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nhibitory mechanism

검색결과 1,033건 처리시간 0.021초

신장상피세포(腎臟上皮細胞)에서 호도약침액(胡桃藥鍼液)이 t-Butylhydroperoxide에 의한 세포막물질이동계(細胞膜物質移動系)의 장애(障碍)에 미치는 영향(影響) (Effect of Juglans sinensis Dode aquacupuncture(JS) on t-butylhydroperoxide-induced alterations in membrane transport function in renal epithelial cells)

  • 남상필;조태성;김철홍;윤현민;장경전;송춘호;안창범
    • Journal of Acupuncture Research
    • /
    • 제20권6호
    • /
    • pp.128-139
    • /
    • 2003
  • Juglans sinensis Dode has been reported to have antioxidant activity. However, the effect of Juglans sinensis Dode aquacupuncture(JS) on reactive oxygen species(ROS)-induced alterations in membrane transport function in renal tubular cells.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valuate the effect of JS on the organic hydroperoxide t-butylhydroperoxide(tBHP)-induced inhibition of $Na^+$-dependent phosphate($Na^+$-Pi) uptake in opossum kidney (OK) cells, an established renal proximal epithelial cell line. tBHP inhibited $Na^+$-Pi uptake in a time-dependent manner. The inhibitory effect of tBHP was prevented by JS over concentration range of 0.05-1mg/100ml in a dose-dependent manner. Kinetic studies showed that tBHP caused an decrease in Vmax for $Na^+$-Pi uptake without any a significant change in Km. $Na^+$-dependent phosphonoformic acid binding, a irreversible inhibitor of renal $Na^+$-Pi uptake, was decreased by tBHP treatment. The reduction in Vmax and phosphonoformic acid binding by tBHP was prevented by JS. tBHP induced lipid peroxidation and its effect was completely inhibited by JS and antioxidant N,N'-diphenyl-p-phenylenediamine. These data suggest that the oxidant inhibits phosphate uptake by a reduction in the number of active carrier across the membrane. JS may prevent oxidant-induced inhibition of membrane transport function by a mechanism similar to antioxidants in renal epithelial cells. Although the precise constituents remain to be explored, JS may be employed as a useful candidate herb for drug development to prevent and treat oxidant-mediated renal failure.

  • PDF

DDT의 Aromatase 증가에 의한 Testosterone 감소효과 (DDT Reduced Testosterone and Aromatase Activity Via ER Receptor in Leydig Cell)

  • Lee, Kyung-Jin;Wui, Seong-Uk;Jin Heo;Kim, Sun-Hee;Jeong, Ji-Yeon;Lee, Jong-Bin
    • Environmental Analysis Health and Toxicology
    • /
    • 제18권2호
    • /
    • pp.95-100
    • /
    • 2003
  • 본 연구는 환경호르몬(endocrine disruptors)으로 분류되었으며, 제초제로 널리 사용되었던 Dichlorodiphenyltrichloroethane(DDT)가 설치류의 생식세포 중 Leydig 세포의 testosterone(T)생성억제 및 그 관련 작용메카니즘을 규명코자 수행되었다. 먼저 흰쥐의 웅성 생식세포주인 R2C세포에 T의 양 및 aromatase 활성도를 radio immunoassay (RIA)방법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그 결과 R2C 세포에 황체형성호르몬(LH)를 처리하여 testosterone생성을 증가시킨 후, DDT를 처리한 군들은 대조군에 비하여 농도 의존적으로 T의 양은 감소하였으며, aromatase 활성도는 증가하였다. 또한 DDT자체만 처리한 군에서도 대조군에 비하여 testosterone의 생성이 감소하였다. 이러한 aromatase활성 증가가 estradiol receptor(ER)와의 상호 관련성을 확인하기 위해 ER antagonist인 ICI 182.780를 처리한 후 T의 양 및 aromatase 활성도를 측정한 결과 DDT에 의해 증가된 aromatase활성도가 ICI 182.780에 의해 다시 감소됨을 확인하였다. 또한 DDT에 의해 감소된 T의 양도 ICI 182.780에 의해 다시 회복되었다. In vivo실험으로 흰쥐에 DDT를 직접 투여한 후 정소 내 성 호르몬들을 측정해 본 결과 T의 양은 유의성 있게 감소하였으며, estradiol(E$_2$)의 양은 증가하였으며, aromatase 활성도도 감소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종합해 볼 때 DDT는 aromatase를 감소시키고, 이렇게 감소된 aromatase에 의해 testosterone 생성량을 억제하고, 이러한 DDT의 aromatase의 감소는 ER을 경유하는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

(γ-Aminobutyric acid transporter 2와 mammalian Lin-7의 PDZ결합 ((γ-Aminobutyric Acid Transporter 2 Binds to the PDZ Domain of Mammalian Lin-7)

  • 석대현;문일수
    • 생명과학회지
    • /
    • 제18권7호
    • /
    • pp.940-946
    • /
    • 2008
  • 신경전달물질을 수송하는 신경전달물질 수송체는 연접전막에서 신경전달물질의 농도를 조절한다. 신경세포에 발현하는 GATs들은 연접에서 억제성 신경전달물질인 GABA의 재흡수에 관여한다. GAT2/BGT1가 어떻게 연접전막에 안정적으로 존재하는지, 어떤 결합단백질과 결합하여 조절을 받는지는 알려져 있지 않다. 본 연구에서 효모 two-hybrid system을 사용하여 GAT2의 C-말단과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mammalian Lin-7 (MALS)-2을 분리하였다. GAT2의 C-말단에 존재하는 "T-X-L"아미노산 배열이 MALS-2와의 결합에 필수적으로 관여하였다. 또한 이 단백질간의 결합을 pull-down assay로 확인한 결과 MALS는 glutathione S-transferase (GST)와는 결합하지 않으나 GST-GAT2와는 결합하였다. 또한 생쥐의 뇌 균질액에서 GAT2는 MALS와 함께 침강함을 면역침강으로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들은 MALS가 GAT2와 결합하여 GAT2를 연접전막에서 안정화시키는 역할을 함을 시사한다.

심근 수축에 쓰여지는 내인성 기질 대사에 대한 Lidocaine의 영향 (Effect of Lidocaine on Utilization of Endogenous Substrates for Contractile Process of Isolated Rat Atria)

  • 고계창
    • 대한약리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53-61
    • /
    • 1995
  • Lidocaine의 심근 수축력 억제 기전이 적출 심장에서 내인성 기질의 사용과 관련이 있는가를 규명하기 위하여, 심장의 phosphofructokinase (PFK)에 대한 강력한 억제 작용을 나타내는 citracte와 bicarbonate-free medium을 이용하여 쥐의 적출 심방 수축성에 대한 lidocaine의 영향을 연구하여 다음과 같은 실험 결과를 얻었다. Citrate와 bicarbonate-free medium은 쥐의 적출 심방의 수축력을 현저히 저하시켰다. Pyruvate나 acetate는 citracte와 bicarbonate-free medium에서 저하된 심방 수축력을 현저히 증가시키는 반면, fructose는 수축력을 증가시키지 못했다. 이 결과는 citrate와 bicarbonate-free medium이 Embden-Meyerhof pathway의 일부, 즉 PFK step을 억제함을 시사한다. 외인성 기질이 없을때 citrate와 bicarbonate-free medium은 기질 제거 용액에서 심방 수축력을 현저히 감소시키며, acetate에 의해 수축력이 회복되었다. 이는 PFK step 이전 단계의 내인성 기질 (glycogen)이 citrated에 의해 억제됨을 시사한다. Lidocaine은 citrate에 의해 억제된 수축력을 더욱 감소시켰다. 이 결과는 lidocaine에 의한 심방 수축력 억제가 PFK step 이후 단계의 내인성 기질 억제에 의한 것임을 시사한다. 이상의 결과로 보아 lidocaine의 적출 심방에 대한 수축력 억제 작용은 두가지 (또는 그 이상)의 기전에 의한 것으로 사료된다: 하나는 PFK step 전단계의 해당과정의 억제기전이고 또 다른 기전은 PFK step 이후의 내인성 기질(들)의 억제인 것으로 사료된다.

  • PDF

Bax의 발현증가 및 Caspase의 활성을 통한 봉독약침액 Melittin의 인체폐암세포 Apoptosis 유발에 관한 연구 (Apoptotic Cell Death by Melittin through Induction of Bax and Activation of Caspase Proteases in Human Lung Carcinoma Cells)

  • 안창범;임춘우;김철홍;윤현민;장경전;송춘호;최영현
    • Journal of Acupuncture Research
    • /
    • 제21권2호
    • /
    • pp.41-55
    • /
    • 2004
  • Objective : To investigate the possible molecular mechanism (s) of melittin as a candidate of anti-cancer drug, we examined the effects of the compound on the growth of human lung carcinoma cell line A549. Methods : Growth inhibitory study, flow cytometry analysis, SDS-polyacrylamide gel electrophoresis and Western blot analysis, RT-PCR and in vitro caspases activity assay were performed. Results : Melittin treatment declined the cell viability of A549 cells in a concentration-dependent manner, which was associated with induction of apoptotic cell death. Melittin treatment down-regulated the levels of Bcl-XS/L mRNA and protein expression of A549 cells, an anti-apoptotic gene, however, the those of Bax, a pro-apoptotic gene, were up-regulated. Melittin induced the proteolytic cleavage and activation of caspase-3 and caspase-9 protease in a dose-dependent manner without alteration of inhibitor of apoptosis proteins family and Akt expression. Western blot analysis and RT-PCR data revealed that the levels of tumor suppressor p53 and cyclin-dependent kinase inhibitor p21 were also remained unchanged. Conclusions : Taken together, these findings suggest that melittin-induced inhibition of human lung cancer cell growth is associated with the induction of apoptotic cell death via regulation of several major growth regulatory gene products, and melittin may have therapeutic potential in human lung cancer.

  • PDF

RBL-2H3 세포에서 1,2,3,4,6-Penta-O-Galloyl-β-D-Glucose의 항알레르기 효과 (Anti-Allergic Effect of 1,2,3,4,6-Penta-O-Galloyl-β-D-Glucose on RBL-2H3 Cells)

  • 김윤희;최예랑;김지영;곽상희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5권4호
    • /
    • pp.613-618
    • /
    • 2016
  • 1,2,3,4,6-Penta-O-galloyl-${\beta}$-D-glucose(PGG)는 오배자(Galla Rhois)의 gallotannin으로 항산화 효과, 항균 효과, 항알레르기 효과 등을 가지는 것으로 알려졌다. 알레르기성질환은 비만세포를 포함한 다양한 면역세포와 관련된 질환이다. 비만세포는 탈과립화에 의한 알레르기 매개성 물질(histamine 및 ${\beta}-hexosaminidase$)의 분비, T helper 2 type 사이토카인(IL-4) 분비 및 염증을 일으키는 매개체($TNF-{\alpha}$)의 증가를 통해 알레르기 반응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PGG가 phorbol 12-myristate 13-acetate(PMA)와 A23187로 비만세포인 RBL-2H3 세포에서 탈과립 그리고 Th2 type 및 염증성 사이토카인 생산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고, 관련 메커니즘에 대해 평가하였다. PGG는 PMA와 A23187 자극에 의한 탈과립 마커(histamine 및 ${\beta}-hexosaminidase$)의 분비를 억제하고, IL-4 및 $TNF-{\alpha}$와 같은 사이토카인의 분비를 억제하였다. 이러한 효과는 전사인자인 $NF-{\kappa}B$의 세포질에서 핵으로의 이동을 억제함으로써 나타나는 것으로 판단된다. 이러한 결과로부터 gallotannin의 하나인 PGG가 알레르기 반응을 현저히 저해하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 향후 알레르기성 질환을 예방, 개선 및 치료하는 데 유용한 물질로 사용될 가능성이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소교세포에서 heme oxygenase-1 발현 유도를 통한 치자(Gardenia jasminoides)의 항염증 효과 (Gardenia jasminoides Exerts Anti-inflammatory Activity via Akt and p38-dependent Heme Oxygenase-1 Upregulation in Microglial Cells)

  • 송지수;신지은;김지희;김영희
    • 생명과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8-14
    • /
    • 2017
  • 치자 열매는 아시아에서 음식과 옷의 염료로 사용되어 왔다. 본 연구에서는 BV-2 소교세포에서 치자열매 열수추출물(GJ)의 항염증 효과를 관찰하고 그 작용 기전을 연구하였다. GJ는 세포에 독성을 유도하지 않으면서 lipopolysaccharide로 인한 nitric oxide (NO) 분비와 inducible nitric oxide synthase (iNOS) 생성 및 활성산소 생성을 억제하였다. 또한 GJ는 농도의존적으로 heme oxygenase-1 (HO-1)의 발현을 유도하였다. 더군다나 HO-1 siRNA를 처리했을 때는 GJ가 iNOS의 발현을 억제하지 못하였다. GJ는 HO-1의 발현에 관여하는 전사인자인 nuclear factor E2-related factor 2를 핵으로 이동시켰다. 또한 GJ에 의한 HO-1의 발현은 phosphatidylinositol 3-kinase(PI-3K) 및 p38 kinase 억제제에 의해 감소되었으며, GJ가 Akt와 p38 kinase의 인산화를 유도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보면, GJ는 PI3K/Akt 및 p38 신호전달과정을 통해 HO-1의 발현을 유도함으로써 NO와 같은 염증매개물질의 생성을 억제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치자열매가 신경염증을 억제하는 새로운 기전을 밝힌 것이다.

자가포식작용과 구강암 (Autophagy and Oral Cancer)

  • 손승화;김은정
    • 생명과학회지
    • /
    • 제27권8호
    • /
    • pp.958-964
    • /
    • 2017
  • Autophagy는 세포 내에서 세포의 재활용과 다양한 스트레스에 세포 homeostasis와 survival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최근 연구에서는 autophagy 활성이 oncogenes과 tumor suppressor genes의 발현이 조절됨으로써 암이 발달되거나 억제됨이 보고되고 있다. Autophagy의 유도는 정상세포에서는 암 발생을 예방하는데 관여하며, 손상된 세포사멸 기능을 가진 암세포에서는 특정세포사멸기전을 유발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또한 autophagy 억제는 항암약물과 치료법에 저항을 나타내는 암세포를 민감하게 만들어 치료효능을 증가시킨다고 증명되고 있다. 그러나 cancer 치료에서의 autophagy의 역할은 아직까지 완전히 이해되지 않았다. Oral squamous cell carcinoma(OSCC)는 구강암의 90% 이상을 차지하고 있으며, 전세계적으로 6th 가장 흔한 암중의 하나로, 최근 2배 이상 증가하고 있으며 높은 mortality rate를 보이고 있다. 구강암에서의 autophagy의 역할은 다른 암들과 마찬가지로 종양형성의 초기 단계 동안 종양억제성을 보이나, 종양진행 동안은 종양세포 생존에 관여하는 두 가지의 기능을 나타내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본 리뷰에서는, 암에서의 autophagy의 조절에 대한 다양한 역할을 요약하고, 이를 바탕으로 효과적인 암 치료를 위한 유망한 target으로 autophagy의 가능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Long Noncoding RNA HOXA11-AS Modulates the Resistance of Nasopharyngeal Carcinoma Cells to Cisplatin via miR-454-3p/c-Met

  • Lin, Feng-Jie;Lin, Xian-Dong;Xu, Lu-Ying;Zhu, Shi-Quan
    • Molecules and Cells
    • /
    • 제43권10호
    • /
    • pp.856-869
    • /
    • 2020
  • To elucidate the mechanism of action of HOXA11-AS in modulating the cisplatin resistance of nasopharyngeal carcinoma (NPC) cells. HOXA11-AS and miR-454-3p expression in NPC tissue and cisplatin-resistant NPC cells were measured via quantitative reverse transcriptase polymerase chain reaction. NPC parental cells (C666-1 and HNE1) and cisplatin-resistant cells (C666-1/DDP and HNE1/DDP) were transfected and divided into different groups, after which the MTT method was used to determine the inhibitory concentration 50 (IC50) of cells treated with different concentrations of cisplatin. Additionally, a clone formation assay, flow cytometry and Western blotting were used to detect DDP-induced changes. Thereafter, xenograft mouse models were constructed to verify the in vitro results. Obviously elevated HOXA11-AS and reduced miR-454-3p were found in NPC tissue and cisplatin-resistant NPC cells. Compared to the control cells, cells in the si-HOXA11-AS group showed sharp decreases in cell viability and IC50, and these results were reversed in the miR-454-3p inhibitor group. Furthermore, HOXA11-AS targeted miR-454-3p, which further targeted c-Met. In comparison with cells in the control group, HNE1/DDP and C666-1/DDP cells in the si-HOXA11-AS group demonstrated fewer colonies, with an increase in the apoptotic rate, while the expression levels of c-Met, p-Akt/Akt and p-mTOR/mTOR decreased. Moreover, the si-HOXA11-AS-induced enhancement in sensitivity to cisplatin was abolished by miR-454-3p inhibitor transfection. The in vivo experiment showed that DDP in combination with si-HOXA11-AS treatment could inhibit the growth of xenograft tumors. Silencing HOXA11-AS can inhibit the c-Met/AKT/mTOR pathway by specifically upregulating miR-454-3p, thus promoting cell apoptosis and enhancing the sensitivity of cisplatin-resistant NPC cells to cisplatin.

강황(薑黃)이 고환절제술 및 testosterone으로 유발된 rat의 전립선비대증에 미치는 영향 (The Antihyperplastic Effect of Oral Curcuma longa Ingestion in a Rat Model of Benign Prostatic Hyperplasia)

  • 이상헌;안영민;안세영;김영옥;이병철
    • 대한한방내과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355-364
    • /
    • 2009
  • Objectives : Benign prostatic hyperplasia (BPH) is one of the most common diseases among elderly men. Though medicines such as 5${\alpha}$-reductase inhibitor (finasteride) have recently been developed for treating BPH, their adverse effects and low efficacy should not be overlooked. Curcuma longa has a long history of use in traditional medicines of Asian countries. Many reports conclude the component curcumin in Curcuma lonfa, has the potential to treat various diseases including prostate cancer.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therapeutic effects and action mechanism of Curcuma longa with a BPH rat model. Methods : Sprague-Dawley rats were used with subcutaneous injection of testosterone after castration, which were histologically similar to human BPH. A total of 30 rats were equally divided into five groups: Group 1 served as control (sham-operated group): Group 2 was the model group: Group 3 and Group 4 animals were administered Curcuma longa at dose levels of 0.5g/kg and 1.0g/kg: Group 5 served as a positive control group and was treated with finasteride at a dose of 1 mg/kg. The drugs were administered orally once a day for 30 days consecutively. After 31 days, the prostates were removed, and analyzed for their prostatic weight and histological examination. Results : The oral Curcuma longa ingestion group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ecreases in their prostatic weights compared with the BPH-induced group and the oral finasteride ingestion group (p<0.05). Curcuma longa is also very safe in liver and kidney up to a dose of lg/kg. Injected testosterone histologically led to prostatic hyperplasia in rats, but oral Curcuma longa ingestion decreased this change. Conclusions : These results suggest that Curcuma longa has a definite inhibitory effect on BPH and might be an alternative medicine for treatment and prevention of human BPH.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