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ndustry-academic cooperation

검색결과 414건 처리시간 0.03초

대학 산학협력단의 기술사업화 인적구성과 산학협력 성과 (Job Roles and Performances of Industry-Academic Cooperation Foundation focused on Technology Commercialization and Startup-supporting Officers)

  • 임의주;김창완;조근태
    • 기술혁신연구
    • /
    • 제21권2호
    • /
    • pp.115-136
    • /
    • 2013
  • 지식경제사회에서 국가 R&D수행 주체로서 대학이 차지하는 역할이 큰 폭으로 확대됨에도 불구하고 대학에 대한 사회적 요구와 성과 간에 격차가 존재하는 것이 현실이다. 본 연구는 대학 산학협력단을 대상으로 기술사업화관련 직무의 인력구성이 산학협력 성과와의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에 대한 검증을 시도한다. 이를 위하여 산학협력 성과와 산학협력단에서 기술사업화와 창업보육 직무 담당 인력을 구분하여 상관관계를 회귀분석하고 산학협력단 총 인력규모를 평균미만 및 평균이상으로 구분하여 집단 간 비교를 추진하였다. 그 결과, 기술사업화 전담 인력수가 대학의 산학협력 성과에 양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고, 집단 간 산학협력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인력규모가 평균이상인 집단에서 기술 사업화 전담인력수가 대학의 산학협력 성과에 상대적으로 더 크게 영향을 주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 결과는 대학 산학협력의 생산성 향상을 위해 산학협력단의 기술사업화 분야의 인력관리시 단순한 규모 증가가 아닌 직무 역할을 명확히 정의하고 기술사업화 부문의 전담 인력의 확대에 대한 고려가 필요함을 제기한다.

  • PDF

차세대분야 특화계획에 의한 산학협력 및 인력양성 -지능형 로봇분야 사례를 중심으로 (Industry-Academic Collaboration and Human Resource Development by a 'Specialized Plan for Next Generation' Program -The field of Intelligent Robot)

  • 이상호;유승남;경종수;한창수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0권8호
    • /
    • pp.2126-2133
    • /
    • 2009
  • 세계적으로 로봇산업이 거대시장으로 급성장할 것으로 예상되면서, 많은 국가에서 정책적으로 로봇산업 발전을 추진하고 있다. 이러한 추세에 발맞춰 대한민국에서도 정부의 전략적 주도하에 다양한 분야에서의 로봇개발이 수행되고 있다. 이러한 연구개발 프로그램들은 산학협력을 통해 이루어지고 있으며, 더 나아가 기업의 애로기술을 해소하기 위한 기술적인 지원 및 교육을 추구하는 인력양성 및 산학협력 확산 연계 프로그램을 포함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산학협동 프로그램의 잠정적인 성과에 대해 논하였다. 우선 차세대 특성화 계획에 포함된 각각의 프로그램을 설명하고, 로봇 개발과 관련한 인력양성의 성과를 평가하였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프로그램들의 지속적이고 바람직한 발전을 위한 방안을 고찰하였다.

우리나라 민간 기상 산업 육성을 위한 미국의 기상 미디어 산업 연구 - 웨더채널 사례를 중심으로 (A Case Study of the Meteorological Industry for the Media in the USA for Promotion of Private Sector Meteorological Industry in the Republic of Korea : Based on The Weather Channel Case)

  • 송병현
    • 대기
    • /
    • 제24권2호
    • /
    • pp.253-263
    • /
    • 2014
  • The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has recently focused on the promotion of the meteorological industry in the private sector. Broadcast meteorology has provided the main source of income to the Meteorological industry in the United States with The Weather Channel (TWC) being the most prominent enterprise. TWC has 31 years of history and has become an icon of innovation in the U.S. meteorological industry. TWC's success story was reviewed for the possible adaptation of Korea's meteorological media industry. Expected roles for public, academic, and private sectors were suggested for boosting industrial meteorology for the media at present and in the future.

외식산업 전문인력 양성에 관한 연구(공급자 관점에서) (A research study on the cultivation of professionals in the foodservice industry)

  • 윤지연;홍완수;김태희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45권1호
    • /
    • pp.91-99
    • /
    • 2007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a is finding the process for the development of professionals in the foodservice industry. The Questionnaire used in this study was designed to measure the capabilities of professional foodservice employees, investigate the importance and accomplishments of curriculum of the major subject, and determine areas matters of the for improvement in the of field. It was distributed to 101 professors (include lecturers) of foodservice departments, from February 1 to 28, 2006. A total of 101 usable questionnaires were received amounting to a 100 percent response rate. Statistical data analysis was completed using SPSS Win(11.0) for frequency, t-test, one sample t-test, and IPA(importance performance analysis). The results were as is follows. Regarding the As regard capabilities of professional foodservice employees, they remarked that the fair values and creative thinking are the most important. Regarding the curriculum of the major subject, generally the importance degree is higher than the accomplishment degree. The areas improvement are as follows: development of curriculum, securing the excellent faculty, academic-industrial cooperation, expanding and improving the university facilities in university, and increasing the experience during the term.

특허기반의 산학협력 유망분야 도출 방법 연구: 미활용 특허 사례 (A Study on the Method of Deriving Prospective Patent for Industrial-Academic Cooperation: A Case of Expired Patents)

  • 박상영;이성주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1권6호
    • /
    • pp.51-61
    • /
    • 2020
  • 2003년 '산업교육진흥 및 산학협력촉진에 관한 법률'에 따라 국내대학은 기업 및 정부 기관과 협업을 통하여 기초연구에서 산업에 응용할 수 있는 상업화 연구에 집중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노력에도 불구하고 산학협력을 통한 기술이전 및 기술사업화의 비율은 낮은 실정이다. 대부분의 기술이전 및 기술사업화 연구는 권리가 존재하는 특허를 분석하여 핵심기술을 도출하였다. 반면, 본 연구에서는 권리가 소멸된 특허를 기반으로 산학협력 유망기술을 도출하는 방법론을 제안한다. 이를 위해 첫째 국내 주요 대학의 미활용 등록 특허를 수집하고, 둘째 미활용 특허와 활용 특허의 품질 특성을 비교하여 미활용 특허의 가치를 검토하며, 최종적으로 미활용 특허 중 핵심특허를 발굴하여 해당 특허가 활용될 수 있는 기업과 활용 분야를 발굴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대학의 미활용 특허에 초점을 맞추어 지속적인 산학협력 및 기술이전이 가능한 특허를 발굴하고 이를 잠재수요기업과 매칭하는 전략 틀을 제시한 연구로, 대학의 산학협력 활성화와 기업의 기술사업화의 효율성 증대에 기여 할 것으로 기대된다.

쥐오줌풀의 항산화 및 산화적 DNA 손상 억제 활성 (Antioxidative Activities and Inhibition Effects on Oxidative DNA Damage of Valeriana fauriei)

  • 박재호;장태원;이승현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24권6호
    • /
    • pp.464-470
    • /
    • 2016
  • Background: Valeriana fauriei (Valerianaceae) has been used to as a traditional medicine to treat a variety of symptoms, including headache, insomnia, hypertension, and menstrual irregularity. However, the present study investigates the species' antioxidant activity and its inhibition of oxidative DNA damage, which have yet to be studied. Methods and Results: The antioxidant activity was assessed using radical scavenging assays with 1,1-diphenyl-2-picryl hydrazyl (DPPH) and, 2, 2'-azino-bis (3-ethylbenzothiazoline-6 sulfonic acid) diammonium salt (ABTS) and a reducing power assay. The total phenol content was also analyzed, and phenolic compounds were detected using HPLC/UV, whereas the inhibitory effect of Valeriana fauriei on oxidative DNA damage was measured using ${\phi}-174$ RF I plasmid DNA cleavage assay. The DPPH and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y were $75.17{\pm}3.55%$ and $95.83{\pm}0.63%$, repectively, and the reducing power was $93.14{\pm}1.74$ at $200{\mu}g/m{\ell}$. The total phenol content was $10.24{\pm}0.04mg/g$, whereas chlorogenic acid, catechin, caffeic acid and epicatechin were identified using HPLC/UV, and the ${\phi}-174$ RF I plasmid DNA cleavage assay indicated that V. fauriei provided protection against oxidative damage. Conclusions: The results of the present study suggest that V. fauriei has powerful antioxidant activity that can provide protective effects against the oxidative DNA damage caused by free radicals. The species, therefore, provides a valuable resource for the development of natural pharmaceutical to treat aging, cancer, and degenerative diseases.

스마트 캠퍼스 생태계를 위한 플랫폼 구축에 관한 연구: 대학생 핵심역량개발과 취업지원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Establishment of Platform for Smart Campus Ecosystem)

  • 서병민
    • 산업융합연구
    • /
    • 제17권3호
    • /
    • pp.39-49
    • /
    • 2019
  • ICT의 발전에 따라 대학교육의 새로운 패러다임이 요구되고 있다. 이에 따른 스마트 캠퍼스 구축은 대학 교육의 패러다임을 바꾸는 학습과 지식 중심의 접근을 비롯하여 혁신적인 기술의 적용, 여러 이해관계자의 니즈를 반영하는 접근 등 다양한 관점에서 효율적인 시스템 구축을 시도해야 한다. 본 연구는 스마트 캠퍼스 생태계를 위한 플랫폼 구축에 관한 연구로서 스마트 캠퍼스의 다양한 이해관계자의 니즈를 반영하는 접근을 하였으며, 이 중에 가장 중요한 대학생 사용자들의 학습과 대학생활 및 사회연결을 축으로 하여 이들의 경쟁력 강화와 사회진출을 돕기 위한 기능에 초점을 맞추는 연구를 하였다. 먼저, 선행연구고찰을 통해 스마트 캠퍼스 구축관련 이론들을 살펴보았으며, 다음으로는 국내외 환경분석과 동향분석을 통하여 대학생 핵심역량개발과 취업지원을 중심으로 하는 e-포트폴리오와 산학협력 지원 시스템에 대해 목표모델을 설계하여 제시하였으며, 지속적인 스마트 캠퍼스 발전 모델을 위한 주안점을 제안하였다.

축산물 중 CS2 포집방법을 이용한 Dithiocarbamate계 살균제 분석법 개발 및 검증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Dithiocarbamates Fungicide Analytical Method using CS2 Trap Method in Livestock Product)

  • 조형욱;선정훈;허효민;이상협;김장억;문준관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40권2호
    • /
    • pp.127-133
    • /
    • 2021
  • BACKGROUND: Dithiocarbamte fungicides have been used in crop cultivation for diseases protection and treatment. And cultivated agricultrual products were used as feedstuff, and residual pesticides are likely to be absorbed and transferred to livestock. But the maximum residue limits (MRLs) were not established for dithiocarbate fungicides in livestock products, and thus an analysis method was developed and validated for dithiocarbamate fungicides to establish MRLs. METHODS AND RESULTS: Samples were prepared using CS2 trap method and detected with UV/VIS spectrophotometer. Calibration line (0.1 ~ 10 ㎍/mL) was linear with r2 > 0.99. For validation, the recovery tests were carried out at three fortification levels (MLOQ, 10 MLOQ and 50 MLOQ) from livestock samples (egg, milk, beef, pork, and chicken). The results for mancozeb, propineb, and thiram ranged between 76.8 to 109.6%, 79.4 to 108.8%, and 80.2 to 107.8%, respectively and % RSD (relative standard deviation) values were below 9.5%. Furthermore, inter-laboratory analysis was performed to validate the method. CONCLUSION: All values were corresponded with the criteria ranges requested by both the CODEX (CAC/GL 40-1993, 2003) and MFDS guidelines (2016). This might be used as an official analytical method for determination of dithiocarbamate fungicides at established MRLs and monitoring.

산학연계를 이용한 선도산업 기술개발 프로그램 (Program for technological development of higher industry based industry-university cooperation)

  • 최성대;이미나
    • 한국기계가공학회지
    • /
    • 제13권3호
    • /
    • pp.1-5
    • /
    • 2014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manpower training program of technological development. The types of developed manpower training models are education about the technological development process, literacy education about technological development, and field experience. The education about the technological development process is accomplished through industry-university cooperation based on shared technical concerns. Literacy education about technological development includes information about essential methods for manpower education. Field experience involves the development of effective teaching pla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