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ncreasing set

검색결과 1,885건 처리시간 0.026초

Quantification of Bacterial Attachment-related Parameters in Porous Media

  • Park, Seong-Jik;Lee, Chang-Gu;Kim, Song-Bae
    •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13권3호
    • /
    • pp.141-146
    • /
    • 2008
  • Transport of Escherichia coli ATCC 11105 through porous media was investigated in this study using two sets of column experiments to quantify the attachment-related parameters (sticking efficiency, attachment rate coefficient and filter factor). The first set of experiments was performed in quartz sand under different ionic strength conditions (1, 20, 100, 200 mM) while the second experiments were carried out in quartz sand mixed with metal oxyhydroxide-coated sand (0, 5, 10, 25%). The breakthrough curves of bacteria were obtained by monitoring effluent, and then bacterial mass recovery and attachment-related parameters were quantified from these curves. The first experiments showed that the mass recoveries were in the range of 13.3 to 64.7%, decreasing with increasing ionic strength. In the second experiments, the mass recoveries were in the range of 15.0 to 43.4%, decreasing with increasing coated sand content. The analysis indicated that the sticking efficiency, attachment rate coefficient and filter factor increased with increasing ionic strength and coated sand content. The value of filter factor in the first experiments ranged from 1.45 e-2 to 6.72 e-2 1/cm while in the second experiments it ranged from 2.78 e-2 to 6.32 e-2 1/cm. Our filter factor values are one order of magnitude lower than those from other studies. This discrepancy can be attributed to the size of sand used in the experiment. The analysis demonstrated that the travel distance of bacteria estimated using the filter factor can be varied greatly depending on the solution chemistry and charge heterogeneity of porous media.

근관충전용 시멘트의 방사선 불투과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RADIOPACITY OF ROOT CANAL SEALERS)

  • 배광식;엄정문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18권1호
    • /
    • pp.133-143
    • /
    • 1993
  •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stablish reproducible method for measurements of radiopacity and to investigate the level of radiopacity of root canal sealers. The experiments were performed in two parts. In the first part, densitometric readings were performed using an aluminum step wedge as a reference at variable voltages and exposure times. Then standard curves for the aluminum step wedge were compared to comprehend the effect of voltage and exposure time. In the second part, on the basis of these results, appropriate conditions for exposure were adopted for standardized measurements of radiopacity. Under standardized set of conditions, densitometric measurements of ten root canal sealers and one gutta-percha point were performed and the levels of radiopacity referable to an equivalent thickness of aluminum were compared.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 1. At 50 and 60 kVp, increasing the exposure time caused a decrease in the slope of the standard curve for the aluminum step wedge. However, at 70 kVp increasing the exposure time causing a parallel shift of the standard curve to the right. 2. At constant exposure time, increasing the voltage caused a decrease in the slope of the standard curve. 3. The radiopacity of root canal sealers and a gutta-percha point varied between 2.43 mm Al and 9.20 mm Al equivalent. 4. All the root canal sealers had radiopacities more than dentin, and the radiopacity of the gutta-percha point was approximately 5 times as much as that of dentin in terms of equivalent thickness of aluminum. 5. The AH26 had radiopacity more than the gutta-percha point, and the radiopacities of ZOE, Vitapex, Canals, Kerr PCS, Nogenol were similar to that of the gutta-percha point, and Tubliseal, Apatite II, Apatite III, Silapex were less radiopaque than the gutta-percha point.

  • PDF

POWER UPRATES IN NUCLEAR POWER PLANTS: INTERNATIONAL EXPERIENCES AND APPROACHES FOR IMPLEMENTATION

  • Kang, Ki-Sig
    • Nuclear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제40권4호
    • /
    • pp.255-268
    • /
    • 2008
  • The greater demand for electricity and the available capacity within safety margins in some operating NPPs are prompting nuclear utilities to request license modification to enable operation at a higher power level, beyond their original license provisions. Such plant modifications require an in-depth safety analysis to evaluate the possible safety impact. The analysis must consider the thermo hydraulic, radiological and structural aspects, and the plant behavior, while taking into account the capability of the structures, systems and components, and the reactor protection and safeguard systems set points.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ntroduce international experiences and approaches for implementation of power uprates related to the reactor thermal power of nuclear power plants. The paper is intended to give the reader a general overview of the major processes, work products, issues, challenges, events, and experiences in the power uprates program. The process of increasing the licensed power level of a nuclear power plants is called a power uprate. One way of increasing the thermal output from a reactor is to increase the amount of fissile material in use. It is also possible to increase the core power by increasing the performance of the high power bundles. Safety margins can be maintained by either using fuels with a higher performance, or through the use of improved methods of analysis to demonstrate that the required margins are retained even at the higher power levels. The paper will review all types of power uprates, from small to large, and across various reactor types, including light and heavy water, pressurized, and boiling water reactors. Generally, however, the content of the report focuses on power uprates of the stretch and extended type. The International Atomic Energy Agency (IAEA) is developing a technical guideline on power uprates and side effects of power uprates in nuclear power plants.

생산량이 감소하는 공정평균이동 문제에서 Cpm+ 기준의 손실함수를 적용한 보전모형 (A Maintenance Model Applying Loss Function Based on the Cpm+ in the Process Mean Shift Problem in Which the Production Volume Decreases)

  • 이도경
    • 산업경영시스템학회지
    • /
    • 제44권1호
    • /
    • pp.45-50
    • /
    • 2021
  • Machines and facilities are physically or chemically degenerated by continuous usage. The representative type of the degeneration is the wearing of tools, which results in the process mean shift. According to the increasing wear level, non-conforming products cost and quality loss cost are increasing simultaneously. Therefore, a preventive maintenance is necessary at some point. The problem of determining the maintenance period (or wear limit) which minimizes the total cost is called the 'process mean shift problem'. The total cost includes three items: maintenance cost (or adjustment cost), non-conforming cost due to the non-conforming products, and quality loss cost due to the difference between the process target value and the product characteristic value among the conforming products. In this study, we set the production volume as a decreasing function rather than a constant. Also we treat the process variance as a function to the increasing wear rather than a constant. To the quality loss function, we adopted the Cpm+, which is the left and right asymmetric process capability index based on the process target value. These can more reflect the production site. In this study, we presented a more extensive maintenance model compared to previous studies, by integrating the items mentioned above. The objective equation of this model is the total cost per unit wear. The determining variables are the wear limit and the initial process setting position that minimize the objective equation.

부분집합 합 문제의 일반화된 감산 알고리즘 (A Generalized Subtractive Algorithm for Subset Sum Problem)

  • 이상운
    •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논문지
    • /
    • 제22권2호
    • /
    • pp.9-14
    • /
    • 2022
  • 본 논문은 부분집합 합 문제의 해를 수행 복잡도 O(nlogn)으로 얻는 알고리즘을 제안하였다. SSP는 집합 S의 원소가 초증가수열과 랜덤수열로 구성된 경우로 구분된다. 초증가수열 SSP의 해를 구하는 알고리즘은 수행 복잡도 O(nlogn)의 가산 알고리즘 (Additive Algorithm)이 제안되었다. 그러나 랜덤수열 SSP의 해를 구하는 알고리즘은 2n-1의 가능한 모든 경우수를 확인하는 Brute-Force 방법으로 수행 복잡도는 O(n2n)만이 알려져 있다. 결국, SSP는 NP-완전 (NP-Complete) 문제로 알려져 있다. 본 논문은 초증가수열과 랜덤수열 SSP에 대해 수행 복잡도 O(nlogn)으로 해를 구하는 감산 알고리즘 을 제안하였다. 기존 개념은 목표 값 t보다 작은 값으로 구성된 부분집합 S에 대해 부분집합의 합에서 목표값을 뺀 값을 잉여량 (Residual, r)으로 하여 잉여량 보다 작은 값들 중 최대 값을 S에서 제거하는 방법을 적용하였다. 제안된 알고리즘을 다양한 초증가수열과 랜덤수열 SSP에 적용한 결과 S의 원소 개수보다 적은 수행 횟수로 해를 빠르게 얻는데 성공하였다. 결국, 제안된 알고리즘은 SSP의 해를 얻는 일반적인 알고리즘으로 적용할 수 있을 것이다.

SVM 이용한 다중 생체신호기반 온열질환 감지 스마트 안전모 개발 (Smart Helmet for Vital Sign-Based Heatstroke Detection Using Support Vector Machine)

  • 장재민;이강호;주수빈;권오원;이학;이동규
    • 센서학회지
    • /
    • 제31권6호
    • /
    • pp.433-440
    • /
    • 2022
  • Recently, owing to global warming, average summer temperatures are increasing and the number of hot days is increasing is increasing, which leads to an increase in heat stroke. In particular, outdoor workers directly exposed to the heat are at higher risk of heat stroke; therefore, preventing heat-related illnesses and managing safety have become important. Although various wearable devices have been developed to prevent heat stroke for outdoor workers, applying various sensors to the safety helmets that workers must wear is an excellent alternative. In this study, we developed a smart helmet that measures various vital signs of the wearer such as body temperature, heart rate, and sweat rate; external environmental signals such as temperature and humidity; and movement signals of the wearer such as roll and pitch angles. The smart helmet can acquire the various data by connecting with a smartphone application. Environmental data can check the status of heat wave advisory, and the individual vital signs can monitor the health of workers. In addition, we developed an algorithm that classifies the risk of heat-related illness as normal and abnormal by inputting a set of vital signs of the wearer using a support vector machine technique, which is a machine learning technique that allows for rapid binary classification with high reliability. Furthermore, the classified results suggest that the safety manager can supervise the prevention of heat stroke by receiving feedback from the control system.

관측 TCS data 및 AADT 교통량을 이용한 기종점 교통량 보정에 관한 연구 (Origin and destination matrix estimation using Toll Collecting System and AADT data)

  • 이승재;장현호;김종형;변상철;이헌주;최도혁
    • 대한교통학회지
    • /
    • 제19권5호
    • /
    • pp.49-59
    • /
    • 2001
  • 구간 교통량을 이용한 기종점(O/D:Origin-Destination)통행의 보정에 관한 여러 기법들은 기존의 기종점 통행량과 현재의 관측 구간 교통량을 이용하여 기존의 O/D를 보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참 O/D통행량을 알 수 없다는 기존의 문제점을 다소라도 극복하면서 현실에 적합한 배정 구간교통량을 얻을 수 있는 방안으로 유용하다고 할 수 있으나, 적정 관측조사지점 위치 및 관측교통량 집합의 선정에 대한 문제가 있다. 또한, 보정된 O/D내에 내재해 있는 통행패턴이 유지되면서 보정이 수행되어야 한다. 이상의 O/D보정 과정은 모의네트워크상에서 참 O/D값을 알고 O/D보정을 수행할 수 있으나, 실제 대규모 네트워크에서 참 O/D를 알기란 사실상 불가능하며, 대규모 네트워크에서의 적용 사례는 보고되지 않고 있다. 기존 O/D의 보정에 있어서 보정된 O/D는 입력자료의 신뢰성과 관측지점 위치 및 지점수에 크게 의존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관측된 구간 교통량 자료와 O/D 보정 모형중의 하나인 Gradient기법을 이용하여 기존의 전국 O/D를 보정하고, 관측 구간교통량 집합별로 보정된 O/D가 기존의 통행패턴을 유지하면서 실측 및 배정된 구간교통량 분석을 통한 O/D보정과정에 있어서의 방법론을 제시하고자 한다. 분석을 위하여 관측 구간교통량 별로 적용된 관측위치 및 지점수의 현실적 타당성과 O/D 평가의 신뢰성 지표로서 관측지점과 개수에 변동에 따른 $\circled1$보정 전-후의 관측 구간교통량과 배정 구간교통량. $\circled2$기종점 통행수요 메트릭스에 내재되어 있는 통행행태로서 전체 통행수요의 평균통행시간분포를 나타내는 통행시간분포(TLFD:Trip Length Frequency Distribution)변화를 통계적으로 비교-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는 전체 네트워크의 총 링크교통량중 약 10%의 관측교통량을 이용하면 기본 O/D의 TLFD를 왜곡시키지 않으면서 관측교통량과 배정교통량의 차이를 최소화시키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 PDF

정치망어업의 어획량변동에 관한 연구 (Fluctuation of the Catch by the Set Net Fishery)

  • 장호영
    • 수산해양기술연구
    • /
    • 제23권4호
    • /
    • pp.177-183
    • /
    • 1987
  • 정치망어업에 의한 최근 15년 간(1971~1985년)의 어획통계자료를 이용하여 어획량의 경년변동과 계절변동, 해역별 및 어종별 어획량 변동 등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정치망어업의 어획량은 1971년에 16,787M/T, 1985년에 84,103M/T으로서 대체로 증가추세에 있으며, 1978년부터 급격히 어획량이 증가하기 시작하여 1979년에 99,475M/T으로서 최대치를 나타내었는데, 이것은 쥐치가 대량 어획되어 어획량의 64%를 차지하였고, 1976년 수산어법의 개정에 따른 통계수치의 증가에 원인이 있으며, 연안 수온의 변화와도 밀접한 관계가 있었다. 2. 월평균어획량이 10~11월에 8,000~12,000M/T으로서 년평균 어획량의 32%를 차지하므로 정치망어업의 주어기는 10~11월로 볼 수 있다. 3. 1976년 이전에는 남해구에서, 1977~1980년에 동해구에서 정치망어업을 주도해 왔으나, 1981년 이후에는 그 경향이 불규칙하였다. 4. 어획량변동의 유사성 측면에서 볼 때, 어종별 어획량변동은 뱅어, 도루묵, 갈치, 멸치, 등과 같이 어획량이 감소하는 군, 노가리, 밴댕이, 망둥어, 전어, 양미리, 쥐치 등과 같이 증가하는 군 및 그 외 증감경향이 불분명한 군의 3개 군으로 대별할 수 있다

  • PDF

통계분석 기법과 머신러닝 기법의 비교분석을 통한 건물의 지진취약도 공간분석 (A Spatial Analysis of Seismic Vulnerability of Buildings Using Statistical and Machine Learning Techniques Comparative Analysis)

  • 김성훈;김상빈;김대현
    • 산업융합연구
    • /
    • 제21권1호
    • /
    • pp.159-165
    • /
    • 2023
  • 최근 지진 발생 빈도가 증가하고 있는 반면 국내 지진 대응 체계는 취약한 현실에서, 본 연구의 목적은 통계분석 기법과 머신러닝 기법을 활용한 공간분석을 통해 건물의 지진취약도를 비교분석 하는 것이다. 통계분석 기법을 활용한 결과, 최적화척도법을 활용해 개발된 모델의 예측정확도는 약 87%로 도출되었다. 머신러닝 기법을 활용한 결과, 분석된 4가지 방법 중, Random Forest의 정확도가 Train Set의 경우 94%, Test Set의 경우 76.7%로 가장 높아, 최종적으로 Random Forest가 선정되었다. 따라서, 예측정확도는 통계분석 기법이 약 87%, 머신러닝 기법이 76.7%로, 통계분석 기법의 예측정확도가 더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최종 결과로, 건물의 지진취약도는 분석된 건물데이터 총 22,296개 중, 1,627(0.1%)개의 건물데이터는 통계분석 기법 사용 시 더 위험하다고 도출되었고, 10,146(49%)개의 건물데이터는 동일하게 도출되었으며, 나머지 10,523(50%)개의 건물데이터는 머신러닝 기법 사용 시 더 위험하게 도출되었다. 기존 통계분석 기법에 첨단 머신러닝 기법활용결과가 추가로 비교검토 됨으로써 공간분석 의사결정에 있어서, 좀더 신뢰도가 높은 지진대응책 마련에 도움이 되길 기대한다.

장래인구추계를 위한 출산력 가정치의 설정 (Development of Fertility Assumptions for the Future Population Projection)

  • 전광희
    • 한국인구학
    • /
    • 제29권2호
    • /
    • pp.53-88
    • /
    • 2006
  • 본 연구의 목적은 장래인구추계를 위하여 논리적이고 상대적으로 정확한 연령별 출산율의 가정치를 설정하는 것이다. 먼저 코호트별 출산순위별 연령별 출산율의 추정과 추계를 위하여 Coale-McNeil 모형을 일반화한 로그감마분포모형을 선택한다. 다음은 보정형의 연령별 출산율 모형을 재생산을 완료하지 않은 상대적으로 젊은 출생코호트를 포함하는 실적치 자료에 맞추기 위하여, 출산력 파라메터를 추정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본 연구는 일련의 출생코호트의 출생순위별 연령별 출산율을 역출하여, 장래의 특정연도 대하여 연령별 출산율을 추계한다. 가령, 2010년의 20세의 연령별 출산율은 1990년에 태어난 출생코호트의 20세에서의 연령별 출산율이고, 2010년의 21세의 연령별 출산율은 1989년에 태어난 출생코호트의 21세에서의 연령별 출산율에 해당한다. 결국 2010년에 태어난 코호트까지의 연령별 출산율의 추계치를 얻게 되면, 2055년도 까지의 기간별(연도별_령별 출산율에 대한 가정치를 설정할 수 있다. 본 연구의 출산력 가정치와 통계청의 2005년 장래인구 특별추계의 가정치 사이에 차이가 나는 것은 털 연구의 출산예측모형에서 혼인연령의 상승과 독신여성의 증가로 인한 출산력 저하의 최근 추세를 제대로 반영하였기 때문이라고 할 수 있으며, 이러한 점에서 본 연구의 출산력 가정치가 논리적이고 합리적이라고 주장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장래인구추계와 관련하여, 출산력 가정치 설정을 위한 출산예측모형의 본질적 과제는 어떻게 기간효과(를 슬기롭게 다루느냐 하는 것이다. 코호트모형을 근간으로 하여, 최근의 실적치를 바탕으로 약간의 기간적 수정을 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기간효과를 별도로 취급하기는 쉽지 않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