서는 발아를 하지 않았으나 고온에서는 발아를 하였다. 4. 합천앵미와 영천앵미의 발아 특성중 영천앵미가 합천앵미보다 발아율 및 종자세가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E. coli O157:H7에 의한 녹즙 저장 환경에서의 미생물학적 오염도 조사 (Contamination of Green Vegetable Juice by E. coli O157:H7 during Storage)

  • 임은섭;구옥경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7권4호
    • /
    • pp.446-451
    • /
    • 2015
  • 본 연구는 건강한 식이에 대한 관심이 늘어나면서 그 수요량이 증가하고 있는 녹즙에 대한 미생물학적 품질평가를 목적으로 실시되었다. 또한 날것으로 섭취하는 과채류의 장출혈성 대장균의 오염으로 인한 집단식중독 사고가 많이 보고되고 있는 상황에서 E. coli O157:H7이 녹즙에 오염되었을 경우 보관온도, 보관 시간별 미생물 커뮤니티의 변화를 정량 분석법과 DGGE분석을 통해 확인하여 잠재적인 식중독 위험성을 확인해 보고자 하였다. 정량 분석 결과 초기부터 총 호기성 세균수가 식품위생법상 기준치($1.0{\times}10^5CFU/mL$)를 초과한 결과를 보였으며, E. coli O157:H7에 대한 세균수 측정결과를 보면 $5^{\circ}C$$10^{\circ}C$에서 균수가 감소하다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DGGE결과를 보면 보관시간이 길고 보관온도가 높을수록 더 많은 미생물 분포도를 보였고, 저장시간이 후반으로 갈수록 부패균인 젖산균이 다수 출현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 외에 Rahnella aquatilis와 Citrobacter, Pseudomonas 등의 기회감염성 세균이 검출되었다. 이에, 위 녹즙시료는 잠재적인 식중독의 위험성을 보이므로 제품의 생산, 유통에 더욱 주의를 기울일 필요가 있다고 생각된다. 또한, 제품 구입 후 냉장저장을 하더라도 가능한 한 빠른 섭취가 권장되는 바이다. E. coli O157:H7에 위 제품이 오염되었을 경우 냉장과 실온조건 모두에서 세균수가 증가하였고, 특히 실온에 방치하였을 경우 그 증가폭이 크므로, 이에 특히 주의를 기울일 필요가 있다고 생각된다.

매입형 CFRP Rod와 CFRP시트를 활용한 RC 외부 보-기둥 접합부의 내진성능 평가 및 개선 (Improvement and Evaluation of Seismic Performance of Reinforced Concrete Exterior Beam-Column Joints using Embedded CFRP Rods and CFRP Sheets)

  • 하기주;강현욱
    •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논문집
    • /
    • 제18권3호
    • /
    • pp.40-48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기존 철근콘크리트 건물의 보-기둥 접합부의 내진성능의 개선을 위해 보-기둥 접합부 영역을 FRP보강재(매입형 CFRP Rod, CFRP시트)를 사용하여 보강한 후 내진성능을 평가하였다. 총 6개의 실험체를 제작하고 실험을 수행하여 내진성능을 평가하였으며, 본 연구의 실험결과를 근거로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기존 철근콘크리트 보-기둥 접합부의 접합부 영역을 보강한 결과, 초기 재하시 접합부 영역의 균열억제 효과와 재하 전 과정을 통하여 보강재의 구속효과로 인하여 균열억제 효과가 커서 안정적인 파괴형태 및 내력향상 효과를 나타내었다. 매입형 CFRP Rod와 CFRP시트를 활용한 RC 외부 보-기둥 접합부 실험체 RBCJ-SRC2는 표준실험체 RBCJ와 비교하여 변위연성4, 7에서 각각 최대 내력은 1.97배, 에너지소산능력은 2.08배 증가하였다. 또한, 실험체 RBCJ-SR시리즈와 비교하여 최대내력이 1.09~1.11배 증가하였다. 그리고 실험체 RBCJ-CS, RBCJ-SR시리즈, RBCJ-SRC2는 변위연성 5, 6에서 표준실험체 RBCJ 보다 에너지소산능력이 1.10~2.30배 증가하였다. 그리고 에너지소산능력은 변위연성 4에서 13.0~14.4% 증가하였다.

밀가루 누룩으로 담금한 탁주 술덧의 품질 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Takju Prepared by Wheat Flour Nuruks)

  • 박창숙;이택수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4권2호
    • /
    • pp.296-302
    • /
    • 2002
  • 통밀과 파쇄밀로 만든 누룩을 대조구로 하고, 밀가루를 이용하여 만든 재래식의 밀가루 누룩, 밀가루와 쌀의 혼용 누룩 및 Aspergillus oryzae의 누룩으로 각각 탁주를 담금하여 발효 과정 중의 품질을 검토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에탄올 함량은 발효 14일에 $10.6{\sim}17.4%$로 최대치를 보였으며 대조구, 밀가루 누룩구, Aspergillus oryzae 누룩구, 쌀 혼용구의 순으로 높았다. pH는 시험구간에 차이가 없었으나, 총산은 재래식 밀가루 누룩구에서 높았다. 총당은 담금일에 $16.22{\sim}17.74%$로 가장 높았으나 14일에 $4.28{\sim}6.10%$로 현저히 감소되었다. 발효초기에 Aspergillus oryzae구에서 높았으나 이후는 총당의 차이가 없는 편이었다. 유리당중 glucose는 담금일에 $2,735{\sim}7,842\;mg%$로 월등히 높았으나 이후 현저히 감소하였다. 유리당 총량은 대조구와 재래식 밀가루 누룩구에서 높았다. 유리당 총량은 대조구에서 $690{\sim}2,241\;mg%$로, lactic acid+succinic acid는 쌀 혼용구에서 $183{\sim}1,293\;mg%$로 각각 높았고, 확인된 6종의 유기산중 lactic acid+succinic acid가 탁주에서 가장 함량이 많았다.

구기자분말을 첨가한 생면의 품질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Wet Noodle with Lycii fructus Powder)

  • 임영순;차욱진;이시경;김영전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5권1호
    • /
    • pp.77-83
    • /
    • 2003
  • 구기자 분말을 1, 3, 5 및 7% 첨가한 복합분으로 생면을 제조하여 아밀로그램특성, 조리특성, 조직감, 관능검사 등 생면의 물성과 총균수 변화를 통한 저장성을 조사하였다. 아밀로그램특성은 구기자 분말 첨가비율이 높아질수록 호화개시 온도는 $61^{\circ}C$(대조구), $61.5^{\circ}C$(1%), $62^{\circ}C$(3%), $62^{\circ}C$(5%), $62.5^{\circ}C$(7%)로 증가하였고, 최고점도시 온도는 $91.5^{\circ}C$(대조구), $91^{\circ}C$(1%), $90.5^{\circ}C$(3%), $90^{\circ}C$(5%), $89^{\circ}C$(7%)로 감소하였으며, 최고점도는 875 B.U.(대조구) 720 B.U.(1%), 565.5 B.U.(3%), 475 B.U.(5%), 395 B.U.(7%)로 각각 감소하였다. 조리면의 중량과 부피는 구기자 분말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였고, 조리 손실량은 증가하였다. 구기자 분말을 첨가한 생면을 조리 후 texturometer에 의한 기계적 texture 특성을 측정한 결과 구기자 분말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견고성, 응집성, 씹힘성, 탄성 모두 감소하였다. 조리면의 관능검사결과 구기자 분말을 3%첨가구가 조직감을 제외한 외관, 맛, 전체적인 기호도 면에서 가장 높은 평가를 받았다. 생면의 저장성은 상온 $(20{\pm}4^{\circ}C)$ 저장시에는 대조구와 구기자 분말 첨가구간에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고 빠르게 총균수가 증가 하였으며, 저온$(5{\pm}1^{\circ}C)$ 저장시에는 대조구가 저장 15일에 $6.6{\times}10^4\;cfu/g$에 도달한 것에 비해 구기자 분말 첨가구는 저장 20일 이후에도 $4{\times}10^4\;cfu/g$에 도달하여 구기자 분말 첨가에 따라 저장기간이 연장되는 결과를 보였다.

Dietary inclusion effect of yacon, ginger, and blueberry on growth, body composition, and disease resistance of juvenile black rockfish (Sebastes schlegeli) against Vibrio anguillarum

  • Lee, Ki Wook;Jeong, Hae Seung;Cho, Sung Hwoan
    •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 /
    • 제23권4호
    • /
    • pp.7.1-7.8
    • /
    • 2020
  • Background: To minimize the use of antibiotics and to obtain a more sustainable fish culture and aquaculture industry, development of alternative natural source of immunostimulant to replace antibiotic in aquafeed is highly needed. Objective: Dietary inclusion effect of yacon (YC), ginger (GG), and blueberry (BB) on growth, body composition, and disease resistance of black rockfish against Vibrio anguillarum was compared to ethoxyquin (EQ). Methods: Four hundred eighty juvenile (an initial weight of 4.2 g) fish were randomly distributed into 12 of 50 L flowthrough tanks (forty fish per tank). Four experimental diets were prepared; the control (Con) diet with 0.01% EQ inclusion, and YC, GG, and BB diets at 1% each additive inclusion. Each additive was included into the experimental diets at the expense of wheat flour. Each diet was assigned to triplicate tanks of fish and hand-fed to satiation twice daily for 8 weeks. At the end of 8-week feeding trial, 20 fish from each tank fish were artificially infected by intraperitoneal injection with 0.1 mL of culture suspension of pathogenic V. anguillarum containing 3.3 × 106 cfu/mL respectively. Fish were monitored for the following 8 days after V. anguillarum infection and dead fish were removed every 6 h for the first 4 days and 12 h for the rest of the study. Results: Weight gain, specific growth rate (SGR), and feed efficiency ratio (FER) of fish fed the YC diet was higher than those of fish fed all other diets. However, feed consumption, protein efficiency ratio, and protein retention was not affected by dietary additive. Moisture, crude protein, and crude lipid content of the whole body of fish were affected by dietary additive. Analysis of the Kaplan-Meier survival curves showed that survival of fish fed the YC, BB, and GG diets was higher than the Con diet. Conclusion: Oral administration of YC can improve not only weight gain, SGR, and FER of black rockfish, but lower mortality of rockfish at occurrence of V. anguillaru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