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nformation ability

검색결과 5,023건 처리시간 0.034초

가정정보화가 주부의 가정관리능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ffect of Home Informatization on Housewives′ Home Management Ability)

  • 박미석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40권8호
    • /
    • pp.71-85
    • /
    • 2002
  •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 of home informatization on housewives' home management ability. The questionnaires of 338 housewives who have at least one child were analyzed. LISREL 8.5 version program was used to examine the obtained data. As a result, degree of practical usage of information had positive effect on the home management ability directly. Internet use and information communicative machine usage also had affected the home management ability indirectly.

연계교과 학습을 통한 정보 만들기 능력 신장 (Improving ability to make information through related-subject learning)

  • 박선주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10권1호
    • /
    • pp.83-90
    • /
    • 2006
  • 정보만들기활동에서 가장 기본적인 능력은 정보를 검색하는 능력이다. 그러나 정보검색방법에 대한 지도에도 불구하고 학생들의 정보만들기 능력은 일정 수준이상을 뛰어넘기 어렵다. 정보만들기 능력 향상을 위해서는 국어 및 사회교과와의 연계교육이 필요하다. 그러므로 본 논문에서는 정보만들기 능력을 신장시키기 위해 국내 외 컴퓨터 교육과정과 연계교과의 내용을 분석하여 정보만들기능력 신장을 위한 학습 요소를 추출하여 정보만들기능력 향상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적용하였다.

  • PDF

노인의 정보 활용능력이 생활만족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Information Utilization Ability on Life Satisfaction in the Elderly)

  • 유용식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 /
    • 제15권2호
    • /
    • pp.213-222
    • /
    • 2021
  • 본 연구의 목적은 노인의 정보 활용능력이 생활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구체적으로 파악하여 노인에게 적합한 정보 활용능력을 통해 생활만족을 향상할 수 있는 실천방안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연구대상은 충북 J시에 거주하는 65세 이상 노인 220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노인의 정보 활용능력이 생활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기 위해 빈도 분석, 기술통계분석, 상관관계 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통계분석을 위하여 SPSS 20.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결과 노인의 정보 활용능력 중에서 생활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정보 기술능력과 정보 이용능력이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노인의 정보 활용능력에서 정보 기술능력과 정보 이용능력이 높을수록 생활만족이 높은 것을 의미한다. 특히 정보 이용능력이 정보 기술능력보다 생활만족에 더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정보 제공능력과 정보 비판능력은 생활만족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근거로 정책제언을 하면 첫째, 노인의 정보 이용능력 향상을 위한 정보화 교육의 활성화가 필요하다. 둘째, 노인의 정보 기술능력 향상을 위한 정보 인프라 구축이 필요하다.

현직교원과 예비교사간의 정보활용능력 격차 분석 (An Analysis on Gap of the Ability to Utilize Information Between In-service and Pre-service Teachers)

  • 김형진;남영호
    •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
    • 제15권6호
    • /
    • pp.43-52
    • /
    • 2012
  • 학습자의 정보활용능력은 학습자의 창의성을 신장시키는 자기주도학습을 가능하게 한다. 그러나 중등학교에서 정보소양 및 정보활용교육은 2009년 개정 교육과정이 시행되면 없어 질 것으로 예상된다. 따라서 중등학교에서 학습자의 정보활용능력 계발은 교사의 교과 수업을 통해 이루어질 수밖에 없을 것이며, 교사의 정보활용능력은 매우 중요한 능력으로 간주되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현직교원과 예비교사의 정보활용능력 실태를 조사하고 이들간 정보활용능력 격차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현직교원과 예비교사의 종합 정보활용능력 지수는 각각 74.4점과 50.5점으로 나타났다. 예비교사의 정보활용능력은 현직교원의 약 68% 수준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시 도교육청 및 교원양성기관은 예비교사의 정보활용능력 향상을 위한 방안을 수립 운영하여야 할 것이다.

  • PDF

NCS 직업기초능력(정보능력) 학습모듈 개발 - 영상방송과(공학계열) 중심 (NCS Learning Module Development for Vocational Core Competency (Information Ability) - Centered on Department of Video & Broadcasting(Affiliation of Engineering))

  • 안인수
    • 전기학회논문지P
    • /
    • 제64권4호
    • /
    • pp.327-332
    • /
    • 2015
  • NCS are the contents such as knowledge, technology, and culture demanded for performing the duties in the industrial field systemized by a nation classified with industrial divisions and levels. It is an ability standardized in the national level necessary for performing duties of industrial field successfully. Now, the society structure, due to abrupt change and development, has to secure core ability demanded to human resources in common, irrespective of kinds and positions, and lays an emphasis on vocational basis ability to softly cope with the accelerating change of labor market. This dissertation, on the basis of NCS-based vocational education curriculum, focuses on information ability, computer use ability(information management ability), one of vocational core competency used for the duties related at the department of video & broadcasting to develop learning module. In addition, this dissertation researches learning results such as satisfaction and accomplishment over learning on the object of the students who took the education.

간호대학생의 간호정보활용역량이 문제해결능력, 자기주도적 학습능력 및 임상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융합적 연구 (Convergence Study of Influence of Nursing Information Literacy Competency on Problem Solving Ability,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and Clinical Performance Ability in Nursing Students)

  • 조민정;구미옥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9권12호
    • /
    • pp.495-507
    • /
    • 2018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간호정보활용역량과 문제해결능력, 자기주도적 학습능력, 임상수행능력의 인과관계에 대한 경로모형을 구축하고 검증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간호학과 4학년에 재학 중인 208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이용하여 2018년 6월 4일부터 6월 18일까지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결과 간호대학생의 간호정보활용역량은 문제해결능력(${\gamma}=.70$, p<.001)), 자기주도적 학습능력(${\gamma}=.53$, p<.001)에 유의한 직접효과를 나타내고, 임상수행능력에 유의한 직접(${\gamma}=.31$, p<.001) 및 간접효과(${\gamma}=.31$, p=.007)를 나타냈다. 이들 변수들의 임상수행능력에 대한 설명력은 46.2%였다. 따라서 간호대학생의 문제해결능력, 자기주도적 학습능력 및 임상수행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간호정보활용역량을 강화시킬 수 있는 교육프로그램 개발을 권장한다.

Factors Affecting Information Systems Modeling Ability

  • Hup, Van Lian;Kang, Shin Cheol
    • Journal of Information Technology Applications and Management
    • /
    • 제25권1호
    • /
    • pp.33-45
    • /
    • 2018
  • This study was initiated to investigate the essential skill factors for system designers in order to build the right information systems. The predicted variables are mathematical modeling skill, verbal modeling skill, general IT knowledge, and general business knowledge. The test was administrated to 43 students majoring in Management Information Systems (MIS) at Hannam University, South Korea. In this study, we used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to test the relationships among variables. Overall, our study suggested that there is a strong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mathematical and verbal skills and IS modeling ability. A marginal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the general IT knowledge and IS modeling ability was also found. Unexpectedly, there was no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general business knowledge and IS modeling ability.

정보영재아들의 인지적 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Cognitive Characteristics of Information Gifted Children)

  • 김갑수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17권2호
    • /
    • pp.191-198
    • /
    • 2013
  • 지금까지 수학 및 과학에 대한 비인지적 또는 인지적인 영재성에 대한 연구들은 많이 있다. 또한 일반적인 영재아들에 대한 영재성에 대한 연구들이 많이 있다. 그러나 정보 영재에 대한 영재성에 대한 연구는 부족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정보 영재아들에 대한 인지적인 영재성을 정의하고, 영재성에 적합한 정보 문제들을 개발하여 적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정보 영재들의 인지적인 영재성은 정보 구조 기억력, 규칙화 능력, 추론화 능력, 효율화 능력, 일반화 능력, 구조화 능력, 추상화 능력으로 정의하였고, 각 능력에 대한 실제 능력을 측정하는 문제들에 대한 사례로 개발하였다. 제안한 정보 영재들의 인지적인 영재성에 대한 특성들은 정보 영재 교육 대상자들의 성취도와 상관 관계를 분석한 결과 많은 상관관계가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 결과는 정보 영재들의 영재성 평가에서도 활용할 수 있고, 정보 영재 교육 프로그램 개발에도 활용할 수 있다.

  • PDF

수학교과역량에 기반한 학습자의 토론 능력 향상 방안 탐색 (Exploring Student's Ability to Improve Debate Based on Mathematics Competencies)

  • 김수철
    • 예술인문사회 융합 멀티미디어 논문지
    • /
    • 제8권12호
    • /
    • pp.1-10
    • /
    • 2018
  • 본 연구에서는 학습자의 토론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기 위하여 중학교 국어과 토론 수업에서 요구되는 수학교과역량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리서치 활동에서는 창의성과 정보처리 능력을, 입안 활동에서는 문제해결력과 창의성, 정보처리 능력을, 반박 활동에서는 추론과 창의성, 정보처리 능력을, 요약 활동에서는 문제해결과 추론, 정보처리 능력을, 교차질의 활동에서는 문제해결과 추론, 정보처리, 그리고 창의성을, 마지막 초점에서는 창의성을, 판정 및 총평에서는 문제해결과 추론 능력을, 준비시간 활동에서는 문제해결, 추론, 정보처리 능력을 각각 요구하고 있다. 수학교과역량이 부족한 학생들은 토론 수업에서 자신의 주장을 펼치거나 상대방의 주장을 논리적으로 반박하는 것을 어려워하며, 논의된 내용들을 구조화시키고 쟁점을 도출하는 활동에도 어려움을 겪고 있다. 따라서 학습자의 토론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문제해결, 추론, 정보처리, 창의성 등과 같은 수학교과역량의 신장도 함께 요구된다고 하겠다.

NCS 정보능력이 대학생들의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Investigating the Effect of NCS Information Capability on College Students' Career Readiness Behavior)

  • 성행남;조동환
    • 한국정보시스템학회지:정보시스템연구
    • /
    • 제27권4호
    • /
    • pp.189-202
    • /
    • 2018
  • Purpose As job market squeezes and more institutions have been requiring NCS(National Competency Standards) based recruitments, the importance of NCS has been growing. Among the 10 domains of NCS, the most relevant one with MIS(Management Information Systems) field is 'information ability', which is becoming more important with the advent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era.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college students' information ability on their career preparation behavior. Design/methodology/approach In this study, we set up a process model to comprehend the effect of college students' information ability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based on social cognitive career theory. For research model testing, 561 questionnaires were used for empirical analysis through structural equations modeling. Findings Empirical analysis showed that information ability positively influenced college students' career preparation behaviors for employment. In addition, this study presented a process model explaining the effect of information capability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In order to strengthen the information ability of college students, not only university-level efforts, but also MIS discipline efforts should be accompanied. Other academic and practical implications are discuss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