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nduced ground

검색결과 907건 처리시간 0.027초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Indoor Particulate Matter Collected on Subway Platforms in Japan

  • Ma, Chang-Jin;Matuyama, Sigeo;Sera, Koichiro;Kim, Shin-Do
    • Asian Journal of Atmospheric Environment
    • /
    • 제6권2호
    • /
    • pp.73-82
    • /
    • 2012
  • This study was aimed to thoroughly estimate the characteristics of indoor particulate matter (PM) collected on subway platforms by the cooperative approach of semi-bulk and single particle analyses. The size-resolved PM and its number concentration were measured on the platform in a heavily traveled subway station in Fukuoka, Japan. Particle Induced X-ray Emission (PIXE) and micro-PIXE techniques were applied to the chemical analyses of semi-bulk and single particle, respectively. There was the close resemblance of timely fluctuation between PM number concentration and train service on the third basement floor (B3F) platform compared to the second basement floor (B2F) and its maximum level was marked in rush hour. Higher number counts in large particles ($>1{\mu}m$) and lower number counts in fine particles ($<1{\mu}m$) were shown on the platform compared to an above ground. PM2.5 accounted for 58.2% and 38.2 % of TSP on B3F and on B2F, respectively. The elements that were ranked at high concentration in size-resolved semi-bulk PM were Fe, Si, Ca, S, and Na. The major elements tending to have more elevated levels on B3F than B2F were Fe (4.4 times), Ca (17.3 times), and Si (46.4 times). Although concentrations were very low, Cr ($11.9ng\;m^{-3}$ on B3F, $2.4ng\;m^{-3}$ on B2F), Mn ($3.4ng\;m^{-3}$ on B3F, $0.9ng\;m^{-3}$ on B2F), and Pb ($0.6ng\;m^{-3}$ on B3F, $1.6ng\;m^{-3}$ on B2F) were detected from PM2.5. Individual PM was nearly all enriched in Fe with Si and Ca. Classifying and source profiling of the individual particles by elemental maps and particle morphology were tried and particles were presumably divided into four groups (i.e., train/rail friction, train-rail sparking, ballast/abrasive, and cement).

시공단계의 진동레벨 단위적용에 관한 사례 연구 (A Case Study on the Application of Vibration Level Units in the Construction Phase)

  • 최형빈;김동연
    • 화약ㆍ발파
    • /
    • 제30권2호
    • /
    • pp.86-97
    • /
    • 2012
  • 건설현장의 노천발파로 발생되는 지반진동은 인체의 간접피해 및 구조물의 물적 피해를 동반하며, 인체는 진동레벨, 구조물은 진동속도 단위로 평가한다. 본 연구는 실시단계 진동기준 중 진동속도 외 누락된 진동레벨 단위를 추가, 진동속도 및 진동레벨을 동시 측정한 적용사례로서 추후 민원이 예상되는 현장관리에 도움이 될 것으로 여겨진다. 발파진동 및 진동레벨 추정식 도출을 위한 표본수는 총 232개가 사용되었으며, 진동속도 0.3 cm/s와 진동레벨 75 dB(V) 기준의 지발당장약량을 비교한 결과, 후자가 20.0~40.9% 여유가 있음을 입증하여 진동레벨 단위척도 추가는 전혀 문제되지 않음을 언급하였다. 소음 진동 관리법이 우선된다면 노천발파 시공비용은 훨씬 저감될 것으로 생각된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계측기기는 국내에서 처음으로 진동속도 및 진동레벨을 동시 측정할 수 있는 특성을 지닌 SV-1모델을 사용하였다.

SP2 (Single Particle Soot Photometer)를 이용한 제주도 5월 Black Carbon 특성 (Characteristics of Black Carbon Particles in Ambient Air Using a Single Particle Soot Photometer (SP2) in May 2013, Jeju, Korea)

  • 오준;박진수;이상욱;안준영;최진수;이상덕;이용환;김현재;홍유덕;홍지형;김정호;김상우;이강웅
    • 한국대기환경학회지
    • /
    • 제31권3호
    • /
    • pp.255-268
    • /
    • 2015
  • Single particle soot photometer (SP2) is an advanced instrument capable of real-time measurement of concentration, coating thickness, and size distribution of individual BC particle using laser-induced incandescence. So far, there have been insufficient studies examining the real-time characteristics of BC in Korea. In this study, we examined temporal variations in BC concentration and mass size distribution of BC in volume equivalence diameter at a background site of Aewol, Jeju in May. Average concentration and mass median diameter (MMD) of BC particles measured during the study period (06~ 16 May 2013) were $0.69{\pm}0.48{\mu}g/m^3$ and $196{\pm}17nm$, respectively. The BC concentration measured in Aewol was very similar to that observed in the spring of 2012 in Baengnyeong island, and showed diurnal profiles similar to those in other background areas. MMD of BC ranged from 172 to 222 nm. It was found that the mass size distribution of BC varied depending on the location (ground-based), season, types of air masses, and altitude (aircraft-based).

미세전류 적용이 편평족을 가진 사람들의 보행근육 피로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Microcurrent Application on Muscle Fatigue of Pes Planus during Gait)

  • 이대환;손호희;박수진;김진상;김경
    • 대한물리치료과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51-62
    • /
    • 2011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microcurrent on fatigue of muscles in people who were flat-footed during gait. Methods: 10 flat-footed university students volunteered to participate in this study. 10 flat-footed subjects were divided into 2 groups, one group was experimental group of 5subjects(This group put on microcurrent induction shoes but the subjects were not able to feel the current.) and the other group was the control group of 5subjects(This group put on the general shoes which were similar in shape but microcurrent was not induced.) to perform double blind test and random sampling. Their gait muscle fatigue of 6 regions (vastus medialis, gastrocnemius, tibialis anterior, biceps femoris, erector spinae, and rectus abdominis muscle.) was measured by EMG MP150, Delsys Inc Boston, USA during walking and then they carried out the Harvard step with a platform (It was a arbitrarily made wooden platform of 100cm long, 50cm wide, 60cm high. They carried out climbing it for one second and descending it for one second by using the Metronome program, total 5minutes) for 5minutes. Right after that, the subjects walked on a treadmill at a speed of 4km/h for 10minutes and then their gait muscle fatigue of 6regions was assessed while they were walking on the ground as equally as before exercise. Results: The experimental group has resulted in lower average differences in gait muscle fatigue before and after exercise than those of the control group average 12.24Hz(P=0.009) at vastus medialis, average 8.52Hz(P=0.016) at gastrocnemius, average 9.16Hz(P=0.009) at tibialis anterior, average 8.66Hz(P=0.047) at biceps femoris, average 7.53Hz(P=0.016) at erector spinae, and average 7.80Hz(P=0.047) at rectus abdominis. All of the assessments of muscles have shown significant difference statistically. Conclusions: This result has shown that the use of micro current could decrease gait muscle fatigue of flat-footed people. It is recommended to use a microcurrent to reduce their gait muscle fatigue.

  • PDF

GIS 기반 지반공간정보 추정을 통한 부지고유 지진응답 매개변수 기반 인천 지역의 부지분류 (Site Classification for Incheon According to Site-Specific Seismic Response Parameters by Estimating Geotechnical Spatial Information Based on GIS)

  • 선창국;김한샘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19권4호
    • /
    • pp.17-35
    • /
    • 2016
  • 지진으로 인한 재난은 지반운동의 증폭과 관련된 부지효과의 차이로 인해 흔히 견고한 토사나 암반에 비해 연약한 토사 지역에서 심하게 나타나고 있다. 지역적 관점에서 이러한 차이는 대상 영역 전체의 토사 지층 분포의 예측을 통해 우선 파악할 수 있다. 토사는 대개 내륙에 비해 강이나 해안 주변에서 두껍게 발달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해안 대도시 인천을 대상으로 부지효과를 평가하고 지진재해 정보를 제공하고자, 연구 영역 전체의 지반지층에 대해 GIS 기반의 공간예측을 수행하였다. 약 7,000 여공의 기존 시추조사 자료를 수집하여 GIS DB로 구축하였으며, 추가적으로 현장답사를 통해 지표지반 자료들을 확보하였다. 구축된 지반 DB를 토대로 부지고유 지진응답 매개변수들에 관한 공간구역화 지도들을 지역 지진대책에서의 활용을 위해 제시하였다. 지반지진공학 매개변수별 공간 구역화 수행을 통해 인천 확장영역의 지진위험도를 평가하고, 부지분류 구역정보를 도출함으로써 내진설계의 부지증폭계수를 결정하였다. 이 때 대상 영역 전체에 걸쳐 부지분류에 관한 공간구역화를 부지응답 매개변수별로 수행하고 각 매개변수별 공간분포를 비교하였다. 이에 따라 인천 행정 단위별로 부지주기의 공간구역화를 수행하였으며, 지반지진공학적 취약부지를 평가함으로써 해안 대도시에서의 지진재해 저감을 위한 의사결정 지원의 활용가능성을 확인하였다.

폐석적치장의 산성배수발생 및 수리특성 분석 (The Acid Rock Drainage and Hydraulic Characteristics of the Waste Rock Dump)

  • 정영욱;지상우;임길재
    • 한국지반환경공학회 논문집
    • /
    • 제5권4호
    • /
    • pp.13-24
    • /
    • 2004
  • 부산광역시 소재 폐납석광산인 임기광산 채굴적 및 폐석적치장 및 하상퇴적물에 대해 산-염기 평가(ABA test)와 폐석적치장 상부에 대해 디스크-장력침투계를 이용하여 수리특성을 분석하였다. 임기광산 폐석적치장 주변에서 최대 산 발생력(MPA)은 246.942kg $H_2SO_4/t$였고, 산 중화능력(ANC)은 최대 8.7kg $H_2SO_4/t$로 나타나 노출된 채굴적 암반 및 폐석은 ARD를 발생하는 지질물질로 나타났다. 또한 이들에는 이미 황화광물이 산화되어 암석 표면에 염 및 자유수소 이온을 보유하여 강우와 접촉시 표층수 및 침투수 등을 ARD로 변화시키는 지구화학적 특성을 지닌 상태로 판단된다. 임기광산의 폐석적치장은 비록 매우 낮은 침투율을 갖고 있으나 폐석적치장 법면부에 심한 침식작용으로 V자형 침식골이 노출되어 있고 노출부위에 수리전도도가 큰 쇄설층들이 노출되어 강우의 침투경로 역할을 할 것으로 판단된다. 이러한 굵은 쇄설성 입자층의 노출은 지표에서 생성된 ARD 통로 기능뿐만 아니라 공기의 이동 경로가 되어 폐석내 포함된 황화광물의 지속적인 산화작용을 유발시키는 수리적 특성을 보유한다고 할 수 있다.

  • PDF

백두옹 추출물의 치주 병인균에 대한 항균효과 (The Antimicrobial Effect of Pulsatilla Koreana Extracts to Oral Micro-Organism)

  • 정성화;정진형;임성빈;김정근;소은희
    • Journal of Periodontal and Implant Science
    • /
    • 제30권3호
    • /
    • pp.661-676
    • /
    • 2000
  • Gingivitis and periodontitis are infectious diseases in that microorganisms are the primary extrinsic cause of the diseases. the occurrence of gingivitis has been associated clearly with the presence of microorganisms at the disease site, and the histologic nature of the tissue involved is indicative of an inflammatory response induced by microorganisms. additional evidence for the microbial etiology of periodontal disease is that numerous antimicrobial agents are effective in reducing plaque accumulation and periodontal diseases.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analyze the antimicrobial effects of Pulsatilla koreana. Well-dried Pulsatilla koreana purchased from herbs distributor was ground and extracted into methanol(MeOH), ethylacetate(EtoAc), chlorform($CHCl_3$) and Butyl alcohol(BuOH). we have then applied each solution to the bacteria samples(Bacteroides forsythus, Streptococcus mutans, Streptococcus sanguis, Porphylomonas gingivalis, Actinobacillus actinomycetemcomitans, Eikenella corrodens, Prevotella intermedia, Actinomyces viscosus, Prevotella nigrescens , Rothia dentocariosa, Fusobacterium nucleatum, Pseudomonas aeruginosa, Staphylococcus aureus) collected from several organizations. To conduct susceptibility test(Kirby-Bauer method), plate contained each periodontopathic bacteria is spread extracted into methanol(MeOH), ethylacetate(EtoAc), chlorform($CHCl_3$) and Butyl alcohol(BuOH) and to measure the minimum inhibition concentration(MIC) of the bacteria against the solutions to ultimately determine antimicrobial effects of the solutions, insert bacteria sample into $20{\mu\ell}/{m\ell}$, $10{\mu\ell}/{m\ell}$, $5{\mu\ell}/{m\ell}$, $2.5{\mu\ell}/{m\ell}$ of each solution and control group(not contained solution) 1. Solution extracted into methanol did not show clear zone against all bacteria samples. Only P.nigrescens, S. mutans and S. sanguis in solution extracted into ethylacetate, S. mutans and S. anguis in solutions extracted into chlorform and Butyl alcohol showed clear zone against all bacteria samples. Solution extracted into Butyl alcohol showed clear zone against 13 types of bacteria, excluding P. gingivalis. 2. In Solution extracted into methanol, the bacteria samples grew in the highest concentrated plate, showing minimal variation from control group. 3. In Solution extracted into Butyl alcohol, S. aureus, P. intermedia, E. corrodens, A. actinomycetemcomitans, B. forsythus, P. gingivalis et al. showed decreased growth in the highest concentrated plate. P. auruginosa, R. dentocariosa, A. viscosus, P. nigrescens, S. mutans et al. showed decreased growth at MIC $20{\mu\ell}/{m\ell}$ and S. sanguis showed decreased growth at MIC $10{\mu\ell}/{m\ell}$. 4. By analyzing the MIC level through considering the results from Kirby-Bauer method, Solution extracted into methanol did not reveal any antimicrobial effects and Solution extracted into Butyl alcohol showed the highest antimicrobial effects In conclusion, it can be used the extracts of Pulsatilla koreana as wide spectrum antimicrobial agent.

  • PDF

고립파 작용하 직립호안 주변에서 지반의 동적응답에 관한 수치시뮬레이션 (Simulation of Solitary Wave-Induced Dynamic Responses of Soil Foundation Around Vertical Revetment)

  • 이광호;육승민;김도삼;김태형;이윤두
    • 한국해안·해양공학회논문집
    • /
    • 제26권6호
    • /
    • pp.367-380
    • /
    • 2014
  • 지진해일파(tsunami)에 의한 피해로 소중한 인명손실뿐만 아니라 침수 범람에 의한 가옥과 같은 건물의 유실 및 방파제, 교량 및 항만과 같은 사회간접자본의 심각한 파괴 등을 들 수 있다. 본 연구의 대상인 연안구조물에서 피해원인으로 먼저 큰 지진해일파력을 고려할 수 있지만, 더불어 기초지반에서 세굴과 액상화와 같은 지반파괴를 고려할 수 있다. 진동성분과 잔류성분으로 구성되는 과잉간극수압의 증가에 따른 유효응력의 감소로 해저지반내에 액상화의 가능성이 나타나고, 액상화가 발생되면 그의 진행에 따라 구조물의 침하 혹은 전도에 의해 종국적으로 구조물이 파괴될 가능성이 높아지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2D-NIT(Two-Dimensional Numerical Irregular wave Tank)모델로 부터 고립파를 조파시켜 직립호안 및 해저지반상에서 시간변동의 동파압을 산정하고, 그 결과를 지반의 동적응답과 구조물의 동적거동을 정밀하게 재현할 수 있는 유한요소법에 기초한 탄 소성해저지반응답의 수치해석프로그램인 FLIP(Finite element analysis LIquefaction Program)모델에 입력치로 적용하여 해저지반 및 직립호안의 주변에서 과잉간극수압 및 유효응력의 시 공간변화, 지반변형, 구조물의 변위 및 지반액상화 등을 정량적으로 평가하여 직립호안의 안정성을 평가한다.

일사 저하에 대한 벼의 형태적 특성 및 광합성 반응 변화 (Morphological and Photosynthetic Responses of Rice to Low Radiation)

  • 양운호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52권1호
    • /
    • pp.1-11
    • /
    • 2007
  • 일사 저하에 따른 벼의 형태적 변화와 광합성 특성 변화를 평가하기 위하여, 필리핀 소재 국제미작연구소(IRRI)에서 3품종을 이용하여 분얼기, 생식생장기, 등숙기에 약 40% 차광 처리하고 자연광 처리를 두어 비교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차광 조건에서 벼는 단위 엽면적 및 엽록소계(SPAD) 측정값 증가, 엽신으로의 건물중 분배비율 증가 등 일조 부족에 대한 적응 형태를 나타내었으나, 분얼이 지연되고 건물 생산량이 감소하는 특징을 보였다. 2. 차광 조건에서 생육한 벼는 자연광 조건에서 생육한 벼에 비하여 탄소동화속도가 늦었으나 조직 내 이산화탄소의 농도는 높게 유지되어, 차광 내 벼의 광합성이 낮았던 것은 광합성 기질인 이산화탄소의 제한이 아니고 photosystem의 전자전달 활성의 약화에 기인된 것으로 판단되었다. 3. 차광 조건에서 생육한 벼를 자연광에 1일간 노출시켜 순화한 후 측정한 최대 광합성과 photosynthetic photon flux density에 대한 광합성 반응은 자연광에서 생육한 벼의 광합성 반응과 차이를 보이지 않아, 차광 조건에서 생육한 벼는 자연광에서 생육한 벼 수준의 잠재 광합성 능력을 유지하고 있었으며, 차광에서의 광합성 저하는 단순하게 일사량 저하에 의한 현상이었다. 4. 분얼기간 동안 차광 조건에서 생육하고 유수형성기 이후 자연광에 노출되어 생육한 벼는 자연광 조건에서 생육한 벼에 비하여 유수형성기부터 출수기까지의 SPAD 값의 증가 정도가 적으며, 엽신 질소 함량의 감소 정도가 크고, $2,000\;{\mu}mol\;m^{-2}s^{-1}$ 이상으로 강한 광 조건에서는 광합성이 감소하는 경향을 보여, 일조 부족에 적응한 벼는 photoinhibition 정도가 큰 것으로 생각된다. 5. 벼 수량은 자연광 처리에 비하여 유수형성기$\sim$출수기 차광에서는 수당영화수와 포트당 영화수의 감소에 의하여, 출수기$\sim$성숙기 차광에서는 등숙비율의 저하에 의하여 감소하였다.

무기질 혼화재가 염수침지한 콘크리트의 염화물 확산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A Study of the Effect of Mineral Admixtures on the Chloride Diffusion of the Concrete Immersed in Chloride Solution)

  • 김동석;유재강;박상준;원철;김영진
    • 콘크리트학회논문집
    • /
    • 제17권5호
    • /
    • pp.679-686
    • /
    • 2005
  • 해양에 건설되는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은 외부의 염화물 확산에 의한 철근부식이 구조물의 내구성과 관련하여 가장 큰 성능저하 요인이 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각종 혼화재를 사용한 콘크리트의 장기염수침지시험에 의해 혼화재 종류, 치환율 및 양생기간이 콘크리트의 염화물 확산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실험적 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 결과, 무기질 혼화재를 사용한 콘크리트의 염화물 침투깊이와 염화물 확산계수는 혼화재 치환율이 증가할수록 감소되어, 무기질 혼화재는 염화물 침투저항성 개선에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염화물 확산계수 저감에는 W/B의 저감보다는 사용 혼화재의 종류 및 치환율의 선정이 더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염화물 구속능은 MK>Plain>SF>BS>FA의 순으로, Meta-Kaolin이 가장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모든 배합에서 염화물 확산은 양생기간의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장기재령으로 갈수록 그 영향은 감소하였다. 따라서, 염해 측면에서 양생재령 7알 이후의 거푸집 탈형 시기는 크게 고려하지 않아도 좋을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