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ndustrial biotechnology

검색결과 1,845건 처리시간 0.032초

Developmental characteristics of Tenebrio molitor larvae (Coleoptera: Tenebrionidae) in different instars

  • Park, Jong Bin;Choi, Won Ho;Kim, Seong Hyun;Jin, Hyo Jung;Han, Yeon Soo;Lee, Yong Seok;Kim, Nam Jung
    • International Journal of Industrial Entomology and Biomaterials
    • /
    • 제28권1호
    • /
    • pp.5-9
    • /
    • 2014
  • Tenebrio molitor is a major pest of stored grain, although its larvae have potential for use as food. However, little is known about the characteristics of individual larval instars of this species, and the number of instars remains disputed. Therefore, we assessed T. molitor for the average number of instars and its characteristics at different larval stages. The focus of this study was to establish a foundation for further studies on the characteristics of each larval instar. All of the T. molitor larvae showed incubation periods of 7 to 8 d and a period of 3 to 4 d for the $1^{st}$ instar. Beyond the $1^{st}$ instar, there were relatively large variations in the number of days in each instar period. Before emergence, most of the larvae had typically gone through 15 to 17 instars. The highest rate of pupae formation, 28.32%, was observed in the $17^{th}$ instars. The body length gradually increased with each successive instar, reaching its maximum at the 17th instar. Beyond the $17^{th}$ instar, however, the body length decreased. The larvae were white in the first instar, and gradually turned brown after the $2^{nd}$ instar.

만성폐쇄성폐질환을 동반한 이직광부에서 혈장 총 Peroxide 및 산화스트레스 지수 수준에 미치는 영향요인 (Influencing Factors of Plasma Levels of Total Peroxide and Oxidative Stress Index in Retired Miners with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 이종성;신재훈;백진이;정지영;최병순
    • 한국산업보건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196-204
    • /
    • 2020
  • Objective: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COPD) is characterized by persistent airflow limitations associated with chronic inflammatory response due to noxious particles or gases in the lung. Increasing oxidative stress associated with COPD.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influencing factors of biomarkers for oxidative stress in retired miners with COPD. Methods: The levels of total peroxide(TPx), total antioxidant capacity(TAC), and oxidative stress index(TPx/TAC ratio, OSI) in plasma as biomarkers for oxidative stress, serum C-reactive protein(CRP) as a biomarker for inflammation, and general characteristics were measured in 93 male subjects with COPD. COPD was defined as post bronchodilator FEV1/FVC<0.7 by spirometry. Results: Mean levels of TPx(p=0.013), TAC(p=0.010), OSI(p=0.040), and CRP(p=0.024) were higher in current smokers. Levels of TPx(β=0.445, p<0.001), TAC(β=0.490, p<0.001), and OSI(β=0.351, p<0.001) were related to CRP levels, and CRP levels were related to %FEV1 predicted(β=-0.295, p=0.003) and current smoking(β=0.214, p=0.032). Conclusions: These results suggest that oxidative stress was related to inflammation, and inflammation were related to decreasing %FEV1 predicted and current smoking in retired miners with COPD.

제지용 첨가제의 최근 개발동향 (The Trends of Recent Development in Papermaking Additives)

  • 류정용;김형진;조병묵
    • 공업화학
    • /
    • 제18권6호
    • /
    • pp.531-536
    • /
    • 2007
  • 본 총설은 최근 제지 분야에 적용되어 종이의 품질을 향상시키고 생산효율을 개선하는 등 제지산업의 경제성 향상을 이끌어 내거나 장차 이끌어낼 것으로 기대되는 새로운 제지용 첨가제를 소개하기 위하여 작성되었다. 본 총설에서는 최근 개발되어 제지 현장에 적용된 새로운 첨가제에 대한 소개뿐만 아니라 그 적용 원리, 방법, 조절 및 점검 방안과 향후 발전 방향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기본적으로 2000년대에 들어선 지난 수년 동안 제지산업의 기술개발 노력은 기 개발된 기술의 최적화를 통한 경제성 확보 및 종이 품질과 생산 효율의 개선에 집중되어 왔다. 따라서 제지용 첨가제 분야에 혁신적인 변화는 없었다고 볼 수 있으나 기술적인 측면에서 몇 가지 중요한 첨가제의 개발이 보고되었으며 이를 바탕으로 기존의 제지공정에 대한 보다 합리적인 관리가 가능하게 되었다고 할 수 있다.

알킬 글리시딜에테르와 지방산의 축합반응 연구 (Study on the Condensation Reaction of Alkyl Glycidyl Ethers and Fatty Acids)

  • 김지현;황현아;이영석;이병민
    • 공업화학
    • /
    • 제23권4호
    • /
    • pp.416-420
    • /
    • 2012
  • 지방산 디에스테르 합성의 편리한 방법을 연구하였다. 긴 사슬 디에스테르는 천연윤활제와 절연유로서 많이 사용된다. 옥틸, 도데실, 헥사데실, 옥타데실 그리고 옥타-9-엔일 글리시딜 에테르 계열을 이러한 디에스터 구조를 합성하기 위해 사용하였다. 알킬 글리시딜에테르를 올레인산 그리고 옥타노익산과 같은 지방산과 반응시켰으며, one-step / two-step 축합반응을 비교하였다. 생성물인 1-O-acyl-2-O, 3-O-dioctadec-9-enoylglycerol은 $^{1}H-NMR$, FT-IR 그리고 HR/MS 스펙트럼을 통해 확인하였으며, 수율은 55~60%이었다.

금 표면 위의 메르캡토언데카노익산층 표면과 이산화지르코늄 표면 사이의 정전기적 상호작용 (Electrostatic Interaction between Mercaptoundecanoic-acid Layers on Gold and ZrO2 Surfaces)

  • 박진원
    • 공업화학
    • /
    • 제25권6호
    • /
    • pp.607-612
    • /
    • 2014
  • 이산화지르코늄 표면에 흡착되는 금 입자의 분포 또는 그 반대 경우의 분포에 영향을 끼칠 수도 있는 정전기적 상호작용과 금 입자를 코팅한 mercaptoundecanoic acid층의 표면물성을 규명하였다. 이를 위하여, 원자힘현미경(AFM)으로 mercaptoundecanoic acid층 표면과 이산화지르코늄표면 사이의 표면힘을 염 농도와 pH 값에 따라 측정하였다. 측정된 힘은 Derjaguin-Landau-Verwey-overbeek (DLVO) 이론에 의해 표면의 정량적인 전하밀도와 포텐셜 값들로 전환되었다. 이 값들이 염 농도와 pH에 따라 달라지는 특성을 질량보존의 법칙으로 기술하였으며, 산출된 표면 특성의 염 농도 의존성은 이론적으로 예측했던 결과와 일치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Mercaptoundecanoic acid층의 표면이 이산화지르코늄 표면보다 높은 전하밀도와 포텐셜을 갖는 것이 발견되었는데, 이는 mercaptoundecanoic acid층의 이온화 기능기에 기인한 것으로 생각된다.

융합교육의 현황 및 향후 방향: 한밭대학교 사례중심으로 (A Study on Convergence Education: A case of Hanbat National University)

  • 윤린;김인선;최병욱
    • 공학교육연구
    • /
    • 제14권3호
    • /
    • pp.55-60
    • /
    • 2011
  • 본 논문은 한밭대학교 융합교육 사례를 중심으로 주요 융합학문 분야의 특징과 국내 대학의 융합교육 현황에 관해 연구한 내용이다. 각 학문분야별로 융합교육을 실시하고 있는 대학들의 사례를 분석하였고 국내 대학에서 융합교육의 추진방향을 모색하였다. 이를 통해 향후 국내 대학의 융합교육의 효과적인 방향을 도출하였다. 학생들과 교수들의 융합교육의 의미와 필요성에 대한 절실함에서 출발하여, 학교와 산업구조의 성격을 고려한 융합교육의 창조, 그리고 융합의 전체적인 학교 틀에서 학생들 스스로 자치그룹형성과 이에 대한 물질적 제도적 지원이 우선적으로 필요하다는 결론에 도달하였다.

호모발효 젖산군의 분리 및 특성 (Isolation and Characteristics of a Homofermentative lactic Acid Bacterium)

  • 하미영;정선용;김성준
    • KSBB Journal
    • /
    • 제17권4호
    • /
    • pp.333-338
    • /
    • 2002
  • 생분해성 고분자 합성물질의 원료가 되는 젖산을 주로 생산하는 균을 김치로부터 분리하였다 SEM을 사용하여 관찰한 분리한 균의 형태는 연쇄간균이었고 165 rRNA sequencing 에 의해 계통발생학적 분석의 결과 Lactobacillus casei KH-1로 명명하였다. 1. casei KH-1는 g1ucose를 젖산으로 98%를 전환시키는 호모발효균이었으며, D(-)와 L(+)-이성질체를 각각 7%와 93%를 포함하는 racemic mixtrure로 젖산을 생산하였다. L. casei KH-1은 다른 lactobacillus속과는 달리 세포의 성장과 젖산의 생산에 기질로서 lactose를 이용하지 못하였지만 glucose의 이용은 이전의 연구들과 비교할 때 효과적이었다. Lactobacillus속의 배양에 사용되는 MRS배지의 질소원을 저렴한 원료 즉, YE와 CSL를 1:1로 첨가한 배지로 대신하여 최대의 젖산수율(1.09 mole .mole$^{-1}$)을 얻어 젖산발효에 효과적인 질소원의 대체가 이루어졌다

재래식 메주로부터 야생 Killer 효모의 분리 및 Killer Toxin의 생산 (Isolation of Wild Killer Yeast from Traditional Meju and Production of Killer Toxin)

  • 이종수;이성훈;김재호;유진영
    • KSBB Journal
    • /
    • 제14권4호
    • /
    • pp.434-439
    • /
    • 1999
  • 재래식 메주로부터 생리 기능성의 우수한 효모를 분리하여 이들을 발효산업에 이용하고자 전국 각지의 재래식 메주에서 분리한 47주의 효모중 killer 감수성 균과 장류의 가스 생성 효모에 대하여 killer 활성이 강한 S-13 효모를 선발하여 동정한 후 killer toxin 생산 최적 조건을 검토하였다. S-13의 형태학적, 배양학적 및 생리학적 특성 등을 조사한 결과 Hansenula capsulata로 추정되었고 H. casulata S-13 을 YEPD 배지(pH 4.5)에 접종하여 $25^{\circ}C$에서 36시간 대수기 말기까지 배양하였을때 가장 많은 killer toxin이 생성되었다. 또한, H. capsulata S-13은 재래식 메주에서 분리된 Saccharomyces spp. OE-2 등 7주의 메주 효모와 S. cerevisiae 등 3주의 발효산업 관련 효모에 대하여 Killer 활성을 보였다.

  • PDF

폐수처리에 있어 질산화 공정 인자의 영향 (Effect of Factors of Nitrification Process in Wastewater Treatment)

  • 정귀택;박석환;박재희;임은태;방성훈;박돈희
    • KSBB Journal
    • /
    • 제24권3호
    • /
    • pp.296-302
    • /
    • 2009
  • 질산화 미생물은 환경조건에 대단히 민감하여 질산화 영향인자의 변화에 의하여 미생물의 성장과 활동이 좌우되고, 이에 의해 질산화 공정의 성공여부가 좌우된다. 질산화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로는 배양온도, pH, 용존산소, 기질량, C/N비, 미생물량 등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폐수처리장의 활성슬러지를 이용하여 합성폐수의 질산화 공정에 미치는 인자들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고농도의 암모니아성 질소(100 mg/L 이상)를 함유한 경우에 있어서는 합성폐수의 pH가 초기 8에서 pH 6.8까지 감소하였다. 이는 질산화 과정을 통하여 아질산성 질소와 질산성 질소가 생성되어 합성폐수 중의 pH 변화를 가져온 것으로 판단된다. 질산화 공정에서 각각 초기 암모니아성 질소 농도, 공급공기량, 접종한 활성슬러지 양에 비례해서 일정구간에서는 암모니아성 질소의 제거속도가 증가하였다. 질산화 공정에서 C/N 비의 영향은 일정 C/N 비 범위에서는 탄소원이 존재할수록 초기에 암모니아성 질소의 제거율이 증진되는 결과를 얻었다.

Pilot 규모의 상향류식 충전탑 반응기를 이용한 생활오수의 유기물 및 질소, 인 처리에 관한 연구 (A Study on Removal of Organics, Nitrogen and Phoschorus of Domestic Wastewater in Pilot-Scale Upflow Packed Bed Column Reactor)

  • 선용호
    • KSBB Journal
    • /
    • 제22권4호
    • /
    • pp.191-196
    • /
    • 2007
  • 본 연구는 급속한 산업 발전으로 인해 일어난 많은 수질오염 문제 중 생활하수의 처리방법에 관심을 기울여 생물막 공법을 이용하였는데, 이는 소규모 오폐수 처리장치에서 운전과 유지가 간단하고 활성슬러지 공정보다 넓은 부지를 필요로 하지 않기 때문이다. 생물막 공법 중 생물여상법의 변법을 적용한 Pilot 규모의 상향류식 충전탑형 반응기로 내부의 담체로는 폐토기와 폐비닐을 넣어 혐기조와 호기조를 구성하였고, 생활 오수로는 식당 오수를 이용하여 Lab.-Scale 실험 후 Pilot-Scale로 Scale-up하여 100여일 간에 걸쳐 실험을 수행하였다. 실험은 연속 포기시 일정 HRT에서 유기물과 질소, 인 제거율을 살펴보았다. 실험결과 $BOD_5$와 SS의 평균 제거율은 각각 94.33%와 87.77%로 높은 제거율을 보였으나, $COD_{Cr}$은 81.46%로 목표 제거율 90% 이상에 미치지 못하였고, T-N과 T-P도 각각 71.92%와 21.10%로 예상보다 약간 낮았다. 특히 $COD_{Cr}$와 T-N의 제거율은 지난 Lab.-Scale 때보다 약 10% 정도의 감소를 하여 Pilot-scale에 내외적인 문제가 작용한 것으로 보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