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ndirect calorimetry

검색결과 50건 처리시간 0.032초

여대생을 대상으로 한 실측 휴식대사량과 예측 기초대사량의 상관관계에 관한 연구 (Correlation between Measured Resting Energy Expenditure and Predicted Basal Energy Expenditure in Female College Students)

  • 장은재;이경령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4권2호
    • /
    • pp.196-201
    • /
    • 2005
  • 본 연구에서는 실측 휴식대사량과 신장, 체중, 성별, 나이, 제지방 등을 적용한 예측 기초대사량 공식 3가지를 비교하여 어느 예측 공식 이 우리 나라의 젊은 여성들에게 적합한지를 알아보았고, 실측 휴식대사량과 신장, 체중, 체표면적, 체질량지수, 제지방량, 체지방량 및 체지방율과의 상관관계를 분석하고, 예측 공식을 유도하였다. 20∼24세의 건강한 여대생 120명을 연구 대상으로 12시간 금식한 후 30분간 산소섭취량과 이산화탄소 생성량을 측정하여 실측 휴식대사량을 구하였고, 체성분분석은 생체전기저항법(Bioelectrical impedence analysis)으로 측정하였으며, 예측 기초대사량은 Harris-Benedict 공식 , WHO/FhO/UNU 공식 과 Cunnin gham 공식을 이용하였다. 실험 결과 실측 휴식대사량은 1257.3$\pm$147.9 kcal/day이었으며, 성별에 따라 신장, 체중과 나이를 적용한 Harris-Benedict 공식으로 구한 예측 기초대사량은 실측 휴식 대사량보다 116.04$\pm$122.8 kcal/day 높게 나타났으며, WHO/FAO/UNU 공식은 32.7$\pm$115.6 kcal/day 높게, Cunningham 공식은 69.7$\pm$116.2 kcal/day 낮게 나타났으며, 상관분석을 통하여 제지방량을 적용하여 기초대사량을 계산하는 Cunningham 공식이 실측 휴식대사량과 가장 밀접한 관계를 보였다. 실측 휴식 대사량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로 제지방, 체표면적과 체중이 순서대로 상관관계가 높게 나타났고, 그 외 신장, 체질량지수, 체지 방량과 체지방율은 기초대사량과의 연관성이 낮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기초대사량과 관련하여 분석한 요인들 가운데 상관성이 가장 높은 제지방량(FFM)을 독립변수로 하고 측정한 기초대사량을 종속변수로 하여 회귀 분석한 결과 RMR=-569.86+48.27(FFM), $R^2$=0.5514로 나타났다.

Metabolizable energy requirement for maintenance estimated by regression analysis of body weight gain or metabolizable energy intake in growing pigs

  • Liu, Hu;Chen, Yifan;Li, Zhongchao;Li, Yakui;Lai, Changhua;Piao, Xiangshu;van Milgen, Jaap;Wang, Fenglai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32권9호
    • /
    • pp.1397-1406
    • /
    • 2019
  • Objective: Feed energy required for pigs is first prioritized to meet maintenance costs. Additional energy intake in excess of the energy requirement for maintenance is retained as protein and fat in the body, leading to weight gain.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stimate the metabolizable energy requirements for maintenance ($ME_m$) by regressing body weight (BW) gain against metabolizable energy intake (MEI) in growing pigs. Methods: Thirty-six growing pigs ($26.3{\pm}1.7kg$) were allotted to 1 of 6 treatments with 6 replicates per treatment in a randomized complete block design. Treatments were 6 feeding levels which were calculated as 50%, 60%, 70%, 80%, 90%, or 100% of the estimated ad libitum MEI ($2,400kJ/kg\;BW^{0.60}\;d$). All pigs were individually housed in metabolism crates for 30 d and weighed every 5 d. Moreover, each pig from each treatment was placed in the open-circuit respiration chambers to measure heat production (HP) and energy retained as protein ($RE_p$) and fat ($RE_f$) every 5 d. Serum biochemical parameters of pigs were analyzed at the end of the experiment. Results: The average daily gain (ADG) and HP as well as the $RE_p$ and $RE_f$ linearly increased with increasing feed intake (p<0.010). ${\beta}$-hydroxybutyrate concentration of serum tended to increase with increasing feed intake (p = 0.080). The regression equations of MEI on ADG were MEI, $kJ/kg\;BW^{0.60}\;d=1.88{\times}ADG$, g/d+782 ($R^2=0.86$) and $ME_m$ was estimated at $782kJ/kg\;BW^{0.60}\;d$. Protein retention of growing pigs would be positive while REf would be negative at this feeding level via regression equations of $RE_p$ and $RE_f$ on MEI. Conclusion: The $ME_m$ was estimated at $782kJ/kg\;BW^{0.60}\;d$ in current experiment. Furthermore, growing pigs will deposit protein and oxidize fat if provided feed at the estimated maintenance level.

Prediction of net energy values in expeller-pressed and solvent-extracted rapeseed meal for growing pigs

  • Li, Zhongchao;Lyu, Zhiqian;Liu, Hu;Liu, Dewen;Jaworski, Neil;Li, Yakui;Lai, Changhua
    • Animal Bioscience
    • /
    • 제34권1호
    • /
    • pp.109-118
    • /
    • 2021
  • Objective: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net energy (NE) of expeller-press (EP-RSM) and solvent-extracted rapeseed meal (SE-RSM) and to establish equations for predicting the NE in rapeseed meal (RSM) fed to growing pigs. Methods: Thirty-six barrows (initial body weight [BW], 41.1±2.2 kg) were allotted into 6 diets comprising a corn-soybean meal basal diet and 5 diets containing 19.50% RSM added at the expense of corn and soybean meal. The experiment had 6 periods and 6 replicate pigs per diet. During each period, the pigs were individually housed in metabolism crates for 16 days which included 7 days for adaption to diets. On day 8, pigs were transferred to respiration chambers and fed their respective diet at 2,000 kJ metabolizable energy (ME)/kg BW0.6/d. Feces and urine were collected, and daily heat production was measured from day 9 to 13. On days 14 and 15, the pigs were fed at 890 kJ ME/kg BW0.6/d and fasted on day 16 for evaluation of fasting heat production (FHP). Results: The FHP of pigs averaged 790 kJ/kg BW0.6/d and was not affected by the diet composition. The NE values were 10.80 and 8.45 MJ/kg DM for EP-RSM and SE-RSM, respectively. The NE value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gross energy (GE), digestible energy (DE), ME, and ether extract (EE). The best fit equation for NE of RSM was NE (MJ/kg DM) = 1.14×DE (MJ/kg DM)+0.46×crude protein (% of DM)-25.24 (n = 8, R2 = 0.96, p<0.01). The equation NE (MJ/kg DM) = 0.22×EE (% of DM)-0.79×ash (% of DM)+14.36 (n = 8, R2 = 0.77, p = 0.018) may be utilized to quickly determine the NE in RSM when DE or ME values are unavailable. Conclusion: The NE values of EP-RSM and SE-RSM were 10.80 and 8.45 MJ/kg DM. The NE value of RSM can be well predicted based on energy content (GE, DE, and ME) and proximate analysis.

Evaluating and predicting net energy value of wheat and wheat bran for broiler chickens

  • Ning, Ran;Cheng, Zichen;Liu, Xingbo;Ban, Zhibin;Guo, Yuming;Nie, Wei
    • Animal Bioscience
    • /
    • 제35권11호
    • /
    • pp.1760-1770
    • /
    • 2022
  • Objective: It is crucial to accurately determine the net energy (NE) values of feed ingredients because the NE system is expected to be applied to the formulation of broilers feed. The NE values of 5 wheat and 5 wheat brans were determined in 12-to 14-day old Arbor Acres (AA) broilers with substitution method and indirect calorimetry method. Methods: A total of 12 diets, including 2 reference diets (REF) and 10 test diets (5 wheat diets and 5 wheat bran diets) containing 30% of test ingredients, were randomly fed to 864 male AA birds with 6 replicates of 12 birds per treatment. These birds were used to determine metabolizable energy (ME) (8 birds per replicate) in the chicken house and NE (4 birds per replicate) in the chamber respectively at the same time. After a 4-d dietary and environment adaptation period, growth performance, energy values, energy balance and energy utilization were measured during the following 3 d. Multiple linear regression analyses were further performed to generate prediction equations for NE values based on the chemical components and ME values. The NE prediction equation were also validated on another wheat diet and another wheat bran diet with high correlation (r = 0.98, r = 0.75). Results: The NE values of 5 wheat and 5 wheat bran samples are 9.34, 10.02, 10.27, 11.33, and 10.49 MJ/kg, and 5.37, 5.17, 4.87, 5.06, and 4.88 MJ/kg DM, respectively. The equation with the best fit were NE = 1.968AME-0.411×ADF-14.227 (for wheat) and NE = -0.382×CF-0.362×CP-0.244×ADF+20.870 (for wheat bran). Conclusion: The mean NE values of wheat and wheat bran are 10.29 and 5.07 MJ/kg DM in AA broilers. The NE values of ingredients could be predicted by their chemical composition and energy value with good fitness.

Dynamic of heat production partitioning in rooster by indirect calorimetry

  • Rony Lizana, Riveros;Rosiane, de Sousa Camargos;Marcos, Macari;Matheus, de Paula Reis;Bruno Balbino, Leme;Nilva Kazue, Sakomura
    • Animal Bioscience
    • /
    • 제36권1호
    • /
    • pp.75-83
    • /
    • 2023
  • Objective: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describe a methodological procedure to quantify the heat production (HP) partitioning in basal metabolism or fasting heat production (FHP), heat production due to physical activity (HPA), and the thermic effect of feeding (TEF) in roosters. Methods: Eighteen 54-wk-old Hy Line Brown roosters (2.916±0.15 kg) were allocated in an open-circuit chamber of respirometry for O2 consumption (VO2), CO2 production (VCO2), and physical activity (PA) measurements, under environmental comfort conditions, following the protocol: adaptation (3 d), ad libitum feeding (1 d), and fasting conditions (1 d). The Brouwer equation was used to calculate the HP from VO2 and VCO2. The plateau-FHP (parameter L) was estimated through the broken line model: HP = U×(R-t)×I+L; I = 1 if t<R or I = 0 if t>R; Where the broken-point (R) was assigned as the time (t) that defined the difference between a short and long fasting period, I is conditional, and U is the decreasing rate after the feed was withdrawn. The HP components description was characterized by three events: ad libitum feeding and short and long fasting periods. Linear regression was adjusted between physical activity (PA) and HP to determine the HPA and to estimate the standardized FHP (st-FHP) as the intercept of PA = 0. Results: The time when plateau-FHP was reached at 11.7 h after withdrawal feed, with a mean value of 386 kJ/kg0.75/d, differing in 32 kJ from st-FHP (354 kJ/kg0.75/d). The slope of HP per unit of PA was 4.52 kJ/mV. The total HP in roosters partitioned into the st-FHP, termal effect of feeding (TEF), and HPA was 56.6%, 25.7%, and 17.7%, respectively. Conclusion: The FHP represents the largest fraction of energy expenditure in roosters, followed by the TEF. Furthermore, the PA increased the variation of HP measurements.

한국 성인과 노인을 대상으로 이중표식수법을 이용한 신체활동분류표 타당도 평가 (Validation of a physical activity classification table in Korean adults and elderly using a doubly labeled water method)

  • 한혜지;전하연;박종훈;;김은경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56권4호
    • /
    • pp.391-403
    • /
    • 2023
  • 그동안 국내 연구에서 PAL을 산출하기 위해 사용해온 18단계 신체활동분류표로 신체활동을 평가하는 데 한계가 있었기에 새롭게 한국인을 위한 신체활동분류표가 보고되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 총에너지소비량을 측정하는 gold standard인 이중표식수법을 이용하여 새로 보고된 신체활동분류표의 타당도를 평가한 결과, TEEDLW와 TEEPACT 간의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며 TEEDLW와 TEEPACT 간의 스피어만 상관관계 (r = 0.769)는 유의한 높은 양의 상관성을 보였다. 즉, 본 연구에서 TEE 및 PAL 산출을 위해 새로운 신체활동분류표의 사용이 타당한 것으로 평가되었으며, 앞으로 이와 관련된 연구 결과는 2025 한국인 영양소 섭취기준에서 에너지필요추정량 산출식에 필요한 신체활동단계별 계수 (PA)를 결정하는데 유용한 자료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개인별 및 연구 목적으로도 쉽게 사용하기 위해서, 신체활동분류표를 이용한 웹 버전의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및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의 개발이 필요하다.

성인의 13가지 신체활동의 에너지 소비량 및 가속도계 정확성의 남녀비교 (Energy expenditure of physical activity in Korean adults and assessment of accelerometer accuracy by gender)

  • 최연정;주문정;박정혜;박종훈;김은경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50권6호
    • /
    • pp.552-564
    • /
    • 2017
  • 본 연구는 20 ~ 60대의 성인 109명 (남 54명, 여 55명)을 대상으로 13가지 대표적 신체활동에 대한 에너지 소비량(EE)및 신체활동 강도 (METs)를 휴대용 호흡가스 분석기($K4b^2$)를 이용하여 측정하고 이를 기준으로 가속도계(Actigraph $GT3X^+$)의 정확성을 성별에 따라 평가하였다.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휴대용 호흡가스 분석기로 측정한 보통 달리기를 제외한 모든 트레드밀 활동의 단위체중당 에너지 소비량과 METs값은 여자가 남자 보다 유의하게 높았다. 13가지 대표 활동 중 눕기, 앉기 및 서기와 같은 움직임이 없는 활동은 에너지 소비량이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고, 남자는 계단 올라가기 (에너지 소비량 포함)에서 여자는 8 km/h 속도의 보통 달리기 (에너지 소비량값 포함)에서 에너지가 많이 소비되는 고강도 활동으로 나타났다. 2. 가속도계 및 휴대용 호흡가스 분석기로 측정한 EE와 METs값을 비교한 결과, 남자는 계단 내려가기, 보통 걷기와 빠르게 걷기 활동에서 여자는 계단 내려가기를 제외한 모든 활동에서, 가속도계가 휴대용 호흡가스 분석기 보다 과소추정 하였다. 3. Compendium 2011 기준에 따라 강도를 분류하였을 때 가속도계와 휴대용 호흡가스 분석기는 저강도 활동에서 일치하는 비율이 가장 높은 (남자 88.3%, 여자 91.3%) 반면, 고강도 활동에서 가장 낮은 일치율을 보였고 여자 (58.3%)보다는 남자 (75.2%)에서 일치율이 유의하게 높았다. 4. 가속도계를 이용하여 EE 및 METs값 추정 시 준거도구와의 차이를 성별에 따라 비교하면, 계단 내려가기를 제외한 모든 활동에서 여자 보다 남자에서 오차가 작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트레드밀 이외의 활동보다는 트레드밀 활동에서의 오차가 작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다양한 연령대의 성인 남녀의 신체활동의 에너지 소비량 등을 휴대용 호흡가스 분석기로 측정하였다는데 큰 의의가 있으며 이와 같은 측정값은 한국인을 위한 활동분류표 개발 및 에너지 소비량 산출 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추후 연구에서는 현재까지 개발된 다양한 가속도계 추정식의 정확성이 검증되어야 하며 향후 가속도계를 이용하여 EE 및 METs값 산출 시 필요한 추정식은 적용하는 신체활동 종류뿐만 아니라 성별에 따라 개발되어야 할 것이다.

수면무호흡증의 중증도와 안정시 에너지 대사 및 혈중 Leptin과의 관계 (The Relationship of the Severity of Sleep Apnea Syndrome to the Resting Energy Expenditure and Leptin)

  • 이관호;신경철;안재희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46권6호
    • /
    • pp.836-845
    • /
    • 1999
  • 연구배경 : 수면 무호흡증 환자는 대부분 비만이 동반되고 비만은 수면 무호흡증 발병의 중요한 원인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체중을 줄임으로써 무호흡 횟수 및 심부정맥의 감소와 동맥혈 산소포화가 향상된다는 사실이 알려지면서 체중조절을 중요한 치료방법으로 생각하게 되었다. 그러나 지금까지 비만에 대한 다양한 치료방법이 시도되었으나 결과는 만족스럽지 못하다. 저자들은 체내에너지 대사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안정시 에너지대사의 변화를 관찰하고 수면다원검사에서 측정한 수면무호흡증의 중증도와 안정시 에너지소모량과의 상관관계를 규명하여 무호흡의 중증도가 안정시 에너지대사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또한 수면 무호흡증에서 혈중 leptin 농도를 측정하여 수면 무호흡의 중증도와 leptin과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이 연구를 수행하였다. 방 법 : 수면 중 무호흡 증상을 주소로 내원하여 수면무호흡증으로 진단 받은 환자 중 신체질량지수가 $25\;kg/m^2$ 이상인 39례와 비슷한 비만도를 보이며 수면무호흡이 없었던 45례를 대상으로 수면다원검사를 실시하고 안정시 에너지소모량은 ventilated hood system을 이용하여 indirect calorimetry로 측정하였다. 수면무호흡증과 대조군에서 혈중 leptin 농도는 human leptin kit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결 과 : 수면무호흡증은 대조군보다 안정시 에너지소모량의 예측치와 측정치가 유의하게 높았으나, 안정시 에너지 소모량 백분율은 차이가 없었다. 안정시 에너지소모량은 수면무호흡증의 중증도와 관계 있는 무호흡지수, 무호흡 저호흡지수 및 최저 동맥혈 산소포화도 등과도 상관관계는 없었다. 수면무호흡증에서 혈중 leptin 농도는 무호흡지수, 무호흡 저호흡지수 및 최저 동맥혈 산소포화도와 상관관계가 있었으나, 안정시 에너지소모량과 상관관계는 없었다. 결 론 : 이상의 결과로 수면무호흡증에서 안정시 에너지대사가 감소되어 있지 않았으며 수면무호흡증에서 leptin은 안정시 에너지소모에 관여하여 지방을 조절하기보다는 식이를 조절함으로써 체지방을 조절할 것으로 생각한다. 수면무호흡증에서 무호흡의 정도가 심할수록 혈중 leptin 농도가 높았으며 이는 수면무호흡증에 동반된 비만과 관계가 있을 것으로 생각하며, 수면무호흡증에서 leptin 농도와 무호흡의 중증도와의 관계에 대해서는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한다.

  • PDF

한국인 젊은 여성에서 고당질, 고지방 및 고단백질 식사가 식후 열생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High Carbohydrate, High Fat and Protein Meal on Postprandial Thermogenesis in Young Women)

  • 노희경;최인선;오승호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4권8호
    • /
    • pp.1202-1209
    • /
    • 2005
  • 일반식사, 고당질식사, 고단백식사 및 고지방식사가 DIT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하기 위하여 건강한 성인 여성에게 각각 동량의 에너지를 급식시켰을 때 에너지 소모량과 혈액중 포도당, 지질 및 인슐린 함량변동을 3시간 동안 관찰한 결과 다음과 같은 성적을 얻었다. 고당질식사, 고단백식사, 고지방식사 및 일반식사의 섭취에 따른 혈당의 $\delta$-AUC 값은 각각 301.9$\pm$64.4 mg/dL, 63.8$\pm$ 14.4 mg/dL, 22.3$\pm$8.3 mg/dL, 153.4$\pm$ 19.8 mg/dL로 고당질식사가 가장 높았고, 고지방식사에서 가장 낮았다. 혈중 인슐린의 $\delta$-AUC 값은 고당질식사와 고단백식사에서 314.1$\pm$45.3 $\mu$IU/mL 및 165.3$\pm$ 23.8$mu$IU/mL이었고, 고지방식사와 일반식사에서 각각 102.4$\pm$11.4 $\mu$IU/mL 및 244.5$\pm$24.4$mu$IU/mL이었으며 고당질식사가 가장 높았고, 고지방식사에서 가장 낮았다. 혈중 중성지방의 $\delta$-AUC 값은 고당질식사, 고단백식사, 고지방식사 및 일반식사에서 각각 -4.7$\pm$21.5 mg/dL, 44.3$\pm$13.9 mg/dL, 120.4$\pm$44.7 mg/dL, 50.5$\pm$48.5 mg/dL로 고지방식사가 가장 높았고, 고당질식사에서 가장 낮았다. 섭취한 열량에 대한 DIT의 비율은 일반식사의 경우8.7$\pm$2.0$\%$였으며, 고당질식사와 고단백식사 및 고지방식사에서 각각 10.4$\pm$1.3$\%$, 12.9$\pm$0.5$\%$, 6.9$\pm$1.2$\%$로, 고단백식사가 고지방식사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은 결과를 보였다. 그러나 DIT가 인슐린 및 제지방량과 상관성을 보이지 않았다.

한국 소아청소년을 위한 신체활동분류표의 타당도 평가 및 이를 이용한 일일 총에너지소비량, 에너지필요추정량과 신체활동 평가 (Validation of the physical activity classification table for Korean youth and assessment of total energy expenditure, estimated energy requirement and physical activity in Korean children and adolescents)

  • 곽지연;김명희;박종훈;;김은경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56권1호
    • /
    • pp.35-53
    • /
    • 2023
  • 소아청소년은 성인과는 다른 신체적, 생리적 특성이 있으므로 동일한 신체활동을 할지라도 에너지소비량이 다름이 보고된 바 있다. 그러나 지금까지 국내에서 수행된 소아청소년 대상 연구에서 이들의 에너지소비량을 평가 시, 성인 대상으로 측정한 에너지소비량 또는 성인대상 18단계 신체활동분류표가 이용되어왔다. 최근 소아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미국의 자료와 국내의 일부 자료를 토대로 4단계 연령대 (6-9세, 10-12세, 13-15세 및 16-18세)에 따라 서로 다른 에너지당량 (METs)을 제시하는 한국 소아청소년을 위한 신체활동분류표가 보고되었다. 이에 본 연구의 1부에서 에너지소비량 측정방법의 gold standard로 알려져 있는 이중표식수법을 이용하여 소아청소년을 위한 신체활동분류표의 타당도를 평가한 결과, 이의 활용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2부에서는 세계보건기구에서 제안한 방법 (TEE = REE × PAL), 즉 간접열량계로 측정한 REE과 소아청소년 신체활동분류표로 측정한 PAL을 이용하여 166명의 소아청소년 (초·중·고등학생)의 일일 총에너지소비량을 산출하였다. 이를 기준으로 한국인 영양소 섭취기준에서 제시한 공식을 이용한 EER을 비교한 결과, 과대평가 비율이 47.3%로 나타났다. 또한 소아청소년 신체활동분류표를 이용하여 산출된 신체활동 강도별 및 신체활동 유형별 소비시간이 성별 및 연령대별로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앞으로 중학생 및 고등학생을 포함하는 다수의 소아청소년을 대상으로 이중표식수법을 이용하여 일일 총에너지소비량을 측정하는 연구가 수행되어, 소아청소년을 위한 신체활동분류표의 타당도가 폭넓게 평가되어야 한다. 또한 이와 같은 이중표식수법 연구를 통하여 우리나라 소아청소년을 위한 에너지필요추정량 산출 공식의 타당도 평가와 함께 한국의 소아청소년을 위한 에너지필요추정량공식이 개발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학업부담이 많은 고등학생 뿐만 아니라, 중학생 및 초등학생에서도 강도있는 신체활동의 소비시간이 매우 낮은 것으로 나타났으므로 우리나라 소아청소년의 건강 및 비만의 예방 및 관리를 위하여 이들의 에너지소비량을 증진시킬 수 있는 프로그램의 개발 및 적용이 요구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