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rigin and destination matrix estimation using Toll Collecting System and AADT data

관측 TCS data 및 AADT 교통량을 이용한 기종점 교통량 보정에 관한 연구

  • 이승재 (서울시립대학교 교통공학과) ;
  • 장현호 (서울시립대학교 교통공학과) ;
  • 김종형 (교통개발연구원 책임연구원) ;
  • 변상철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연구원) ;
  • 이헌주 (서울시립대학교 교통공학과) ;
  • 최도혁 (한국건설기술연구원)
  • Published : 2001.10.01

Abstract

In the transportation planning process, origin and destination(O-D) trip matrix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elements. There have been developments and applications of the methodology to adjust old matrices using link traffic counts. Commonly, the accuracy of an adjusted O-D matrix depends very much on the reliability of the input data such as the numbers and locations of traffic counting points in the road network. In the real application of the methodology, decisions on the numbers and locations of traffic counting points are one of the difficult problems, because usually as networks become bigger, the numbers of traffic counting points are required more. Therefore, this paper investigates these issues as an experiment using a nationwide network in Korea. We have compared and contrasted the set of link flows assigned by the old and the adjusted O-D matrices with the set of observed link flows. It has been analyzed by increasing the number of the traffic counting points on the experimental road network. As a result of these analyses, we can see an optimal set of the number of counting links through statistical analysis, which are approximately ten percentages of the total link numbers. In addition, the results show that the discrepancies between the old and the adjusted matrices in terms of the trip length frequency distributions and the assigned and the counted link flows are minimized using the optimal set of the counted links.

구간 교통량을 이용한 기종점(O/D:Origin-Destination)통행의 보정에 관한 여러 기법들은 기존의 기종점 통행량과 현재의 관측 구간 교통량을 이용하여 기존의 O/D를 보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참 O/D통행량을 알 수 없다는 기존의 문제점을 다소라도 극복하면서 현실에 적합한 배정 구간교통량을 얻을 수 있는 방안으로 유용하다고 할 수 있으나, 적정 관측조사지점 위치 및 관측교통량 집합의 선정에 대한 문제가 있다. 또한, 보정된 O/D내에 내재해 있는 통행패턴이 유지되면서 보정이 수행되어야 한다. 이상의 O/D보정 과정은 모의네트워크상에서 참 O/D값을 알고 O/D보정을 수행할 수 있으나, 실제 대규모 네트워크에서 참 O/D를 알기란 사실상 불가능하며, 대규모 네트워크에서의 적용 사례는 보고되지 않고 있다. 기존 O/D의 보정에 있어서 보정된 O/D는 입력자료의 신뢰성과 관측지점 위치 및 지점수에 크게 의존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관측된 구간 교통량 자료와 O/D 보정 모형중의 하나인 Gradient기법을 이용하여 기존의 전국 O/D를 보정하고, 관측 구간교통량 집합별로 보정된 O/D가 기존의 통행패턴을 유지하면서 실측 및 배정된 구간교통량 분석을 통한 O/D보정과정에 있어서의 방법론을 제시하고자 한다. 분석을 위하여 관측 구간교통량 별로 적용된 관측위치 및 지점수의 현실적 타당성과 O/D 평가의 신뢰성 지표로서 관측지점과 개수에 변동에 따른 $\circled1$보정 전-후의 관측 구간교통량과 배정 구간교통량. $\circled2$기종점 통행수요 메트릭스에 내재되어 있는 통행행태로서 전체 통행수요의 평균통행시간분포를 나타내는 통행시간분포(TLFD:Trip Length Frequency Distribution)변화를 통계적으로 비교-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는 전체 네트워크의 총 링크교통량중 약 10%의 관측교통량을 이용하면 기본 O/D의 TLFD를 왜곡시키지 않으면서 관측교통량과 배정교통량의 차이를 최소화시키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Keywords

References

  1. 대한교통학회지 v.18 no.2 Gradient방법과 일반화 최소자승법을 이용한 관측교통량 기반 O/D 추정방법에 관한 예측력 비교평가 연구 이승재;김종형
  2. 대한교통학회지 v.18 no.2 통행시간분포를 이용한 교통량 기반 추정O/D 의 신뢰성 평가에 관한 연구 이승재;손의영;김종형
  3. Gradient 방법에 의한 통행량기반 수요추정연구 김종형
  4. 고속도록 Network Analysis 모형적용을 위한 자료구축 및 실용화 연구 한국도로공사
  5. Transpn.Res. v.25B Optimal traffic counting locations for O/D estimation Yang,H
  6. Transpn.Res. v.22B A unified framework for traffic counts Cascetta E;Nguyen,S
  7. Traffic Engineering and Control v.31 Accuracy of O-D estimates from traffic counts Lam,W.H.K;Lo.H.P
  8. 도로용량편람 대한교통학회
  9. Transpn.Res. v.26B Estimation of origin destination matrices from link traffic counts on congested networks H.Yang,Y.lida;T.Sasaki;Y.Asakura
  10. Transpn.Res. v.28B The Equilibrium based orgin destination matrix estimation problem H.Yang;Y.Iida;Tsuna Sasaki
  11. A gradient approach for the O-D matrix adjustment problem Spiess,H
  12. Transpn.Res. v.18B Estimation of trip matrices from traffic counts and survey data: generalized least squares estimator Cascetta E
  13. Transpn.Res. v.17B A note on trip matrix estimation from link traffic counts data Fisk C.S;Boyce D.E
  14. Transpn.Res. v.23B Trip matrix estimation from link traffic counts: The congested network case Fisk,C.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