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ndomethacin

검색결과 546건 처리시간 0.029초

MIA로 골관절염 유발된 동물모델에서 산수유(山茱萸) 30% Ethanol 추출물의 개선 효과 (Improvement Effect of Corni Fructus 30% Ethanol Extract by MIA-Induced Osteoarthritis Animal Model)

  • 김민주;이진아;신미래;박해진;노성수
    • 대한본초학회지
    • /
    • 제35권1호
    • /
    • pp.35-44
    • /
    • 2020
  • Objectives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therapeutic effect of Corni Fructus 30% ethanol extract (CFE) on the monosodium iodoacetate (MIA)-induced osteoarthritis rats. Methods : The subjects were divided into 4 groups ; Normal group (N, n=10), MIA-induced osteoarthritis control group (Con, n=10), indomethacin 5 mg/kg treated group (INDO, n=10), CFE 200 mg/kg treated group (CFE, n=10). Blood and articulation tissues were collected after two weeks of drug administration. Oxidative stress was analyzed with reactive oxygen species (ROS), peroxynitrite (ONOO-). And the Nuclear factor erythroid-2 (Nrf2), heme oxygenase-1 (HO-1), superoxide dismutase (SOD), catalase, glutathione peroxidase-1/2 (GPx-1/2), Nuclear Factor Kappa B p65 (NF-κBp65), cyclooxygenase-2 (COX-2), inducible nitric oxide synthase (iNOS), tumor necrosis factor-alpha (TNFα), interleukin-6 (IL-6), Interleukin 1β (IL-1β), matrix metalloproteinase-1 (MMP-1), and tissue inhibitor of metalloproteinases-1 (TIMP-1) were investigated by western blot. Results : The administration of CFE showed a significant reduction of changes in relative hind paw weight distribution. Reactive oxygen species (ROS) and peroxy nitrite (ONOO-) levels of articulation tissues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in CFE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Western blot measurements of Nrf2, HO-1, SOD, catalase, GPx-1/2 showed that the CFE group was increased compared to the Con group. And western blot measurements of NF-κBp65, COX-2, iNOS, TNFα, IL-6, IL-1β showed that the CFE group was reduced compared to the Con group. Also CFE group decreased MMP-1 and increased TIMP-1. Conclusion : Based on the above results, it can be seen that osteoarthritis is improved when Corni Fructus 30% ethanol extract treated.

교익사진을 이용한 교정치료 전후의 치조골 높이 변화에 관한 연구 (A STUDY ABOUT ALVEOLAR CREST BONE HEIGHT BEFORE AND AFTER ORTHODONTIC TREATMENT BY USING BITEWING FILM)

  • 황충주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27권3호
    • /
    • pp.421-430
    • /
    • 1997
  • 치조골은 치아의 치배와 치근의 발육에 따라 발달하고 치아의 맹출에 따라 골침착이 계속된다. 골의 성분은 끊임없이 소실되고 다시 첨가되며 균형이 깨지는 경우 치조골의 흡수 또는 과다 침착이 일어난다. 교정치료에 의한 치아의 재위치시 치조골의 흡수로 인한 치조골높이의 상실이 나타날 수 있으며 이의 평가를 위한 여러 선학들의 연구가 시도되었다. 임상연구방법중 재현성과 규격성이 가능한 방사선사진을 이용하게 되었고 그중 치조골의 변화에 관한 객관적인 평가를 위한 구치부의 교익사진을 사용하게 되었다. 교정치료 전후에 치조골높이가 어느 정도의 변화를 나타내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치료전 구치부의 관계가 Cl I인 10-13세(평균 12.2세)아동을 대상으로 구강내 상태가 양호하며 선천적 결손이 없으며 심한 치주질환이나 전신질환이 없고, 치료전후의 교익사진이 있는 환자를 무작위로 총 20명을 축출하여 연구대상으로하였고 상하악 좌우측의 견치, 소구치, 구치부의 치아의 이동량, 장축의 변화와 치주높이의 변화를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상하악좌우측의 견치, 소구치, 구치부의 치아의 이동량, 장축의 변화와 치주높이의 변화량을 나타내는 계측치의 평균 표준편차와 중앙값을 구하였다. 2. 상하악좌우측의 치조골의 높이의 치료전후 계측치비교시 거의 모든 계측치에서 하악보다는 상악에서 변화량이 크게 나타났다. 3. 근원심간의 비교시 3D3과 4M3은 상하 좌우측 모두 원심측이 4M3과 4D3은 근심측이, 4D3과 5M3은 원심측이, 5M3과 5D3은 근심측이, 5D3과 6M3은 근심측이 변화량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4. 상하악좌우측의 견치, 소구치, 구치부의 치아의 이동량(TX,TY)과 장축의 변화 (A)를 나타내는 계측항목의 비교시 좌우측 모두 상악의 34TX, 34TY, 34A가 크게 나타났고 이 부위의 치조골높이의 변화가 다른 부위에 비해 컸다.정중구개봉합부를 급속확장시킨 후 신생골 형성은 보정 14일이 지난 후부터 관찰되기 시작하였으며, 보정 28일이 지난 후에는 신생골형성이 훨씬 왕성하게 진행되었음을 관찰할 수 있었다.위 판별식으로 본 연구대상을 판별한 결과, 전체정판별률은 $92.86\%$였다.왜소치가 발견되지 않았다. 작은 군(S군)사이에 수평적 골격관계는 차이가 없으나 수직적 골격관계는 L군이 S군에 비해 하악골이 하방으로 많이 성장한 경향을 보여주었다. 하지만 성인 남자군인 G2군에서는 이부비율에 따른 안면골격의 뚜렷한 형태적 차이를 보여주지 않았다.교하면 bisphosphonate는 indomethacin에 비해 골흡수 억제효과가 더 크며 투여시간에 따른 제약도 더 적은 것으로 사료된다.ubstance P는 인간의 치주인대세포에서 교원질 합성을 억제하였다. 이 효과는 procollagen mRNA와 gelatinase 생성의 정상(steady-state) 수준의 변화 때문이 아니라 prostaglandin 생성과 연관이 있음을 알았다.EX>는 골기질의 주성분인 type I 교원질의 합성을 선택적으로 억제하는 기능과 alkaline phosphatase의 활성을 크게 증가시키지 못한 점 등으로 미루어 볼 때, 골개조를 억제하는 방향으로 작용한다고 볼 수 있으며, 교정치료 과정중 골개조를 억제하는 부위에서 사용을 시도해 볼 수 있겠다.>신뢰구간은 상악에서 정상교합군은 $79.5-81.0\%$, 비발치군은 $81.6-84.9\%$, 발치군은 $70.1-72.2\%$로 나타났으며, 하악에서 정상교합군은 $79.8-82.2\%$, 비발치군은 $82.1-85.5\%$, 발치군은 $73.1-75.1\%$로 나타났다. 7. 최대치아근원심폭경합, 기저악궁폭경,

  • PDF

액와 소개흉술에 의한 미숙아 동맥관 개존증의 외과적 치료 (Surgical Closure of the Patent Ductus Arteriosus in Premature Infants by Axillary Minithoracotomy)

  • 조정수;윤용환;김정택;김광호;홍영진;전영훈;신혜란;백완기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40권12호
    • /
    • pp.837-842
    • /
    • 2007
  • 배경: 미숙아는 흔히 동맥관의 폐쇄가 지연되어 혈역학적으로 의미 있는 좌우단락을 초래함으로 환아의 성장 및 정상 발육에 악영향을 미친다. 저자들은 액와 소개흉술을 통한 미숙아 동맥관 개존증 폐쇄의 효과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2년 4월부터 2006년 10월까지 동맥관 개존증을 동반한 재태기간 37주 미만의 미숙아 중 인도메타신 부적응증 또는 치료 실패 등으로 수술적 교정을 받은 2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출생 당시 재태기간은 25+3에서 34+6주 사이로 평균 28.8+3.4주이었고, 출생 후 평균 $15.6{\pm}6.3$일째에 수술하였다. 수술 당시의 체중은 680에서 2,100 g 사이로 평균 $1,174{\pm}416\;g$이었는데 이 중 1,500 g 미만은 16명이었고 1,000 g 미만은 9명이었다. 수술은 모두 신생아 중환자실에서 이루어졌는데 측와위에서 왼팔을 현수시킨 자세로 길이 $2{\sim}3\;cm$의 액와 소개흉술을 통하여 접근하였다. 동맥관 크기는 평균 $3.8{\pm}0.3\;mm$로 동맥관의 폐쇄는 주로 클립을 사용하였는데, 2예에서 박리 중 동맥관 파열로 동맥관 분리술(division)을 시행하였다. 결과: 술 전부터 인공호흡기에 의존해 온 환아 12명 중 10명이 술 후 호흡기 증상의 호전과 함께 평균 9.7일 사이에 인공호흡기 이탈이 가능하였다. 수술과 직접적으로 연관된 사망이나 합병증은 없었으나 병원 내 만기 사망이 2예에서 있었는데 1예는 술 후 41일째 폐렴으로, 나머지 1예는 술 후 131일째 패혈증으로 사망하였다. 결론: 액와 소개흉술을 통한 미숙아 동맥관 개존증의 폐쇄는 혈역학적 불안정성을 개선하여 미숙아의 성공적인 성장 및 정상 발달에 도움이 되었다. 수술의 침습도 및 이에 따른 위험성은 매우 적어 조기에 적극적인 외과적 요법이 권장된다.

인삼정천탕(人蔘定喘湯)이 호흡기계(呼吸器系)에 미치는 영향(影響) (Effects of Insamjungchuntang on the Respiratory System in Experimental Animals)

  • 김호순;신조영
    • 대한한방내과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409-427
    • /
    • 1998
  • Insamjungchuntang has been used in Korea for many centuries as a treatment for respiratory disease. The effect of Insamjungchuntang on tracheal smooth muscle is not known.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is to determine the effect of Insamjungchuntang on histamine and acetylcholine induced tracheal smooth muscle contraction in rats and guinea pigs. Guinea pig (500 g, male) and Sprague Dawley rats (200 g, male) were killed by $CO_2$ exposure and a segment (8-10 mm) of the thoracic trachea from each rat and guinea pig was cut into equal segments and mounted 'in pairs' in a tissue bath. Contractile force was measured with force displacement transducers under 0.5 g loading tension. The dose of histamine (His) and acetylcholine (Ach) which evoked 50% of maximal response $(ED_{50})$ was obtained from cumulative dose response curves for histamine and acetylcholine$(10^{-7}{\sim}10^{-4}\;M)$. Contractions evoked by His ($ED_{50}$) and Ach $(ED_{50})$ were inhibited significantly by Insamjungchuntang. In guinea pig tracheal smooth muscle, the mean percent inhibition of acetylcholine induced contraction was $38.58\(p<0.05)\;after\;10{\mu}l/ml$ Insamjungchuntang, $90.75\(p<0.01)\;after\;30{\mu}l/ml$. Insamjungchuntang and $133.17\(p<0.01)\;after\;100{\mu}l/ml$ Insamjungchuntang. In rat tracheal smooth muscle, the mean percent inhibition of acetylcholine induced contraction was $10.0\(p<0.05)\;after\;10{\mu}l/ml$ Insamjungchuntang, $80.71\(p<0.01)\;after\;30{\mu}/ml$ Insamjungchuntang and $118.29\(p<0.01)\;after\;100{\mu}l/ml$ Insamjungchuntang. Also, in guinea pig tracheal smooth muscle, the mean percent inhibition of histamine induced contraction was $45.5\(p<0.01)\;after\;10{\mu}l/ml$ lnsamjungchuntang, and $93.17\(p<0.01)\;after\;30{\mu}l/ml$. lnsamjungchuntang $134.50\(p<0.01)\;after\;100{\mu}l/ml$ Insamjungchuntang. In rat tracheal smooth muscle, the mean percent inhibition of histamine induced contraction was $37.83\(p<0.01)\;after\;10{\mu}l/ml$ lnsamjungchuntang, $90.5\(p<0.01)\;after\;30{\mu}l/ml$ Insamjungchuntang and $135.17\(p<0.01)\;after\;100{\mu}l/ml$ Insamjungchuntang. Propranolol $(10^{-7}\;M)$ slightly but significantly attenuated the inhibitory effects of Insamjungchuntang. Following treatment with propranolol, the mean percent inhibition caused by $100{\mu}l/ml$. Insamjungchuntang fell to 46.42% in guinea pig induced by acetylcholine contraction and by $100{\mu}l/ml$ Insamjungchuntang fell to 5.43% (p<0.05) in rat induced by acetylcholine contraction and the mean percent inhibition caused by $100{\mu}l/ml$ Insamjungchuntang fell to 49.0% in guinea pig induced by histamine contraction and by $100{\mu}l/ml$ Insamjungchuntang fell to 48.6% (p<0.05) in rat induced by histamine contraction. Indomethacin and methylene blue $(10^{-7}\;M)$ did not significantly alter the inhibitory effect of lnsamjungchuntang. Also, I could find the effects of lnsamjungchuntang and Insamjungchuntanggamorphine on the tracheal smooth muscle in guinea pig and rat did not change significantly. These results indicate that Insamjungchuntang can relax histamine and acetylcholine-induced contraction of guinea pig and rat tracheal smooth muscle, and that this inhibition involves sympathetic effects.

  • PDF

과잉 철로 유도된 산화적 스트레스가 혈소판 활성화에 미치는 작용 (Effect of Iron Excess-induced Oxidative Stress on Platelet Aggregation)

  • 서근영;박효진;장성근;박영현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5권8호
    • /
    • pp.979-984
    • /
    • 2006
  • 과잉 철은 폐경기 여성 및 핀란드 남성에서의 심혈관계질환 증가와 예방통계학적으로 밀접한 관련이 있다고 보고되고 있다. 허혈성 심장질환, 뇌 심혈관계 질환, 암 및 노화의 원인으로 산화적 스트레스가 자유기 반응을 자극하고 지질 과산화 반응 등을 연쇄적으로 촉진시키는데 철이 위험 인자로 인식되고 있다. 그러나 뇌심혈관계 질환 유발의 중요인자인 혈소판 활성화와 관련하여 철로 인한 산화적 스트레스와 항산화작용의 연구는 부족하다고 한다. 산화적 스트레스에서 철 및 과산화수소의 자유기 형성과 관련하여 토끼 혈액에서 분리한 세정 혈소판을 사용하여 연구하였다. 산화적 스트레스를 통해 혈소판 응집을 유도하고 이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한 결과에서 $H_2O_2$ 단독 투여시 혈소판 응집작용은 나타나지 않았다. $FeSO_4$ 단독 투여시 농도 의존적으로 혈소판 응집작용이 증가하여 나타내지만, $H_2O_2$ 존재 하에 $FeSO_4$ 투여시 농도 의존적으로 혈소판 응집작용이 증가되어 나타났다. 혈소판 응집을 유도하는 collagen 최적의 농도$(2\;{\mu}g/mL)$보다 낮은 1/10 농도$(2\;{\mu}g/mL)$)에서 $H_2O_2$$FeSO_4$의 영향은 농도 의존적으로 혈소판 응집작용이 증가되었다. 철 단독 투여시보다 과산화수소와 함께 투여시 농도 의존적으로 혈소판 활성화가 증대되었고 이러한 혈소판 활성화는 NAD/NADP, catalase, glutathione, mannitol, tiron 등에 의해 농도 의존적으로 억제되었고, NADH/NADPH, SOD, aspirin 등에 의해서는 영향이 없었다. 그러므로, 이러한 NAD(H)/NADP(H) cofactor는 혈소판 응집작용을 일으키는 radical을 직접 억제하기보다 radical 생성에 관련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이상의 결과에서 과잉철은 혈소판 활성화에 직접적으로 관여하고 $H_2O_2$ 존재하에 2가 철을 촉매로 하여 Fenton 반응으로 생성된 OH. 자유기가 혈소판 활성화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그러나 혈소판에서 자유기가 arachidonic acid 대사의 활성화와 인산화 단백질로 인한 세포내 정보전달에 관한 연구가 더 이루어져야 한다고 사료된다.

SKOV-3 난소암 세포주에서 lysophosphatidic acid 유도 세포의 이동에 있어 활성산소의 역할 (Reactive Oxygen Species Mediates Lysophosphatidic Acid-induced Migration of SKOV-3 Ovarian Cancer Cells)

  • 김은경;이혜선;하홍구;윤성지;하정민;김영환;진인혜;신화경;배순식
    • 생명과학회지
    • /
    • 제22권12호
    • /
    • pp.1621-1627
    • /
    • 2012
  • 세포의 이동은 성장, 면역 작용, 그리고 혈관 신생 등 많은 생리현상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또한 염증 및 종양 세포 침윤 등의 다양한 병리적 현상과도 밀접한 연관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lysophosphatidic acid (LPA)는 활성산소의 생성을 통해 SKOV-3 난소암세포의 이동을 조절한다는 것을 관찰하였다. 먼저, 난소 암세포인 SKOV-3에서 LPA에 의한 세포의 이동이 강하게 일어남을 확인하였다. LPA에 의한 SKOV-3 세포의 이동은 phosphatidylinositol 3-kinase (PI3K)/Akt 신호전달체계를 저해시키는 약물에 의해서 완벽히 억제됨을 확인하였으나 ERK 신호전달체계를 저해시키는 약물에 의해서는 전혀 영향을 받지 않았다. 그리고 SKOV-3 세포에서 LPA에 의한 활성산소 형성이 시간에 따라 강하게 일어남을 확인하였다. 더욱이 LPA에 의한 활성산소 형성도 PI3K 또는 Akt의 저해제에 의해서 완벽히 억제됨을 확인하였으나 ERK 신호전달을 억제하였을 때는 거의 영향을 받지 않았다. SKOV-3 세포에서 LPA에 의해 생성된 활성산소는 diphenylene idonium (DPI, $10{\mu}M$), apocyanin (Apo, $10{\mu}M$)과 같은 NADPH oxidase 억제제를 전 처리하였을 때 활성산소가 형성되지 못함을 관찰하였다. 그러나 xanthine oxidase (allopurinol, Allo, $10{\mu}M$), cyclooxygenase (indomethacin, Indo, $10{\mu}M$), 또는 mitochondrial respiratory chain complex I (rotenone, Rot, $10{\mu}M$)를 억제하였을 때는 LPA에 의한 활성산소 형성에 영향을 주지 못함을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활성산소 억제제인 N-acetylcysteine (NAC, $10{\mu}M$)에 의해서 LPA에 의한 암세포의 이동이 억제됨을 관찰하였다. 이와 더불어 LPA에 의한 SKOV-3 세포의 이동도 NADPH oxidase 억제에 의해 저해가 됨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로 보아 LPA에 의한 활성산소의 형성에는 PI3K/Akt/NADPH oxidase 신호전달체계가 중추적인 역할을 하며 이를 통해 암세포의 이동을 조절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