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ndirect nutrition education

검색결과 27건 처리시간 0.037초

경기지역 학교급식의 염도계 사용과 나트륨 저감화 교육실태 (Use of Salimeters and Sodium Reduction Education in School Foodservice in the Gyeonggi Area)

  • 이경숙
    • 대한영양사협회학술지
    • /
    • 제19권2호
    • /
    • pp.173-181
    • /
    • 2013
  • This study used survey data to identify the use of salimeters and the prevalence of sodium reduction education in the Gyeonggi region. A survey with 211 dietitians working in school foodservice (106 in elementary schools, 69 in middle schools, and 36 in high schools) was conducted from August 6 to August 17, 2012.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SPSS program. Though 86.6% of school kitchens had salimeters, the rate for checking the sodium content of soup or stew was just 62.7% and the rate for checking the sodium content of kimchi and solid food was very low. Since salimeters are mostly used to measure sodium in liquid foods, it is urgent to provide an education and manual on using salimeters and to promote salimetry for kimchi and side dishes. It is also important to provide students with nutritional information by clearly posting the sodium content of food on menus and compelling students to notice them. Sodium reduction education for cooks was conducted in the 70.3% of the kitchens; however, the dietitians perceived that the cooks did not understand the importance of the education. Also, sodium reduction education for students was mostly provided through indirect methods, rather than face-to-face education, resulting in poor educational data (only 36.4% comprehending). By providing detailed guidelines for sodium reduction and labelling accurate content of sodium of the menus, we will be able to enforce practices for sodium reduction in school lunches.

인도네시아 아동들의 아침식사하기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건강신념모델을 이용하여- (Analysis of Factors Affecting Breakfast Eating Behavior of Children in Indonesia: An Application of the Health Belief Model)

  • 강란이;이수진;류호경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1-12
    • /
    • 2020
  • Objectives: This study investigates the current state of consuming breakfast among elementary school students residing in Malang, East Java, Indonesia, and to identify factors that influence breakfast behavior. Methods: The research model was set up as per the health belief model, and slightly modified by adding the subjective normative factors of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The survey was conducted from July 17 to August 15, 2017 using a questionnaire, after receiving the permission PNU IRB (2017_60_HR). Results: The subjects were 77 boys (49.4%) and 79 girls (50.6%) suffering from malnutrition with anemia (21.2%) and stunting ratio of Height for Age Z Score (HAZ) (11.5%). Furthermore, moderate weakness (14.8%) and overweight and obesity (12.3%) by Body Mass Index for Age Z Score (BMIZ) were coexistent. According to the results obtained for breakfast, 21.8% did not eat breakfast before school, with 18.8% of the reasons for skipping breakfast being attributed to lack of food. Even for subjects partaking breakfast, only about 10% had a good balanced diet. The average score of behavioral intention on eating breakfast was 2.60 ± 0.58. The perceived sensitivity, perceived severity, perceived benefits, and self-efficacy of the health belief model correlated with breakfast behavior. Of these, self-efficacy (β=0.447, R2=0.200) and perceived sensitivity (β=0.373, R2=0.139) had the greatest effect on breakfast behavior. Mother was the largest impact person among children. Conclusions: In order to increase the level of breakfast behavior intention among children surveyed in Indonesia, we determined the effectiveness by focus on education which helps the children recognize to be more likely to get sick when they don't have breakfast, and increase their confidence in ability to have breakfast on their own. We believe there is a necessity to seek ways to provide indirect intervention through mothers, as well as impart direct nutrition education to children.

The effect of a healthy school tuck shop program on the access of students to healthy foods

  • Kim, Ki-Rang;Hong, Seo-Ah;Yun, Sung-Ha;Ryou, Hyun-Joo;Lee, Sang-Sun;Kim, Mi-Kyung
    • Nutrition Research and Practice
    • /
    • 제6권2호
    • /
    • pp.138-145
    • /
    • 2012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 of a healthy school tuck shop program, developed as a way of creating a healthy and nutritional school environment, on students' access to healthy foods. Five middle schools and four high schools (775 students) participated in the healthy school tuck shop program, and nine schools (1,282 students) were selected as the control group. The intervention program included restriction of unhealthy foods sold in tuck shops, provision of various fruits, and indirect nutritional education with promotion of healthy food products. The program evaluation involved the examination of students' purchase and intake patterns of healthy foods, satisfaction with the available foodstuffs, and utilization of and satisfaction with nutritional educational resources. Our results indicated that among of the students who utilized the tuck shop, about 40% purchased fruit products, showing that availability of healthy foods in the tuck shop increased the accessibility of healthy foods for students. Overall food purchase and intake patterns did not significantly change during the intervention period. However, students from the intervention schools reported higher satisfaction with the healthy food products sold in the tuck shop than did those from the control schools (all $P$ < 0.001), and they were highly satisfied with the educational resources provided to them. In conclusion, the healthy school tuck shop program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accessibility of healthy food. The findings suggest that a healthy school tuck shop may be an effective environmental strategy for promoting students' access to healthy foods.

장생 도라지(Platycodon grandiflorum) )추출물의 돌연변이 억제효과 (Antimutagenic Effect of Extract of Platycodon grandiflorum)

  • 손미예;서종권;김행자;성낙주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3권6호
    • /
    • pp.651-655
    • /
    • 2001
  • 장생 도라지의 메탄올 추출물과 분획물들의 돌연변이 유발 억제 효과를 조사하기 위하여 IQ와 MNNG를 사용하여 Ames mutagenicity test를 검토하였다. 장생 도라지 메탄올 추출물의 돌연변이원성은 없었으며, 또한 메탄올 추출물의 농도 증가에 따른 돌연변이 억제 효과는 상당히 높게 나타났다. 그리고 메탄올 추출물의 분획물중 에틸아세테이트층과 부탄올층에서 돌연변이 억제 효과가 인정되었으며, 농도 증가에 따라 colony 수가 감소하였다. S. typhimurium TA98과 TA100 균주와 각 돌연변이 물질에 따라 돌연변이 억제효과는 다소간의 차이가 있었으나, 장생 도라지의 약리 성분은 대사 활성화 과정의 돌연변이 억제 효과뿐만 아니라, 체내 세포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직접돌연변이원에 대해서도 억제효과가 관찰되었다.

  • PDF

간호인력의 배치에 영향을 미치는 간호사의 간호행위 인지정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erception Level of Nursing Activities of Staffing the Nursing Unit)

  • 박청자;이경희
    • 기본간호학회지
    • /
    • 제1권2호
    • /
    • pp.193-205
    • /
    • 1994
  • The Study was carried out for the purpose of investigating the degree of perception in nursing activities. The data of this study were collected by self-reported questionnaire composed of 5 point rating scale measure the ideal level and the performance level of nurses activity. For the analysis of the data, percentage, MANOVA and ANOVA were 231 nurses in 3 general hospitals in Taegu. Data was administrated from October 4 through 14, 1994. The results were as follow : 1. The average mean score for the ideal level was 4.19 with a maximum possible score 5points. The highest mean score was Infection Controll and the lowest mean score was nutrition The average mean score for the performance level was 3.75, the highest mean score was fluid and electrolyte, the lowest mean score was nutrition. In the desirable nursing pergormance, Education was found the highest response above charge nurse, Medication was found the highest response above General nurse, environment was found the highest response above aide. 2. In the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deal level and th performance level, significant defference was found in age, position, career, marital status, occupation satisfaction, Nursing unit, parent. 3. In the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deal level and the performance level and the general characteristics,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in marital status in the ideal level of direct nursing care,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in age, position, marital status, nursing unit in the ideal level of indirect nursing care,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in age, position, career, marital status, occupation satisfaction, nursing unit in the performance level of direct nursing care.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in age (25-29) and above 30 career(4-7 and 7), occupation satisfaction(good and moderate, good and poor) in scheffe test of the performance level of direct nursing care.

  • PDF

한국 성인과 노인을 대상으로 이중표식수법을 이용한 신체활동분류표 타당도 평가 (Validation of a physical activity classification table in Korean adults and elderly using a doubly labeled water method)

  • 한혜지;전하연;박종훈;;김은경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56권4호
    • /
    • pp.391-403
    • /
    • 2023
  • 그동안 국내 연구에서 PAL을 산출하기 위해 사용해온 18단계 신체활동분류표로 신체활동을 평가하는 데 한계가 있었기에 새롭게 한국인을 위한 신체활동분류표가 보고되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 총에너지소비량을 측정하는 gold standard인 이중표식수법을 이용하여 새로 보고된 신체활동분류표의 타당도를 평가한 결과, TEEDLW와 TEEPACT 간의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며 TEEDLW와 TEEPACT 간의 스피어만 상관관계 (r = 0.769)는 유의한 높은 양의 상관성을 보였다. 즉, 본 연구에서 TEE 및 PAL 산출을 위해 새로운 신체활동분류표의 사용이 타당한 것으로 평가되었으며, 앞으로 이와 관련된 연구 결과는 2025 한국인 영양소 섭취기준에서 에너지필요추정량 산출식에 필요한 신체활동단계별 계수 (PA)를 결정하는데 유용한 자료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개인별 및 연구 목적으로도 쉽게 사용하기 위해서, 신체활동분류표를 이용한 웹 버전의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및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의 개발이 필요하다.

성인의 13가지 신체활동의 에너지 소비량 및 가속도계 정확성의 남녀비교 (Energy expenditure of physical activity in Korean adults and assessment of accelerometer accuracy by gender)

  • 최연정;주문정;박정혜;박종훈;김은경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50권6호
    • /
    • pp.552-564
    • /
    • 2017
  • 본 연구는 20 ~ 60대의 성인 109명 (남 54명, 여 55명)을 대상으로 13가지 대표적 신체활동에 대한 에너지 소비량(EE)및 신체활동 강도 (METs)를 휴대용 호흡가스 분석기($K4b^2$)를 이용하여 측정하고 이를 기준으로 가속도계(Actigraph $GT3X^+$)의 정확성을 성별에 따라 평가하였다.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휴대용 호흡가스 분석기로 측정한 보통 달리기를 제외한 모든 트레드밀 활동의 단위체중당 에너지 소비량과 METs값은 여자가 남자 보다 유의하게 높았다. 13가지 대표 활동 중 눕기, 앉기 및 서기와 같은 움직임이 없는 활동은 에너지 소비량이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고, 남자는 계단 올라가기 (에너지 소비량 포함)에서 여자는 8 km/h 속도의 보통 달리기 (에너지 소비량값 포함)에서 에너지가 많이 소비되는 고강도 활동으로 나타났다. 2. 가속도계 및 휴대용 호흡가스 분석기로 측정한 EE와 METs값을 비교한 결과, 남자는 계단 내려가기, 보통 걷기와 빠르게 걷기 활동에서 여자는 계단 내려가기를 제외한 모든 활동에서, 가속도계가 휴대용 호흡가스 분석기 보다 과소추정 하였다. 3. Compendium 2011 기준에 따라 강도를 분류하였을 때 가속도계와 휴대용 호흡가스 분석기는 저강도 활동에서 일치하는 비율이 가장 높은 (남자 88.3%, 여자 91.3%) 반면, 고강도 활동에서 가장 낮은 일치율을 보였고 여자 (58.3%)보다는 남자 (75.2%)에서 일치율이 유의하게 높았다. 4. 가속도계를 이용하여 EE 및 METs값 추정 시 준거도구와의 차이를 성별에 따라 비교하면, 계단 내려가기를 제외한 모든 활동에서 여자 보다 남자에서 오차가 작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트레드밀 이외의 활동보다는 트레드밀 활동에서의 오차가 작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다양한 연령대의 성인 남녀의 신체활동의 에너지 소비량 등을 휴대용 호흡가스 분석기로 측정하였다는데 큰 의의가 있으며 이와 같은 측정값은 한국인을 위한 활동분류표 개발 및 에너지 소비량 산출 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추후 연구에서는 현재까지 개발된 다양한 가속도계 추정식의 정확성이 검증되어야 하며 향후 가속도계를 이용하여 EE 및 METs값 산출 시 필요한 추정식은 적용하는 신체활동 종류뿐만 아니라 성별에 따라 개발되어야 할 것이다.

아동소비자의 식품위생에 대한 지식과 행동의 인과관계 분석 (An Analysis of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Knowledge and Behavior towards Food Hygiene among Child Consumers)

  • 김미라;김효정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44권3호
    • /
    • pp.143-151
    • /
    • 2006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levels of knowledge and behavior towards food hygiene among child consumers, examine the factors influencing them, and analyze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them.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521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Youngnam area by a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Frequencies,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and path analysis were conducted by SPSS Windows. The results from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level of knowledge towards food hygiene was not particularly high, and the level of behavior was somewhat more than the average. Second, the factors influencing the level of knowledge towards food hygiene were school record (upper and middle), and concerns about food hygiene. In addition, concerns about food hygiene, the frequency of food hygiene education in the family, and the level of knowledge towards food hygiene had an effect on the level of behavior towards food hygiene. Third, in the analysis of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the knowledge and behavior towards food hygiene, school record indirectly influenced the behavior towards food hygiene, and the frequency of food hygiene education in the family directly affected the behavior towards food hygiene. On the other hand, concerns about food hygiene had direct and indirect influence on the behavior towards food hygiene. In addition, the knowledge towards food hygiene showed a direct effect on the behavior towards food hygiene. These results imply that knowledge towards food hygiene is a very important factor to improve the children's behavior towards food hygiene and that parents' concerns and guidance for children are needed.

중학생의 간접적 비만판정과 에너지섭취 및 소비량과의 관계 (Indirect Assessment of Obesity and Correlation between Energy Intake and Energy Expenditure of Middle School Students)

  • 김윤화;장현숙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291-299
    • /
    • 1997
  • 에너지 섭취량은 남학생이 권장량의 89.7%, 여학생이 100% 섭취하고 있었다. 남학생의 열량 섭취량이 권장량 및 활동량에 비해 많은 양이 부족하게 섭취되고 있었다. 반면, 여학생은 섭취열량, 권장량, 활동량 간의 균형이 잘 이뤄지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권장량에 비해 남학생은 총열량, 칼슘, 철의 섭취량이 약간 부족하였고, 여학생은 철의 섭취량이 미달되는 것으로 나타나 이 부분에 대한 영양교육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그러나 전반적으로 영양소의 섭취상태는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탄수화물과 단백질, 지방의 열량에 대한 구성비는 남학생이 64 : 16 : 20, 여학생이 62 : 16 : 22로 나타나 이상적인 섭취비율과 비슷한 비율을 보였다. 조사대상자의 평균 신장은 남학생이 160.0cm, 여학생이 155.5cm였고, 평균 체중은 남학생이 49.4kg, 여학생이 48.9kg으로 구미지역 중학생들의 발육상태가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상완위 둘레는 남학생이 23.1cm 여학생이 22.6cm로 평균적인 발육상태를 보였다. Caliper로 측정한 상박부 전 후면, 좌측 견갑골, 장골절, 종아리 부위의 피하지방 두께는 남학생이 7.3mm, 13.9mm, 11.4mm, 15.4mm, 21.2mm 여학생이 11.2mm, 18.4mm, 16.7mm, 18.4mm, 21.6mm로 나타났다. 비만으로 판정된 학생은 RBW는 남학생 5%, 여학생 6%, BMI는 남학생 4%, 여학생 10%였고, RI는 남학생 7%, 여학생 13%로 나타났으며, OI는 남학생 4%, 여학생 9%로 나타나 체격지수에 의한 비만판정에는 여학생이 남학생 보다 높은 비만율을 보였다. 상박부후면의 피부두겹 두께에 의한 비만판정은 남학생이 16mm, 여학생이 20mm 이상으로 이에 해당하는 남학생은 43명(24%), 여학생은 66(34%)명으로 나타나 체격지수에 의한 비만 보다 훨씬 높게 평가되는 경향을 보였다. Slaughter의 방법으로 비만으로 판정된 학생은 남학생이 105명(59%), 여학생이 58명(30%)으로 판정되었다. BMI를 이용한 Deurenberg의 방법에 의한 비만학생은 남학생이 27명(15%) 여학생이 13명(7%)으로 판정되었다. Siri의 방법에 의한 비만학생은 남학생 24명(14%), 여학생 2명(1%)으로 판정되었다. 체격지수와 부위별 피지후와의 상관관계에서 RBW는 네부위의 합과 가장 높은 관련 (.6776)을 보였고, BMI(.7542), RI(.7669), OI(.7675), %fatII(.8007)는 모두 견갑골과 가장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다.

  • PDF

직무환경 요인이 학교급식 조리종사자의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과 조직몰입의 매개효과 (The Effect of Job Environment Factors on Turnover Intention of School Foodservice Employee and Mediating Effect of Organizational Commitments)

  • 이경아;허창구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9권4호
    • /
    • pp.254-264
    • /
    • 2018
  • 본 연구의 목적은 학교급식 조리종사자의 이직의도에 미치는 직무환경 요인(six areas)과 태도 요인(조직몰입)의 영향을 확인하고, 직무환경이 요인이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조직몰입의 매개역할을 확인함으로써 이직의도를 낮추기 위해 조직이 개입할 수 있는 요소를 찾기 위함이다. 연구대상은 학교급식 현장에서 근무 중인 조리사로 총 205명의 자료를 분석에 이용하였다. 측정변인 중 직무환경은 여섯 가지 요인(작업량, 통제감, 보상, 공정성, 커뮤니티, 가치)이 측정되었으며, 조직몰입은 정서적 몰입과 계속적 몰입으로 구분하여 측정하였다. 연구결과 직무환경 요인 중 직무의 가치, 작업량, 보상 및 직원 간 커뮤니티를 부정적으로 지각할수록 정서적 몰입이 낮게 나타났고, 통제감과 공정성을 부정적으로 지각할수록 계속적 몰입이 높게 나타났으며, 보상과 커뮤니티를 부정적으로 지각할수록 이직의도가 높게 나타났다. 조직몰입과 이직의도의 관계에서는 정서적 몰입만이 이직의도에 부적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이러한 관계를 직무환경 요인이 조직몰입을 매개로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매개모형으로 구성하여 검증한 결과, 직무환경 요인들 중 이직의도에 직접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보상과 커뮤니티뿐이었으며, 여섯 하위요인 모두 정서적 몰입의 매개를 통해 이직의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직무환경 변인이 개인의 태도 변인을 통해 행동으로 이어지는 과정을 보여주는 것으로써, 물리적 보상이나 작업량 등 조직이 쉽게 조정하기 어려운 직무환경 요인의 영향이 존재하는 경우에도 교육이나 사회적 지지 등 다양한 개입을 통해 종업원의 정서적 몰입을 유지해 줌으로써 이직의도의 증가를 통제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는데 의미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