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independent stream

검색결과 137건 처리시간 0.027초

모바일 웹을 지원하는 응용 독립적 멀티미디어 적응 프레임워크 (An Application-Independent Multimedia Adaptation framework for the Mobile Web)

  • 전성미;임영환
    •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 /
    • 제6권6호
    • /
    • pp.139-148
    • /
    • 2005
  • 차세대 웹인 모바일 웹에 대한 멀티미디어 서비스 욕구는 PC수준이 될 것이며, 이를 지원할 수 있는 단말기 제작 기술, 통신 기술, 서비스 및 표준화 노력들이 진행되고 있다. 모바일 웹 환경에서는 다양한 단말기 종류, 네트워크 능력 및 사용자 선호등을 지원하여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적응 서비스가 가능하도록 하여야 한다. 이것은 목적지인 단말기의 하드웨어 사양과 재생서비스 품질의 다양성으로 인하여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재생 서비스 품질이 고정되어 있지 않음을 의미한다. 만일 새로운 사용자가 새로운 종류의 단말기를 통하여 서버의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재생하려고 한다면, 기존 트랜스코더로 멀티미디어 적응이 가능한지 고려하여야 한다. 그런데 현재 사용되는 멀티미디어 적응 라이브러리들은 하나의 라이브러리에 모든 적응 기능을 넣은 중량 트랜스코더의(heavy transcoder) 형태이다. 이러한 중량 트랜스코더로 제한없는 접속(Universal Access)의 도전을 해결하는 것은 너무 복잡하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다양한 새로운 모바일 단말기의 서비스 품질을 만족하는 응용 독립적 멀티미디어 적응 프레임워크를 제안한다. 이것은 중량 트랜스코더대신 하나의 트랜스고딩 기능만을 갖는 단위 트랜스코더들의 집합을 갖는다. 또한 종단간 서비스 품질을 만족하도록 단위 트랜스코더들의 동적 연결을 지원하는 트랜스코더 관리자를 포함한다.

  • PDF

CAT-PEST 연계 모형의 침투 해석 방법에 따른 단기 유출 특성 분석 (Analysis of Short-term Runoff Characteristics of CAT-PEST Connected Model using Different Infiltration Analysis Methods)

  • 최신우;장철희;김현준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7권11호
    • /
    • pp.26-41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물리적 매개변수 기반의 물순환모형 CAT(Catchment hydrologic cycle Assessment Tool)을 매개변수 자동보정 기법인 PEST(Model-independent Parameter ESTimation)와 연계하여 단기 유출 특성을 분석하였다. CAT모형의 유출 모의 시 CAT모형에서 지원하는 3가지 침투 해석 방법((Rainfall excess, Green&Ampt and Horton)을 적용하였으며, 대표적인 단기 유출모형인 HEC-HMS를 비교 모델로 설정하여 모의 결과를 비교 분석하였다. 대상유역은 탄천의 지류인 운중천과 금토천이 포함된 판교 시험유역으로 유역면적은 $22.9km^2$이며, 유로연장은 9.2km이다. 2006, 2007년 중 누적 강우량 40mm이상에 해당하는 6개의 강우사상을 대상으로 모의를 실시하였다. 주요 매개변수를 대상으로 첨두유량, 첨두시간, 유출용적에 대한 민감도 분석 수행 후, PEST를 적용하여 유출 특성에 민감하게 반응하는 토양 관련 매개변수들에 대해 최적화를 수행하였다. 모의 결과 HEC-HMS의 경우 6개 강우사상에 대해 NSE가 0.63~0.91이었으며, CAT-PEST는 NSE 0.42~0.93의 모형 효율을 보였다. 선행토양함수조건에 따라 유출특성이 민감하게 반응하는 강우사상에 대해서는 HEC-HMS의 모의 정확도가 높았으나 강우 특성에 따라 유출특성이 민감하게 반응하는 경우에는 한계가 있는 것으로 보인다. 물리적 매개변수가 입력자료로 사용되는 CAT-PEST의 경우 다양한 유출특성을 가진 강우 사상에 대해 정밀한 유출 분석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상품 기획 과정에서 사용하는 패션정보의 감성 요소에 대한 연구(I) (A Study on the Emotional Factors of the Merchandising Process used in Fashion Information)

  • 김혜영
    • 복식문화연구
    • /
    • 제5권3호
    • /
    • pp.1-25
    • /
    • 1997
  • The consumers, who are characterized by gathering a wide scope of information and by putting into action immediately, have come to the new group searching for emotion and have played a leading role of market. The characgeristics of consumers are the fact that they have followed the street fashion with no-concept, independent of the trends which the brand has provide for consumers. Therefore it leads to a big gap between the fashion information for enterprises and market formation for consumer class. The principal purpose of this paper is to get closer the distance between the information which is used in merchandise plan and real market for consumers, and to suggest the new direction of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in order to enhance the hit rate of merchandise plan. The results are as follows : (1) It is shown the enterprises should divide the information data between fashion information and market information, and understand the mutual relationship of them, and regard the statistical data related on the change of sensitivity and desire in market specialized in attributes of street fashion as the emotional expression\`s view, and manage them by the feedback style. (2) It is shown that enterprises should fully understand the fashion factors in the line of fashion stream with the independence of theme in order to plan the merchandise effectively for market which are specialized in the duality that it has both conservation and innovation at the same time, and detect their change. (3) It is shown that in order to predict exactly, enterprises should reflect the statistical data and the emotional factors in planning the merchandise, bring up the systematic organization, expert system. (4) It is also shown that enterprises should make an effort to pursuit the discriminated brand through the feedback management in which the consumer\`s lasting desires are reflected.

  • PDF

분산 가상현실을 위한 계층적 QoS 지원 기법 (Hierarchical QoS Architecture for Virtual Dancing Environment)

  • 김진용;원유집;김범은;박종일;박용진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시스템및이론
    • /
    • 제30권11호
    • /
    • pp.675-690
    • /
    • 2003
  • 시스템과 네트워크 클라이언트의 제한된 리소스를 이용하여 다수의 사용자가 참여 가능하고 사용자의 QoS를 만족시키는 분산 가상 시스템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이러한 분산 가상 시스템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사용자의 증가에 따른 네트워크 트래픽 증가 문제, 네트워크 지연으로 발생하는 클라이언트간의 동기화 문제, 가상 환경 렌더링에 따른 시스템 부하 등의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3인칭 시점의 가상 댄싱 공간을 구성하여 아바타간의 상호 작용을 지원하고 사용자가 느끼는 화질에 따라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되는 데이타의 양을 달리하는 계층적 QoS 모델을 제안한다. 계층적 QoS 모델은 화면을 보는 사용자의 시점에 기반하여 가상 댄싱 공간에서 보여지는 아바타의 화질을 조절하는 Visual QoS와 아바타의 영향 범위 및 아바타간의 거리에 의해 사용자에게 들리는 소리의 크기를 조절하는 Audio QoS로 구성된다. 이 기법의 효율성을 검증하고자 Sun사의 JMF와 Java3D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실영상과 3D CG 아바타가 참여하는 가상 댄싱 공간을 구현한다. 본 논문에서 제안한 계층적 QoS 모델이 다수의 아바타가 참여하고 아바타의 밀집도가 높은 가상 댄싱 공간을 효과적으로 지원할 수 있다는 것을 TIE 시스템의 성능 실험과 시뮬레이션을 통해 확인한다.

헵탄 풀화재 화염안정성에 관한 산화제 유속 및 농도 효과 (The Effects of Velocity and Concentration in the Oxidizer of Heptane Pool Fires on the Flame Stability)

  • 정태희;이의주
    • 대한기계학회논문집B
    • /
    • 제36권3호
    • /
    • pp.309-314
    • /
    • 2012
  • 풀화재에서 화염진동은 주위공기와의 밀도차에 의한 부력효과에 기인하여 주로 발생한다. 본 연구에서는 부력이 지배적인 풀화재의 불안전성에 대하여 산화제유속의 효과를 검토하기 위해 컵버너 실험을 수행하였다. 실험결과는 진동주파수가 산화제의 유속이 증가함에 따라 감소함을 보인다. 무차원 변수로 표현되는 주파수와 부력의 관계로 도시하였을 때 다양한 속도스케일을 사용할 수 있었지만, 연료와 산화제의 유속차로 정의되는 특성속도인 경우에 정지되어 있는 공기중에서의 풀화재 진동과 일치하는 관계식을 얻을 수 있었다. 이러한 사실은 부력이 지배적인 화염에서 불안전성의 원인은 전단면에서의 Kelvin-Helmholtz 불안전성이 주된 기구라는 것을 증명해준다. 산화제의 농도를 변화시켰을 경우에는 산화제의 불활성기체의 농도가 증가할수록 청염의 길이가 길어지고 컵버너 끝단으로부터 부상되는 것이 관찰된다. 또한 진동주파수는 희석율과는 특정한 관계를 보이지 않는데 이는 국부적 화염구조와 연관성을 가지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내부 원형 실린더의 위치 변화에 따른 기울어진 사각 밀폐계 내부의 자연대류 현상 (Natural Convection in Tilted Square Enclosure with Inner Circular Cylinder at Different Vertical Locations)

  • 정승재;윤현식;최창영;하만영
    • 대한기계학회논문집B
    • /
    • 제37권12호
    • /
    • pp.1113-1120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45^{\circ}$기울어진 저온의 사각형 밀폐계 내부에 존재하는 고온의 원형 실린더의 위치 변화에 따른 밀폐계 내부 자연대류 현상에 대한 수치해석을 수행하였다. Rayleigh 수는 $10^3$부터 $10^5$까지 변화하였으며 내부 실린더의 위치는 $-0.4{\leq}{\delta}{\leq}0.4$ 범위에서 0.1 간격으로 변화시켰다. 원형 실린더의 위치 변화에 따른 밀폐계 내부의 자연대류 현상은 실린더 표면과 밀폐계 표면의 Nu 수, 밀폐계 내부의 등온선 및 유선을 바탕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고려한 Rayleigh 수의 범위와 원형 실린더의 위치 범위에서는 밀폐계 내부의 열유동은 정상상태의 특성을 보였다. 그리고 내부 원형 실린더가 벽면에 가까워 질수록 실린더벽면과 밀폐계 벽면의 평균 Nu 수가 증가하였다.

수위-유량관계식에 새로운 양방향 회귀모형의 적용 (An Application of a New Two-Way Regression Model for Rating Curves)

  • 이창해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41권1호
    • /
    • pp.17-25
    • /
    • 2008
  • 수위-유량관계식의 유도와 실무적용에 있어 통상적으로 회귀분석의 특성을 간과하고 사용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한다. 예를 들어 실무에서는 관측수위로부터 관측유량으로 회귀분석되어 만들어진 수위-유량관계식을 홍수모형으로부터 모의된 설계홍수유출량으로부터 설계홍수위를 환산하는데 사용되기도 한다. 그러나 독립과 종속변수가 서로 바뀌면, 관측치와 회귀식간 연직거리의 잔차들로부터 유도된 기존의 회귀분석에 의하여, 회귀식이 서로 달라지기 때문에 역으로 적용하여서는 안 된다. 본 연구에서는 이런 문제점을 해결하기위해 회귀식의 변수들을 상호 교환할 수 있는 최소자승 회귀분석의 새로운 알고리즘을 제안하였다. 새로운 방법을 낙동강유역의 본류 5개 수위표지점의 수위-유량관계식에 대하여 적용하였다. 3가지 회귀식이 유도되었는데, 이들은 각각 수위로부터 유량으로(model 1), 유량으로부터 수위로(model 2) 그리고 양방향(model 3)으로 유도된 수위-유량관계식을 비교하여 실무에서 잘못 적용되는 실수를 줄일 수 있는 새로운 방법을 제시하였다.

Mobile SCTP에서 위치관리 시스템과 직접 연동을 통한 이동 단말로의 연결 설정 방법 (Connection Setup Method for Mobile SCTP to a Mobile Node Using Direct Interoperation with Location Management System)

  • 김광렬;김승국;민성기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정보통신
    • /
    • 제35권3호
    • /
    • pp.183-191
    • /
    • 2008
  • 본 논문에서는 고정 단말에서 이동 단말로 SCTP 연결 설정을 제공하는 SCTP proxy를 제안한다. 최근에 전송 계층에서 종단 간 방식의 이동성 지원 프로토콜로 SCTP를 확장하여 사용 하는 방안이 제안되었다. 이러한 SCTP에서의 이동성 지원은, SCTP를 전송계층으로 사용하는 모든 응용계층에 대해 핸드오버 기능을 제공한다. 하지만, 현재 SCTP는 독립적인 위치 관리 기능이 없어 고정 단말에서 이동 단말 쪽으로 SCTP 연결 설정은 다른 이동성 지원 프로토콜에 의존하여 이루어진다. 이것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SCTP proxy는 일반적인 위치관리 시스템과 연동하여 이동 단말의 주소를 변환하고, 연결설정 메시지를 이동 단말로 전달한다. 이러한 SCTP proxy를 통해 SCTP는 이미 설정된 연결에 대한 핸드오버뿐 아니라, 다른 이동성 지원 프로토콜의 도움 없이 이동 단말로 새로운 연결 설정도 가능하여 완전한 이동성 지원이 가능하게 된다.

미디어 표현공간에서 나타나는 빛의 비실체성 연구 (A Study on Non-substantiation of Light Displayed in Media Expression Space)

  • 김민영;윤서설;이찬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23권3호
    • /
    • pp.125-133
    • /
    • 2014
  • While shifting from modern society to post-industrial society, social structure is changing from the period which pursues material affluence to that which pursues psychological abundance. Formation of various values along with pursuit of psychological abundance has made the illusion of standardization, massification, and popularization meaningless. Different from functionality oriented approach in the past, today's design requires diversified, multiple and integrated thinking and way in fast-changing social phenomena and stream, and lets human loose from the restriction of time and space thanks to technological development. It appears as new and various attempts along with paradigm shift of the wholle society, however the existing physical and actual things gradually transit to non-physical and non-actual things. Tendency of dematerialization has spread as far as esthetic and environmental genre on the basis of social and philosophical base along with change of consumption culture, and has displayed complex and de-genre aspect. Paradigm shift has expanded the range of communication by changing to user's independent awareness and sensitive concept, among them, light displays various changes of space by taking the role of new medium. Particularly, the light as the media expression beyond the phenomenon of light of traditional concept acts as an essential element to stimulate sensitivity and for experience as an immaterial element which shows this change of space most dramatically. This research aimed at recognizing space in complex dimension, exploring the relation between the light and space through media expression displayed in the realization of immateriality, expanding the meaning of light, and recognizing it as the possibility of creative and future-oriented light space creation which responds to technological development and social change.

무선 인터넷 환경에서 HTTP over SCTP의 평군 응답 시간 추정 (Mean Response Delay Estimation for HTTP over SCTP in Wireless Internet)

  • 이용진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8권6호
    • /
    • pp.43-53
    • /
    • 2008
  • 현재 인터넷에서는 객체를 전송하기 위해 HTTP over TCP가 사용된다. SCTP는 TCP의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해 제안된 프로토콜로 개별적인 스트림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므로 웹 객체의 평균 응답 시간을 감소시킬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HTTP over SCTP의 평균 응답 시간을 추정하는 해석적 모델을 개발함으로써 TCP에 대한 SCTP의 효과를 추정하고자 한다. TCP 지연을 구하기 위한 기존의 해석적 모델이 주로 유선 환경을 가정한데 비해,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모델은 다중 패킷 손실이 발생하고, 빠른 재전송이 가능하지 않은 무선 환경을 가정한다. 추정된 평균 응답 시간은 실제 웹 응용을 개발할 때, 종단 사용자의 서비스 품질을 만족시키기 위한 사전 벤치마크로 사용될 수 있다. 추정 모델의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해 테스트베드 상에서 성능 실험을 수행한 결과, 모델과 실험결과의 차이가 평균 6% 이내로 매우 작으며, 동시에 HTTP over SCTP의 평균 전송 시간이 HTTP over TCP의 평균 전송 시간보다 작은 것으로 확인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