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ndoor and outdoor

검색결과 1,348건 처리시간 0.03초

여가스포츠 참여 노인의 여가기능과 자기효능감 및 삶의 질의 구조적 관계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Leisure Function, Self-Efficacy and Quality of Life among Elderly Participants in Leisure Sports)

  • 이상행
    • 산업융합연구
    • /
    • 제22권6호
    • /
    • pp.89-97
    • /
    • 2024
  • 본 연구는 서울과 전북에 실내외 여가스포츠 활동에 참여하고 있는 노인 222명을 대상으로 여가기능과 자기효능감 및 삶의 질의 관계를 규명하기 위해 연구를 진행하였다. 본 연구의 자료는 SPSS 18.0 및 AMOS 18.0을 활용하여 빈도분석과 신뢰도 분석, 확인적 요인분석, 상관관계분석 및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여가기능은 자기효능감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자기효능감은 삶의 질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여가기능은 삶의 질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자기효능감은 여가기능과 삶의 질의 관계에서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노년기 건강한 삶을 영위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휘발성유기화합물(VOCs)의 측정방법에 따른 유물 전시관 내 농도 분포 특성 비교 (Comparison of VOCs Concentration Characteristic According to Measurement Methods in Exhibition Hall)

  • 임보아;이선명
    • 보존과학연구
    • /
    • 통권35호
    • /
    • pp.25-44
    • /
    • 2014
  • 이 연구에서는 유물 전시관을 대상으로 Active type과 Passive type에 의한 VOCs의 측정 분석법을 사용하여 전시실 내 외의 연중, 계절별 농도를 조사하고 측정방법에 따른 농도 비교를 통해 측정방법 간의 상관성을 비교하였다. 그 결과, Active type에 의한 전시실 TVOC의 연중 평균 농도는 $906.5{\mu}g/m^3$으로 대부분 조사 기간 동안 환경부 기준을 1.8배 이상 초과하였다. Active type에 의한 전시실의 ${\Sigma}VOCs$ 농도는 Passive type 보다 높았다. 일부 VOCs는 시간의 경과에 따라 감소하나 일시적인 상승 경향을 나타내기도 했다. Active type에 의한 전시관의 연평균 I/O비는 TVOC 9.0, ${\Sigma}VOCs$는 34.0으로 조사되어 ${\Sigma}VOCs$가 전시실 내부에서 다량 발생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두 방법 간의 상관성 분석 결과, ${\Sigma}VOCs$의 상관계수는 0.367이었으며 톨루엔은 0.567로 두 분석 방법 간의 연관성이 가장 큰 것으로 조사되었다.

  • PDF

중학교 학생들의 분진폭로에 관한 조사연구 (Student Exposure to Airborne Dusts in Classroom of Middle Schools)

  • 이영길;백남원
    • 한국환경보건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25-33
    • /
    • 1987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evaluate student exposures to dust in classroom of middle schools. A total of four schools, such as two in an urban and two in a rural area, were selected for this study. In this study, airborne dust concentrations were measured during a period from July 8 to July 18, 1986. Additional measurements of dust concentrations were conducted from November 4 to 7, 1986 to compare the results by seasonal vari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Respirable dust concentrations were measured by both filtration method (C mg/m$^3$) and Digital Aerosol Monitor (cpm) to calculate anexchange factor K. K- value was 0.159 as follows. $K=\frac{c}{cpm} = \frac{2.71}{17.09} = 0.159$ 2. In summer when windows were opened, the concentrations of airborne respirable dusts measured by filter sampling method were 0.54-1.37 mg/m$^3$ in the morning and 0.79-1.75 mg/m$^3$ in the afternoon. Thus, higher levels were indicated in the afternoon. Meanwhile, the concentrations of airborne respirable dusts measured in winter were approximately twice as high as those in summer. 3. The highest dust concentrations were determined in School D which is a coeducational school with classroom of concrete floor. Walking roads in School D were not paved and students did not wear indoor-shoes. Dust levels in School D were approximately twice as high as levels in School B. All of the measured dust levels in four schools exceeded Korean Standard for outdoor air, 0.3 mg/m$^3$ for 24 hours. Results by Digital Aerosol Monitor indicated tha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dust levels among grades. The concentration of airborne dusts in the classroom was 1.5-3.0 times higher than that in the hall way. The concentration of airborne dusts during recess was 1.3-1.6 times higher than that during class. In winter, the dust concentrations during clean-up exceeded the permissible exposure limit, 10 mg/m$^3$ (as total dusts), for occupational exposures. 4. The concentrations of total dusts measured in winter were 1.5-2.4 times higher than those of respirable dusts measured simultaneously.

  • PDF

지반조건과 신발의 종류에 따른 족저압 분포 (Plantar foot pressure distribution depending on ground conditions and shoe type)

  • 김상환;이혜윤;김연덕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6권4호
    • /
    • pp.2899-2905
    • /
    • 2015
  • 본 논문은 지반 조건에 따른 족저압의 압력분포에 대한 연구이다. 실내화, 실외화, 걷기화, 운동화의 네 가지 카테고리의 신발이 본 연구에 사용되었으며, 260mm(유럽 코드 EU40)를 착용하는 45명의 20대 남성을 대상으로 콘크리트, 모래 지반에서의 실험을 실시하였다. 보행 시 응력과 압력의 측정은 Techstorm사의 Insole System을 사용하여 측정하였으며 발의 발가락, 전족, 중족, 후족 네 가지 영역에서 족저압을 측정하였다. 연구 결과 신발과 지반 조건에 따라 다른 응력 및 압력의 분포를 나타냈으며 본 연구 결과는 모래 지반에서 착용 가능한 신발의 개발에 유용하게 사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LoRa 모듈을 이용한 GPS기반 무선 분실 방지 시스템 구현 (Implementation of GPS-based Wireless Loss Prevention System using the LoRa Module)

  • 고준혁;한동균;이세라;박하연;김동회
    • 디지털콘텐츠학회 논문지
    • /
    • 제18권4호
    • /
    • pp.761-768
    • /
    • 2017
  • 블루투스 통신을 이용한 분실 방지기는 짧은 통신거리를 가지기 때문에 일정한 거리를 벗어나면 분실물의 위치를 알 수 없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기존 분실 방지기의 단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본 논문에서는 상대적으로 긴 통신거리를 가지는 LoRa 통신과 위치 추적을 위한 통신료가 필요 없는 GPS 기반 무선 분실 방지 시스템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분실 방지기는 원격 제어 애플리케이션을 스마트 폰에서 실행하여 Lora 통신을 이용해 분실 방지기의 장거리 GPS 좌표 정보를 구글 지도상에서 확인할 수 있는 시스템이다. 구현된 제안시스템의 성능 평가를 위해 개활지, 실내, 실내-실외에서 데이터 송수신 실험을 진행하였고 실험 결과는 제안된 시스템이 장거리에서도 성능이 우수함을 확인하였다.

스마트폰을 이용한 LED조명 무선제어 (Wireless LED lighting control using the SmartPhones)

  • 신성휴;김환용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6권5호
    • /
    • pp.3385-3390
    • /
    • 2015
  • 본 논문에서는 LED 조명을 효율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방안으로 ARM사에서 개발한 마이크로컨트롤러인 Cortex M3를 사용하여 구성하였다. 또한, 근거리 무선통신을 사용하여 무선으로 LED조명을 제어하기 위하여 Bluetooth 통신방식을 적용하여 무선제어 회로를 구성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LED조명 제어회로를 무선으로 제어하기 위하여 누구나 가지고 있는 스마트폰을 가지고 제어할 수 있도록 안드로이드 어플리케이션을 설계하여 안드로이드 기반의 스마트폰에서 사용자가 쉽게 다운로드하여 LED조명 제어회로를 쉽게 무선으로 제어한다. 본 논문에서 구성한 Cortex M3를 이용한 LED조명 무선제어회로는 실내 및 실외에 적용할 경우 친환경적인 기술이며, LED의 효율을 높이기 위하여 LED드라이버를 사용하여 안정적인 전압공급이 이루어지게 되어 LED조명의 밝기가 제어된다.

전기화학적인 콘크리트 부식의 예측 (Prediction of Concrete Corrosion using Electrodchemical Technique)

  • 이종권;박지환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3권2호
    • /
    • pp.80-83
    • /
    • 2002
  • 본 연구는 콘크리트 배합시 염분의 함량이 구조물의 부식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콘크리트는 물 : 포틀랜트 cemente : 자갈 : 모래의 비율을 1 : 1.78 : 5.35 : 4.73의 비율로 하여 배합하였으며 염분의 함량은 0∼3.5wt%의 범위에서 철근의 부식을 연구하였다. 부식특성을 연구하기 위하여 부식전위를 2년간 측정하였으며 이를 콘크리트 파괴후의 철근의 외관 부식도와 비교하였다. 옥내와 옥외에 두었을 때 부식속도의 차이는 없었으며 염분의 함량이 증가함에 따라 활성이 큰 전위값이 측정되었다. 전위값이 낮은 시편은 부동태 피막이 파괴되어 부식이 진행하고 있었으며, 전위값이 높은 시편에서는 부식생성물이 관찰되지 않았다. 본 실험의 결과로 보강용 강재의 부식손상 정도를 자연전위 측정방법을 통하여 콘크리트내 보강용 철근의 부식거동 및 부식속도에 대한 비괴적인 전기화학적 기술로서 구조물의 손상여부를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임도 배수시설 규격 산정 프로그램 개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Development Standard Calculation Program of Forest Road Drainage Facilities)

  • 최윤호;이준우;김명준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00권1호
    • /
    • pp.25-33
    • /
    • 2011
  • 본 연구는 임도 설계자가 보다 간편하고 정확하게 임도 배수시설을 설계하는 데에 기여할 수 있는 임도 배수시설 규격 산정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본 프로그램의 특징은 임도설계자가 현장 측량을 하기에 앞서 실내에서 임도의 예측을 실시할 때 현장 측량을 통해 취득해야 하는 데이터가 없이도 간편하게 강우강도를 이용하여 유역 내 유출량을 산출할 수 있도록 하였다. 그리고 이를 통해 배수구조물의 최소 규격을 산출해 줌으로써 과도한 설계를 억제할 수 있게 하였다. 또한 임도가 시설되는 지역의 각 유역별 유출량을 산출함으로써 배수구조물의 적절한 배치에 기여코자 하였다. 특히 배수관의 설치에 따른 전과정을 보고서로 작성하여 파일 및 출력물 형태로 제공함으로써 합리적인 설계과정을 보여줄 뿐만 아니라 오류 발생시 즉각적인 수정이 가능케 함으로써 임도 설계기술의 상향평준화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적응형 깊이 추정기를 이용한 미지 물체의 자세 예측 (Predicting Unseen Object Pose with an Adaptive Depth Estimator)

  • 송성호;김인철
    • 정보처리학회논문지:소프트웨어 및 데이터공학
    • /
    • 제11권12호
    • /
    • pp.509-516
    • /
    • 2022
  • 3차원 공간에서 물체들의 정확한 자세 예측은 실내외 환경에서 장면 이해, 로봇의 물체 조작, 자율 주행, 증강 현실 등과 같은 많은 응용 분야들에서 폭넓게 활용되는 중요한 시각 인식 기술이다. 물체들의 자세 예측을 위한 과거 연구들은 대부분 각 인식 대상 물체마다 정확한 3차원 CAD 모델을 요구한다는 한계점이 있었다. 이러한 과거 연구들과는 달리, 본 논문에서는 3차원 CAD 모델이 없어도 RGB 컬러 영상들만 이용해서 미지 물체들의 자세를 예측해낼 수 있는 새로운 신경망 모델을 제안한다. 제안 모델은 적응형 깊이 추정기인 AdaBins를 이용하여 스스로 미지 물체 자세 예측에 필요한 각 물체의 깊이 지도를 효과적으로 추정해낼 수 있다. 벤치마크 데이터 집합들을 이용한 다양한 실험들을 통해, 본 논문에서 제안한 모델의 유용성과 성능을 평가한다.

실내·외 공기 중 휘발성 유기화합물에 대한 흡착 시료채취 방법의 평가 (Evaluation of Adsorbent Sampling Methods for Volatile Organic Compounds in Indoor and Outdoor Air)

  • 백성옥;문영훈
    • 분석과학
    • /
    • 제17권6호
    • /
    • pp.496-513
    • /
    • 2004
  • 본 연구는 환경 대기 중 독성 VOC 측정을 위하여 흡착제를 이용한 시료채취와 열탈착을 병용한 GC/MSD 분석방법론 전반을 총괄적으로 평가하고, 나아가 각종 흡착제의 VOC 시료채취 특성을 비교 평가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측정대상물질은 BTEX와 유기염소계 화합물을 포함하는 총 33개의 VOC를 선정하였으며, 조사된 흡착제는 상용중인 10종을 대상으로 하였다. 이들 흡착제는 총 6종의 탄소계 (Carbotrap, Carbopack B, Carbotrap C, Carbosieve-SIII, Carboxene 1000 및 Activated Charcoal)와 4종의 고분자 수지계 (Tenax TA, Porapak Q, Chromosorb 102, Chromosorb 106) 로 구분되어 진다. 시료채취과정은 단일 흡착관과 다중흡착관을 대상으로 표준시료와 실제 현장시료를 대상으로 재현성과 감응계수 측면에서 평가하였으며, 측정 정확성은 Carbotrap을 기준으로 평가하였다. 실험결과, 독성 VOC에 가장 적합한 흡착제로는 Carbotrap과 Carbopack B 및 Tenax TA 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강한 흡착제는 열탈착 성능이 떨어지고, 시료 중 수분의 영향으로 감도와 재현성이 현저히 떨어지는 문제점으로 인하여 적합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3 종류의 이중흡착관과 2 종류의 삼중흡착관의 시료채취특성을 평가한 결과, Carbotrap C와 Carbotarp으로 조합된 경우가 가장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친수성인 강한 흡착제가 같이 충전된 삼중 흡착관의 사용은 수분의 영향을 최소화하는데 매우 세심한 주의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결과적으로 흡착시료채취법을 이용하여 실내외 환경에서의 독성 VOC 농도에 대한 신뢰성 있는 자료를 얻기 위해서는 적절한 흡착제의 선정 (혹은 조합) 및 그에 따른 최적 분석 조건의 설정에 무엇보다도 세심한 주의가 요망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