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ndirect adjustment

검색결과 100건 처리시간 0.022초

초등학생들이 지각한 부모의 교육적 관여가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학교생활적응의 매개효과 (The Effect of Learners' Perception on Parents Academic Involvement on Career Maturity in Elementary School Students: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s of Academic Self-Efficacy and School Adjustment)

  • 소연희
    • 직업교육연구
    • /
    • 제30권4호
    • /
    • pp.203-220
    • /
    • 2011
  • 이 연구는 초등학교 6학년생 443명을 대상으로 지각된 부모의 교육적 관여,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학교생활적응 및 진로성숙도들 간의 관련성에 대해 살펴보고, 구조방정식 모형분석을 통해 지각된 부모의 교육적 관여가 진로성숙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학교생활적응 변인의 매개효과가 있는지에 관해 알아보았다. 그 결과 첫째, 지각된 부모의 교육적 관여의 하위변인들 중 학습지도와 자녀교육지원이 진로성숙도의 하위변인들과 비교적 높은 정적 상관을 나타냈다. 또한 학업적 자기효능감은 진로성숙도의 하위변인들 중 자기이해와 미래직업태도와 상대적으로 높은 정적인 상관을 보였다. 둘째, 연구모형 적합도 검증결과 지각된 부모의 교육적 관여가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학교생활 적응을 완전히 매개하여 간접적으로 진로성숙도에 영향을 주는 모형이 적합하였다. 셋째, 초등학생들의 진로성숙도에 영향을 미치는 직 간접적인 효과 분석결과 총 효과는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지각된 부모의 교육적 관여가 상대적으로 높았고, 직접적인 효과는 학교생활적응이 가장 높았으며, 간접적인 효과는 지각된 부모의 교육적 관여가 높았다. 이상의 결과들을 토대로 실제 학교현장에서 초등학생들에게 맞는 진로교육프로그램 개발 및 운영에 관한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한부모가정여부가 아동의 자기보호와 미디어노출을 통해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single-parent households on children's school adjustment -Mediation of children's self-care and media exposure-)

  • 양경해;강현아
    • 한국아동복지학
    • /
    • 제56호
    • /
    • pp.221-251
    • /
    • 2016
  • 본 연구의 목적은 한부모가정여부가 아동의 자기보호와 미디어 노출을 통해 학교적응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하고 자기보호와 미디어노출의 이중매개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의 한국아동 청소년패널조사데이터의 초4학년패널 4차년도 자료를 활용하였으며 이에 따라 총 1,916명의 아동 자료를 분석에 포함하였다. 주요한 통계방법으로는 인과관계 검증을 위해 구조방정식모형 분석과 다중매개모형 특정간접효과(specific indirect effect)를 확인하기 위해 팬텀모형(phantom model)에 의한 Bootstrapping 방법을 적용하였다. 분석 결과, 한부모가정여부는 아동의 학교적응에 직접적인 영향력을 미칠 뿐 아니라, 아동의 자기보호를 통해서도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아동의 자기보호와 미디어 노출은 한부모가정여부가 학교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에 이중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즉, 한부모 가정은 일반가정에 비해 아동 자기보호 수준이 높으며, 이는 미디어 노출을 증가시키고 학교적응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결과는 아동 자기보호와 미디어노출에 관련한 정책이 한부모가정 아동의 학교 적응을 도울 수 있음을 시사한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한부모가정이라는 구조적 특성과 그에 따른 특수한 욕구에 맞는 방과후 돌봄과 아동 미디어노출 관련 정책적, 실천적 제언을 하였다.

Cigarette Smoking and Serum Bilirubin Subtypes in Healthy Korean Men: The Korea Medical Institute Study

  • Jo, Jae-Seong;Kimm, Hee-Jin;Yun, Ji-Eun;Lee, Kyu-Jang;Jee, Sun-Ha
    •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 /
    • 제45권2호
    • /
    • pp.105-112
    • /
    • 2012
  • Objectives: Cigarette smoking is a modifiable risk factor for cardiovascular disease. Bilirubin is a potent antioxidant and its concentration decreases in smokers. However, studies about the association between cigarette smoking and bilirubin are scarce and most are limited to total bilirubin. Additionally, bilirubin is highly related to hemoglobin. Therefore, this study evaluates the association between bilirubin subtypes and cigarette smoking in healthy Korean men independently of hemoglobin. Methods: This study included 48 040 Korean men aged 30 to 87 years who visited the Korea Medical Institute for routine health examinations from January to December, 2007. The association of smoking with total, direct, and indirect bilirubin was assessed by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taking into consideration differences in subjects and smoking characteristics. Results: Current smokers had lower bilirubin concentrations than never-smokers and ex-smokers. Smoking amount and duration were inversely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total, direct, and indirect bilirubin. In a multivariable adjusted model, compared to never-smokers, the odds ratios (ORs) and 95% confidence intervals (CIs) of current smokers with the highest number of pack-years were 1.7 (1.6 to 1.9) for total, 1.5 (1.4 to 1.6) for direct, and 1.7 (1.6 to 1.9) for indirect bilirubin. After further adjustment for hemoglobin, this association became stronger (OR [95% CI], 2.1 [1.9 to 2.2] for total; 1.9 [1.8 to 2.0] for direct; 2.0 [1.9 to 2.2] for indirect bilirubin). Conclusions: In this study, bilirubin subtypes are inversely associated with smoking status, smoking amount, and smoking duration in healthy Korean men independently of hemoglobin. Further studies are needed to investigate this association in healthy Korean women.

국내 공공 공사 하도급계약 공기연장 추가간접비 산정방안 (The Calculation Method for Prolongation cost of Sub-Constract in Domestic Public Construction Project)

  • 정기창;이재섭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
    • 제19권4호
    • /
    • pp.61-69
    • /
    • 2018
  • 원도급계약에서의 공기연장 추가간접비에 대한 연구는 지속되어왔다. 그러나 하도급계약에서의 공기연장 추가간접비 산정방식에 대한 연구는 거의 없는 실정이다. 본 연구는 기존 현장에서 사용되고 있는 공기연장 추가간접비 산정방식과 선행연구에서 제안된 공기연장 추가간접비 산정방식에 대해 고찰하고 모형사례를 분석하여 산정방식을 비교하였다. S-curves형태의 간접비 발생을 반영한 모형사례의 발생상황을 사례별로 제시하여 선행연구에서 제시된 공기연장 추가간접비 산정방식별 산출결과를 비교하였다. 산정방식의 문제점을 고찰하는 과정에서 원사업자의 공기연장 추가간접비 산정방식으로 타당한 것으로 연구된 바 있는, 지연기간 평균실비산정방법이 수급사업자의 공기연장 추가간접비 산정에도 타당하다는 결론을 도출하여 보편적으로 적용될 수 있음을 입증하였다.

아내폭력가정 자녀의 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 : 쉼터 거주 아동을 중심으로 (Factors Affecting the Adjustment of Children from Maritally Violent Homes : An Exploratory Analysis Focusing on Children Living in Shelters for Battered Women)

  • 장희숙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55권
    • /
    • pp.255-281
    • /
    • 2003
  • 본 연구는 아내폭력가정 자녀들을 대상으로 그들의 적응과 관련된 변인들을 탐색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구체적으로, 쉼터아동과 일반아동들이 내 외적 적응행동에서 차이가 있는지 확인하였다. 폭력 경험의 유형에 따라 표출하는 문제행동이 다른지 살펴보고, 적응력이 높은 아동과 부적응이 심한 집단을 구별하는 요인들을 발견하였다. 또한 어떤 보호요인들이 어떤 경로를 통해서 적응에 영향을 미치는지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표본은 가정폭력 쉼터에 거주한 72명 아동과 그들 어머니, 그리고 76명 비폭력가정 아동과 어머니들이다. 일원변량분석, 로지스틱 회귀모델, 경로분석을 사용해서 밝혀진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아내폭력가정 아동은 비교집단보다 학업성취도가 낮고, 우울/불안 수준이 높으며, 더 공격적이거나 잦은 횟수의 비행행동을 보이고 있었다. 둘째, 아내폭력만 목격한 아동과 아내폭력 목격과 동시에 신체적 폭력도 경험한 집단을 구별하는 요인은 공격성과 비행행동으로 밝혀졌다. 셋째, 학업성취도에 대한 보호요인은 사회적 지지이며, 비행행동의 예측요인은 어머니의 학력, 소득, 아동의 연령, 사회적 지지로 나타났다. 넷째, 아내폭력은 아동의 적응행동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었으며, 아울러 학업성취도와 자존감을 매개로 하여 간접효과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아내폭력은 어머니의 우울 정서 또는 아동의 사회적 지지에 의해 학업성취도에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폭력가정 아동의 적응력을 높이기 위한 실천적 방법들이 제시되었다.

  • PDF

사회적지지가 남녀청소년의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삶의 만족도의 매개효과 (The Effect of Social Support on Adolescents' School-Related Adjustments: The Mediation Effect of Life Satisfaction)

  • 최미경
    • Human Ecology Research
    • /
    • 제52권6호
    • /
    • pp.651-668
    • /
    • 2014
  •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support, life satisfaction, and school-related adjustments of adolescents. The participants were 260 junior high school students (140 male and 120 female students) from the Seoul area. They completed questionnaires on social support, life satisfaction, and school-related adjustment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basic descriptive statistics, Pearson's correlation, and a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Baron and Kenny's method was used and examined, and the Sobel test was performed to determine the mediating model's significance. It was adapted to SPSS ver. 19.0 for Windows. The major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social support (parents/teacher/friend)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the adolescents' school-related adjustment. Second, the adolescents' life satisfaction was also positively correlated with the adolescents' school-related adjustments. In addition, social support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life satisfaction. It was further found that the adolescents' life satisfaction tended to play a perfectly/partially mediating role between social support and school-related adjustment; that is, social support (parents/teacher/friend) was shown to have not only a direct effect, but also an indirect effect through the adolescents' life satisfaction, on the school-related adjustments. These results clearly indicated that adolescents' life satisfaction plays a crucial ro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support and the adolescents' school-related adjustments.

고형암 환자의 암성피로에 대한 정신생리학적 엔트로피 모델 검증 (A Test for Psychobiologic Entropy Model on Cancer Related Fatigue among Patients with Solid Tumors)

  • 오창희;박현영;이지숙;최자윤
    • 성인간호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1-12
    • /
    • 2016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test a Winningham's psychobiologic entropy model (PEM) on cancer related fatigue (CRF) among patients with solid tumors. Methods: Participants consisted of 213 patients with solid tumors recruited from December, 2012 through June, 2013, in a university hospital, in Hwasun, South Korea. Primary symptoms, adjustment, physical activity, status of nutrition and fatigue were measured using structured questionnaires.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21.0 and AMOS 21.0 programs. Results: The modified model tested provided a reasonable fit to the data ($x^2=65.80$ [df=30, p<.001], TLI=.92, CFI=.95, RMSEA=.08, SRMR=.07). Primary symptoms (dyspnea, anxiety, depression and insomnia) had direct positive effects on CRF. Adjustment and status of nutrition showed indirect negative effects on CRF. However, the impact of physical activity was not significant. These variables explained 49.2% of the variance of CRF among solid tumor patients. Conclusion: The findings demonstrate that the tested model explain some CRF among solid tumor patients and warrant future research considering the cancer-related clinical factors of the given population.

Preliminary strong ground motion simulation at seismic stations within nuclear power plant sites in South Korea by a scenario earthquake on the causative fault of 2016 Gyeongju earthquake

  • Choi, Hoseon
    • Nuclear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제54권7호
    • /
    • pp.2529-2539
    • /
    • 2022
  • Stochastic and an empirical Green's function (EGF) methods are preliminarily applied to simulate strong ground motions (SGMs) at seismic stations within nuclear power plant (NPP) sites in South Korea by an assumed large earthquake with MW6.5 (scenario earthquake) on the causative fault of the 2016 Gyeongju earthquake with MW5.5 (mainshock). In the stochastic method, a ratio of spectral amplitudes of observed and simulated waveforms for the mainshock is assumed to be an adjustment factor. In the EGF method, SGMs by the mainshock are simulated assuming SGMs by the 2016 Gyeongju earthquake with MW5.0 (foreshock) as the EGF. To simulate SGMs by the scenario earthquake, a ratio of fault length to width is assumed to be 2:1 in the stochastic method, and SGMs by the mainshock are assumed to be EGF in the EGF method. The results are similar based on a bias of the simulated response spectra by the two methods, and the simulated response spectra by the two methods exceeded commonly standard design response spectra anchored at 0.3 g of NPP sites slightly at a frequency band above 4 Hz, but considerable attention to interpretation is required since it is an indirect comparison.

청소년이 느끼는 부모의 긍정적 양육태도가 자기효능감, 스트레스, 우울, 학교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positive parenting style, self-efficacy, stress, and depression on school adjustment of adolescents)

  • 서석남;이상구;임상호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0권8호
    • /
    • pp.327-333
    • /
    • 2012
  • 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이 느끼는 부모의 긍정적 양육태도가 자기효능감, 스트레스, 우울,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데 있다. 분석대상은 한국 청소년정책 연구원에서 실시한 2010년 한국청소년 건강 실태조사에 응답한 중 고등학생 청소년이며, 총 7,187명을 최종 분석대상으로 선정하였다. 분석방법은 구조방정식모형(SEM: Structural Equation Modeling)을 실시하였다. 주요 분석결과를 보면, 부모의 긍정적 양육태도는 자기효능감을 높이고, 스트레스 및 우울을 감소시킬 뿐만 아니라, 학교생활적응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자기효능감이 높을수록 스트레스와 우울이 낮았으며, 학교생활적응은 높게 나타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청소년의 스트레스와 우울이 낮을수록 학교생활적응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부모의 긍정적 양육태도가 자기효능감 등 매개변수를 통한 간접효과까지 고려한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전체효과가 매우 크기 때문에 통제적이고 권위적인 양육태도보다는 긍정적이면서 자율 수용적인 양육태도로의 변화, 친밀한 부모-자녀관계 형성, 그리고 양육방식에 대한 효과적인 부모교육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는 제언을 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사진축적을 고려한 GPS/INS 항공사진측량 블록조정의 정확도 분석 (Accuracy Analysis of Combined Block Adjustment with GPS/INS Observations Considering Photo Scale)

  • 이재원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23권3호
    • /
    • pp.323-330
    • /
    • 2005
  • 현재 Direct Georeferencing은 지난 10여년 적용되어오던 GPS-항측의 단점인 항공사진의 6개 외부표정요소중 단지 투영중심의 위치만 제공하던 약점을 극복하고 실무에 보편적으로 적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의 가장 큰 장점은 지상기준점 측량작업의 절감내지는 이를 완전히 생략할 수 있다는 점이다. 본 본문은 상용의 GPS/IMU 를 이용하여 외부표정요소 결정에 대한 실힘 결과를 소개하였다. 실힘을 위하여 사진축척 1:5,000의 대축척과 1:20,000의 중축척으로 촬영한 관측자료를 처리하여 사진축척의 변화를 고려한 외부표정요소 결정의 정확도 및 결합블럭조정의 특성 등 다양하고 의미 있는 결과들을 도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