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ndustrial accident

검색결과 1,310건 처리시간 0.024초

A Study on the Probabilistic Risk Analysis for Safety Management in Construction Projects

  • Lee, Dong-Yeol;Kim, Dong-Eun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6권8호
    • /
    • pp.139-147
    • /
    • 2021
  • 건설 분야의 산업재해가 차지하는 비율은 전체 산업의 29%로 고위험군산업에 해당한다. 또한 다양한 공정이 존재하며, 소수의 관리자가 다수의 근로자를 관리하고 감독하는 특성상 위험도 관리가 필수적이다. 따라서 공사의 종류 및 공법에 따라 체계적이고 과학적인 위험도분석 방안을 마련해야 하며, 작업현장의 위험도를 점진적으로 완화하고 개선해야한다. 본 연구에서는 도로 교량공사 공종별 안전사고 발생확률 자료 및 전문가 데이터를 기초로 하고 확률론적 접근 방법인 몬테카를로 시뮬레이션을 활용하여 신뢰도 있는 위험지수를 산정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고 평가하였다. 리스크 식별은 도로 교량공사를 토공사, 배수공사, 교량공사로 구분하여 전문가 데이터를 바탕으로 발생가능한 안전사고를 분류하였다. 도로 교량공사의 토공사, 배수공사, 교량공사의 세부공종별로 위험지수를 도출하였다.

다변량 분석을 이용한 건설업 발주자의 안전보건조치 의무 도입 필요성 분석 (Analysis of the Necessity of Introducing the Obligation to Take Safety and Health Measures for Construction Orderers using Multivariate Analysis)

  • 임세종;서재민;원정훈;김창원
    • 한국안전학회지
    • /
    • 제37권1호
    • /
    • pp.20-29
    • /
    • 2022
  • To stem the ever-prevalent occurrence of industrial accidents in the construction industry, which is emerging as a social problem, efforts must be invested by various stakeholders. Specifically, among stakeholders, the orderer is at the top of a project's decision-making structure. Therefore, the orderer's awareness of safety and health directly affects the process of securing the safety of the overall construction site. In this light, the present study aims to identify differences in the perceptions of each stakeholder regarding the obligatory safety and health measures for clients that have recently been introduced. In addition, it suggests specific implementation plans in the Korean context. The data used for analysis were collected through a survey targeting stakeholders such as orderers, safety managers, and site managers, and the collected data were quantitatively reviewed by using multivariate analysis methods such as analysis of variance.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introduction of safety and health obligations for the owner was found to be necessary, and the designation and operation of safety and health experts as an action plan was deemed reasonable. The authors expect that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as basic data for revising the related regulations in Korea. Moreover, as a further study, a review of the effectiveness after improving regulations would contribute strongly to the domain.

설문조사를 통한 스마트 건설안전기술의 실태분석 및 활성화 방안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Actual Condition Analysis and Activation Plan of Smart Construction Safety Technology by the Survey)

  • 김용선;오태근;김춘상;이나은;홍창수;이상영;윤영근
    • 한국안전학회지
    • /
    • 제37권1호
    • /
    • pp.30-40
    • /
    • 2022
  • The death rate in the construction industry, which is more than twice that of other industries, increases the need to solve chronic safety problems. In a situation in which the safety management measures that have been maintained thus far are unable to reduce construction accidents, the introduction of smart construction safety technology (SCST) that reflects the 4th industrial technology is required for the safety management of workers. Large corporations or public institutions have introduced SCST and are operating pilot sites, but SCST is still in its infancy and there have yet to exist field data regarding necessity and effectiveness. In this study, the concept of SCST, which has still to be established, is defined, and the actual condition of SCST was analyzed through a survey. Through the analysis of the necessity of SCST introduction, convenience, and effectiveness before and after its application, problems such as problems from the field point of view as well as other factors hindering the introduction of such technology are derived in detail. In addition, an effective combination of technologies for safety management at the current level is determined and an activation plan is presented.

건설장비 사고예방을 위한 위험지수 개발에 관한 연구 - A사 건설장비 사고사례 중심으로 - (Study on The development of Danger Indicator for Prevention of Construction Equipment Accidents - Based on construction equipment accidents of A company -)

  • 김병용;호종관
    • 한국건설안전학회 논문집
    • /
    • 제4권1호
    • /
    • pp.9-15
    • /
    • 2021
  • 최근 건축물이 대형화, 복합화되고 다양한 공법들이 시도되고 있다. 이에 건설장비 사용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것은 물론, 그에 따른 안전사고도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고용노동부 산업재해현황 발표자료에 따르면 건설업 사망사고 중 건설장비로 인한 사망사고 비율이 2009년부터 지속적으로 증가해오고 있는 실정이다. 범죄·교통 등 타산업의 안전분야에서는 평가지표 개발 또는 위험 지수 개발의 요구가 있어 정량적인 지수를 개발하는 연구가 지속적으로 연구가 진행되어 왔다. 반면에 건설장비는 재해사례를 분석하여 개선대책을 도출하는 연구는 되고 있으나, 위험 지수와 관련된 연구는 부재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사고사례를 기반으로 현장의 건설장비 위험 수준을 선행적으로 판단할 수 있는 정량적 지수를 개발하고, 현업에 활용 가능성도 확인해 보고자 한다.

용도 변경된 암모니아 탱크 안전밸브 및 흡수시설에 관한 연구 (Study of Pressure Safety Valves and an Absorption System for a Repurposed Ammonia Tank)

  • 배종훈;이창준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60권4호
    • /
    • pp.512-518
    • /
    • 2022
  • 본 연구는 울산석유화학공단 내 A사의 암모니아 탱크 안전장치를 대상으로 진행하였다. 탱크는 실린더 형태이며, 1972년에 프로필렌을 저장하기 위해 설계되었다. 그 후 시장환경에 따른 생산계획 변경으로 인해 탱크의 용도가 암모니아 저장으로 변경되었다. 저장 물질을 변경하는 과정에서 안전성을 검토했던 어떠한 과학적인 정보나 검토 자료를 찾을 수가 없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현재 안전하게 운전되고 있는지를 확인하기 위해 탱크의 상태를 조사하였다. 또한, 현재 설치되어 운영되고 있는 두 개의 안전장치 암모니아 흡수 시스템 및 Water curtain이 어느 정도 사고의 영향을 경감하는지 분석하였다. 마지막으로, 비상대응계획 작성에 활용하기 위한 CA(consequence analysis)를 수행하였다. 그 결과 사고의 영향을 효율적으로 완화할 수 있도록 안전장치가 설치되어 있음을 확인하였으며, 암모니아 누출 시 긴급대응에 필요한 시간을 제시할 수 있었다.

반도체 배기 공정에서 복합 처리 방식으로 인한 폭발 사고 예방대책에 관한 연구 (A Study on Prevention of Explosion Accidents by Complex Treatment Methods in Semiconductor Exhaust Process)

  • 최세욱;이대준;김상령;김상길;정정희;양원백
    • 한국가스학회지
    • /
    • 제26권5호
    • /
    • pp.28-34
    • /
    • 2022
  • 반도체 공장은 인구가 밀집된 지역에 위치하여 제조 공정에서 취급되는 위험물질의 안전한 처리가 무엇보다 중요하다. 특히나 반도체 제조 공정에서 취급 후 배출되는 위험물의 종류는 매우 다양하며 물질별로 연소, 흡수, 흡착 방식 등 처리 방법도 매우 복잡하다. 따라서 최근 반도체 배기 처리 공정에서는 하나의 처리 설비에 두 개 이상의 처리 방식을 적용하고 있는데, 이러한 복합 처리방식 적용으로 예상치 못한 사고가 발생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최근의 사고 사례인 Scrubber 방식과 전기 집진방식을 함께 적용한 처리 설비의 사고 원인을 파악하고 예방대책을 제시하여 복합 처리방식 적용 시 유의해야 할 점을 알아보고자 한다.

레이저 변위 센서를 활용한 배관 표면 상태분류 (Classification of the Rusting State of Pipe Using a Laser Displacement Sensor)

  • 천강민;신백천;신건호;고정일;이준혁;허장욱
    • 한국기계가공학회지
    • /
    • 제21권5호
    • /
    • pp.46-52
    • /
    • 2022
  • Although pipe performs various functions in industrial sites and residential spaces, if it is damaged due to corrosion caused by the external environment, it may cause equipment failure or a major accident. For this reason, various studies for safety management are being conducted, but studies on detecting corrosion or cracks on the pipe surface using a laser displacement sensor have hardly been conducted. Therefore, in this study, the corrosion degree of the pipe surface was compared and classified into 4 corrosion conditions, and inspection equipment using a laser scanner was manufactured. The corrosion height was calculated from the four surface data obtained from the measuring equipment and applied to various CNN algorithms, and 91% accuracy was obtained during training using the Modified VGGNet16 code with reduced number of parameters.

제조물책임 범위의 확장 : SW와 AI의 적용가능성 (Expansion of Product Liability : Applicability of SW and AI)

  • 김윤명
    • 정보화정책
    • /
    • 제30권1호
    • /
    • pp.67-88
    • /
    • 2023
  • 제조물책임 범위 확장이 필요한 것은 제조물책임법 제정 시 산업 환경이 변했기 때문이다. 사람이 코딩한 알고리즘과 다르게, 인공지능은 기계학습에 따라 블랙박스화 되면서 개발자도 결과를 설명하지 못한다. 특히, 인공지능으로 인하여 발생하는 문제의 원인을 알 수 없기 때문에 책임소재도 불분명할뿐더러 피해자 배상도 쉽지 않다. 동산 등으로 한정된 제조물책임법에 따라 소프트웨어(SW)나 인공지능은 무체물로 제조물성이 인정되지 않기 때문이다. 고육지책으로 매체에 저장되거나 내장된 경우에는 제조물성이 인정될 수 있다고 한다. 그러나 매체에 따라 달리 적용되는 것은 타당하지 않다. EU는 인공지능이 포함된 경우, 제조물책임을 인정하는 제조물책임지침 개정을 추진 중이다. 피해자에 대한 보상이 제조물책임법이 추구하는 가치임에도 제조물성에 치중하여 본질을 간과해왔다. 다만, 인공지능이 채택된 서비스를 이용하여 발생한 사고라도 무조건적으로 제조물책임을 지우는 것이 아닌 실질적인 위험성에 따른 기준이 제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Epidemiologic Changes of Facial Bone Fracture before and after Coronavirus Disease 2019: A Level 1 Trauma Center in Korea

  • Jeong Ho Kim;Chae Eun Yang;Sug Won Kim;Jiye Kim
    • Archives of Plastic Surgery
    • /
    • 제50권1호
    • /
    • pp.37-41
    • /
    • 2023
  • Background The coronavirus disease 2019 (COVID-19) outbreak has had a major impact worldwide. Several countries have implemented restrictions on social interaction ("social distancing"). Several studies have reported that the epidemiology of trauma patients, such as those with facial bone fractures, has changed after COVID-19 pandemic. This study aimed to further explore these specific changes. Methods This was a retrospective study of patients who presented to a single institution with facial bone fractures between January 1, 2016, and December 31, 2020. Baseline patient demographics, clinical information, type of fracture, etiology, and operative management were compared before and after COVID-19. Results Of all cases, 3,409 occurred before COVID-19, and 602 occurred after COVID-19. Since the outbreak of COVID-19, the number of patients with facial fractures has not decreased significantly. A significant increase was noted in fractures that occurred outdoors (p < 0.001). However, a decrease was observed in operative management between the groups (p < 0.001).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proportion of assault, fall-down, industrial accident, or roll-down. In contrast, the proportion of traffic accidents and slip-down categories increased significantly (p < 0.05). Moreover, a significant decrease was found in the proportion of the sports category (p = 0.001) Conclusions It was confirmed through this study that COVID-19 pandemic also affected epidemiology of facial fractures. Focusing on these changes, it is necessary to develop safety measures to reduce facial fractures.

근전전동의수의 파지력 및 내구성 시험 표준 개발 (Development of gripping force and durability test standard for myoelectric prosthetic hand)

  • 차국찬;최기원;이석민;박상수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9권4호
    • /
    • pp.393-399
    • /
    • 2023
  • 상지 절단 장애인은 미관 목적과 기능적 필요성에 의하여 상지 의지를 착용하며, 특히 양손 절단자인 경우 잡는 동작 즉 파지동작이 가능한 근전 전동의수의 착용이 필수적이다. 잔존 근육의 근전도 신호에 의하여 작동하는 근전 전동의수는 산업재해보상보험의 공적보험 급여 품목이며, 사용자의 안전과 제품 성능의 유효성에 대한 시험 방법 표준의 개발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상지 전동의수의 잡는 힘 즉 파지력을 로드셀을 이용하여 측정하고 반복 동작으로 인한 내구성을 근접센서를 이용하여 시험하기 위한 내구성 시험 장치를 개발하고 그 시험 방법의 표준을 제안한다. 아직까지 국제 표준화 기구 ISO(International Standardization Organization)의 시험 표준이 제정되지 않은 상태이므로 향후 전동의수 시험 표준 분야에서 한국의 선도적인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