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nfrasound

검색결과 25건 처리시간 0.024초

중대형 풍력터빈의 저주파 및 초저주파 소음 방사 특성에 대한 실험적 고찰 (Experimental investigation into infrasound and low-frequency noise radiation characteristics from large wind turbines)

  • 이승엽;정철웅;신수현;정성수;정완섭
    • 한국소음진동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소음진동공학회 2007년도 추계학술대회논문집
    • /
    • pp.1482-1489
    • /
    • 2007
  • In this paper, characteristics of infrasound and low-frequency noise emission from large modern wind turbines are experimentally investigated. The sound measurement procedures of IEC 61400-11 and ISO 7196 are utilized to field test and evaluation of noise emission from each of 1.5 MW and 660 kW wind turbines using the stall regulation and the pitch control for the power regulation, respectively. It was found that the G-weighted SPLs of low-frequency noise including infrasound shows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 wind speeds, irrespective of methods of power regulation. This highlights the potential complaint of local community against the infrasound and low-frequency noise of wind turbines. The comparison of measured data with the existing hearing thresholds and criteria curves shows that it is highly probable that the low-frequency noise from the 1.5 MW and 660 kW wind turbines in the frequency range over 30 Hz leads to the psychological complaint of ordinary adults, and that the infrasound in the frequency range from 5 Hz to 8 Hz causes the complaint by rattling the house fitting such as doors and windows.

  • PDF

국내 인프라사운드 관측기술의 최신 연구 동향 (State-of-the-art Studies on Infrasound Monitoring in Korea)

  • 제일영;이희일;전정수;신인철;지헌철
    • 지구물리와물리탐사
    • /
    • 제13권3호
    • /
    • pp.286-294
    • /
    • 2010
  • 한국지질자원연구원은 광역 지진관측망 이외에도 7 개소의 지진-음파(인프라사운드) 관측소를 설치하여 운영하고 있다. 이들 배열식 지진-음파 관측소는 지진파 이외에도 원거리 음원에서 발생하는 인프라사운드 신호를 관측할 수 있다. 인프라사운드란 대기권을 전파하는 20 Hz 이하 저주파수 음파로 정의되며, 에너지 감쇠가 적어 장거리를 전파하기 때문에 원거리에서 관측이 가능하다. 국내 인프라사운드 관측기술은 우선적으로 자연지진과 인공지진(지표발파)을 식별하기 위해 도입되었다. 지난 10여 년간 국내 인프라사운드 관측소를 운영한 결과 지진원 식별이외에도 다양한 지구물리학적 자연현상과 북한의 핵실험 등 인위적 폭발현상에서 발생한 인프라사운드를 관측할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 인프라사운드 관측소를 통해 한반도 및 주변지역에서 발생한 주요 인프라사운드 음원에 대한 관측사례와 연구결과를 소개하고자 한다. 결론적으로, 인프라사운드 관측기술은 기존 대기에 국한된 관측영역을 넓혀 지구내부-지표면-대기권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자연 혹은 인위적 현상을 관측하고 분석할 수 있는 새로운 지구관측기술의 하나로 자리 잡고 있다. 향후 지진파와 인프라사운드를 융합한 탐지, 분석기술 개발은 자연현상에 대한 지구물리학적 이해를 넓히고 인위적 폭발현상에 대한 원거리 정밀탐지기술로 응용이 가능하리라 판단된다.

국내 인프라사운드 전파특성 연구 (Infrasound Wave Propagation Characteristics in Korea)

  • 제일영
    • 한국지진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진공학회 2000년도 춘계 학술발표회 논문집 Proceedings of EESK Conference-Spring
    • /
    • pp.63-69
    • /
    • 2000
  • Korea Institute of Geology Mining and Materials(KIGAM) cooperating with Southern Methodist University(SMU) has been operating seismo-acoustic array in Chul-Won area to discriminate man-made explosions from natural earthquakes since at the end of July 1999. In order to characterize propagation parameters of detected seismo-acoustic signal and to associate these signals as a blast event accompanying seismic and acoustic signals simultaneously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infrasound wave propagation in the atmosphere. Two comparable Effective Sound Velocity Structures(ESVS) in atmosphere were constructed by using empirical model (MSISE90 and HWM93) and by aerological observation data of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KMA) at O-San area. Infrasound propagation path computed by empirical model resulted in rare arival of refracted waves on ground less than 200km from source region. On the other hand Propagation paths by KMA more realistic data had various arrivals at near source region and well agreement with analyzed seismo-acoustic signals from Chul-Won data. And infrasound propagation in specific direction was very influenced by horizontal wind component in that direction. Linear travel time curve drawn up by 9 days data of the KMA in autumn season showed 335.6m/s apparent sound velocity in near source region. The propagation characteristics will be used to associate seismo-acoustic signals and to calculate propagation parameters of infrasound wave front.

  • PDF

초저음파를 이용한 탄도미사일 발사위치 추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ballistic missile sound localization using infrasound)

  • 윤원중;전영수;이덕기;이종호;양조환;박규식
    • 한국음향학회지
    • /
    • 제35권6호
    • /
    • pp.411-418
    • /
    • 2016
  • 본 논문에서는 초저음파 신호를 이용하여 탄도미사일 발사위치를 추정하는 새로운 방법을 개발하였다. 양구와 철원에 설치된 기상청의 초저음파 관측망을 이용하여, 북한의 탄도미사일 발사시 발생한 초저음파 신호를 분석하였다. 신호의 탐지 및 발생위치 추정을 위하여 시간-주파수 분석, 도달 지연시간 측정 방법 및 구 삼각공식 등을 적용하였으며, 발사원점과 약 3 km 정도 차이가 나는 곳을 발사지점으로 추정하여 개발된 알고리즘의 정확도를 확인할 수 있었다.

기공(氣功) 치료기(治療器)의 분석(分析) 연구(硏究) (Analysis of Qigong Infrasound Treatment Apparatus)

  • 김경철;이용태
    • 제3의학
    • /
    • 제2권1호
    • /
    • pp.7-12
    • /
    • 1997
  • In order to basic study of the oriental medical engineering, the Qigong infrasound treatment apparatus is analyzed. The results is followed : 1. SY-201 type Qigong Infrasound Treatment Apparatus is composed of oscillator, amp, transducer. 2. The Qi production process is analyzed that EM wave changed sound wave of superlow frequency number and penetrated the human body deeply.

  • PDF

인프라사운드 관측을 통한 지구물리학적 연구 (Geophysical Study Through Infrasound Observation)

  • 제일영;전정수
    • 자원환경지질
    • /
    • 제39권4호
    • /
    • pp.495-505
    • /
    • 2006
  • 인간의 가청주파수 보다 낮은 저주파수대역의 음파로 정의되는 인프라사운드는 대기압력 변화를 수반하는 다양한 자연현상이나 인간 활동에 의해 지속적으로 발생하여 대기 중으로 전파하고 있다. 인프라사운드의 장거리 전파특성은 음원에 대한 원거리 관측과 분석을 가능하게 하여 자연현상에 대한 지구물리학적인 이해와 대규모 인위적 음원에 대한 탐지기술로 응용되고 있다. 이에 최근 비밀 핵실험 감시와 순수한 지구물리학적 연구를 목적으로 진보된 관측망이 전 세계적으로 구축되는 등 인프라사운드에 대한 관심과 연구가 증가하고 있다. 국내에는 지진파와 인프라사운드를 동시에 관측할 수 있는 지진-음파 관측망이 운영되고 있으며, 이들 자료의 실시간 관측과 분석으로 한반도 및 주변지역에서 발생하는 지진 중 상당수의 인공지진을 명확히 식별하고 있다. 또한 인공지진탐지 이외에도 대규모 자연지진, 운석폭발, 화산폭발, 태풍 등의 자연현상에서 발생한 인프라사운드를 국내 관측망에서 관측하여 분석하고 있다. 지구 물리학적 관점에서 인프라사운드 관측은 상부지각과 대기권 등 지구표면에서 일어나고 있는 대규모 자연 혹은 인위적 현상을 관측할 수 있는 새로운 지구관측기술의 하나로 이용되고 있다.

인프라사운드 관측을 통한 2004년 울진해역지진의 지반운동 특성 분석 (Analysis of Ground-Motion Characteristics of the 2004 Offshore Uljin Earthquake through Atmospheric Infrasound Observation)

  • 제일영;윤여웅;임인섭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41권6호
    • /
    • pp.647-657
    • /
    • 2020
  • 2004년 5월 29일 발생한 울진해역지진(Mw 5.1)과 관련된 대기 인프라사운드 신호가 철원(진앙 거리 321 km) 및 대전(256 km) 관측소에 기록되었다. 신호의 지속시간은 수 분 이상이며, 음원 방향을 지시하는 후방-방위각은 28°이상의 큰 변화를 보였다. 역-투사 방법과 신호 감쇄 보정 결과, 인프라사운드 신호는 삼척-울진-포항까지 연결되는 약 4,600 ㎢ 면적의 지반운동으로 발생하였으며, 음원 최대 크기(BSP)는 11.1 Pa로 계산되었다. 이 결과는 최대지반가속도(PGA) 자료로 계산한 음원 최대 크기(PSP)와도 부합하고 있으며, 지진 발생 당시 인프라사운드 신호 탐지를 가능케 했던 최소 지반운동은 ~3.0 cm s-2 이상으로 확인되었다. 울진해역지진이 비록 동해 해역에서 발생하였지만, 진앙과 가까운 강원도 남부-경상북도의 고지대를 따라 전파한 표면파의 지반운동으로 회절 인프라사운드가 효과적으로 발생한 것으로 해석된다. 인프라사운드 관측을 통한 원거리 지진 지반운동 특성 추정 방법은 지진관측망이 설치되어 있지 않거나 관측소 수가 적은 지역을 대상으로 활용이 가능할 것이다.

2020년 9월 23일 서천 화구 폭발 관측 연구 (A Study of the Seocheon Fireball Explosion on September 23, 2020)

  • 제일영;김인호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42권6호
    • /
    • pp.688-699
    • /
    • 2021
  • 2020년 9월 23일 새벽 1시 39분경 전국 여러 곳에서 목격된 서천 화구는 대기권에 진입 후 두 차례 폭발했음이 전천 카메라 영상에 확인되었으며, 충격파는 한반도 서남부 지역 지진 및 인프라사운드 관측소에 기록되었다. 17개 관측소에서 측정된 화구 지진파 및 음파의 도달 시간 정보와 베이지안에 기초한 격자탐색법으로 화구 발생 위치를 추정하였다. 위치결정에는 대기권 바람 분포에 따른 음파 속도 변화를 반영하여 계산 결과의 신뢰도를 높였다. 화구 발생 위치는 36.050°N, 126.855°E, 고도 35 km로 전천 카메라 영상에서 관측된 두번째 화구 위치와 유사하였다. 서해 상공에서 한반도 내륙으로 입사하며 발생한 두 차례의 폭발이 근거리 인프라사운드 관측소에서 확인되었다. 또한 서천 화구 폭발 충격음은 장거리를 전파하여 최대 ~266 km에 위치하는 관측소에서도 기록되었으며 파형 모델링이 관측 결과를 뒷받침하였다. 인프라사운드 5개 관측소에서 측정된 두번째 화구 폭발 신호의 평균 주기는 ~0.4 s이며, 주기-폭발 에너지 관계식을 적용했을 때 서천 화구의 폭발 에너지는 약 0.3 ton TNT 폭발에 상응한다.

지진-공중음과 자료를 이용한 2002천도 인공발파 식별 (Artificial blasts discrimination by using seismo-acoustic data in 2002)

  • 제일영;전정수;이희일;신인철
    • 한국지진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진공학회 2003년도 춘계 학술발표회논문집
    • /
    • pp.38-44
    • /
    • 2003
  • Artificial blasts, defined as seismo-acoustic events, were discriminated from natural earthquakes in the Korean Peninsula by the seismo-acoustic analysis. Total 197 seismo-acoustic events corresponding to 9 percent of seismic events in 2002 were analyzed and classified as artificial surface blasts. Events distribution pattern of the seismo-acoustic events in 2002 was similar to the previous result in 1999-2001, except for two regions. Newly determined seismo-acoustic events were added to the previous artificial blast database. To extend infrasound detection capability, new small-scale infrasound array(TJIAR) was installed in KIGAM. Preliminary analysis for the small array was conducted to discriminate artificial blasts in the southwestern part of the Korean Peninsula. The small array discriminated S seismo-acoustic events during short period analysis. And two infrasound arrays(TJIAR and CHNAR) were used to determine approximate sound source location by cross bearing method.

  • PDF

초저주파음의 유해성 및 풍력 발전 소음 관리에 대한 고찰 (Harmfulness of infrasound and wind turbine noise managements)

  • 김성찬;최민주
    • 한국음향학회지
    • /
    • 제40권1호
    • /
    • pp.73-83
    • /
    • 2021
  • 풍력 발전은 미래의 청정 에너지원으로 활용 가치가 높으나, 초저주파 소음을 발생한다. 초저주파 소음은 차폐가 어려우며, 생리적으로 다양한 부정적인 효과를 유발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Wind Turbine Syndrome (WTS)을 유발하는 초저주파수 풍력 소음의 유해성을 개관하고, 풍력 발전기 소음의 측정 및 관리를 위한 기술적인 측면을 고찰하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