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ncomplete dominance

검색결과 22건 처리시간 0.03초

Populus alba × P. glandulosa 및 교배양친수(交配兩親樹)의 기공빈도(氣孔頻度), 기공(氣孔)크기 및 수분증산(水分蒸散)의 변이(變異)와 유전(遺傳) (Variation and Heredity of Stomatal Frequency, Stomatal Size and Transpiration in Populus alba × P. glandulosa and Its Parents)

  • 손두식;김광수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75권1호
    • /
    • pp.51-54
    • /
    • 1986
  • P. alba ${\times}$ P. glandulosa는 산록부(山麓部)에서는 잘자라나 토양수분(土壤水分)이 부족한 산복(山腹) 이상(以上)에서는 잘자라지 않는 것은 수분요구도(水分要求度)가 높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수분요구도(水分要求度)와 기공빈도(氣孔頻度), 기공(氣孔)크기 및 수분증산량(水分蒸散量)과 일치(一致)하는지를 조사(調査)하고 이러한 형질(形質)이 차대(次代)에 어느 정도 유전(遺傳)하는지를 알고저 본 시험을 실시하였다. 엽리면(葉裏面)의 기공빈도(氣孔頻度)(number/$mm^2$), 기공(氣孔)길이 및 폭과 수분증산량(水分蒸散量)($g/dm^2$)은 P. alba 는 높고 P. davidiana가 가장 낮았으며 P. alba ${\times}$ P. glandulosa 는 교배양친수(交配兩親樹)의 중간수치(中間數値)를 나타내었다. P. alba ${\times}$ P. glandulosa의 기공빈도(氣孔頻度)는 교배양친평균(交配兩親平均)인 이론치(理論値)와 일치(一致)하므로 교배양친(交配兩親)의 중간(中間)을 나타내고, 수분증산량(水分蒸散量)에서도 교배양친평균(交配兩親平均)과 P. alba ${\times}$ P. glandulosa 간에 회귀계수(回歸係數) $b_{yx}=0.97$로서 높은 회귀계수(回歸係數)를 나타내어 P. alba ${\times}$ P. glandulosa 의 수분증산량(水分蒸散量)은 교배양친수(交配兩親樹)의 중간(中間)을 나타내며 기공(氣孔)크기에서도 교배양친(交配兩親)의 중간(中間)을 나타내고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특성(特性)은 불완전우성(不完全優性)으로 간주된다. P. alba ${\times}$ P. glandulosa와 교배양친수(交配兩親樹)에서 기공빈도(氣孔頻度), 기공(氣孔)크기 및 수분증산량(水分蒸散量)은 토양수분(土壤水分)의 요구도(要求度)와 일치(一致)함을 알 수 있었다.

  • PDF

Bifenazate 저항성 점박이응애의 유전과 교차저항성 (Inheritance and Cross Resistance of Bifenazate Resistance in Twospotted Spider Mite, Tetranychus urticae)

  • 유정수;서동규;김은희;한종빈;안기수;김길하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44권2호
    • /
    • pp.151-156
    • /
    • 2005
  • 2000년 12월 경북 칠곡의 장미재배지에서 채집한 점박이응애를 실험실에서 4년 동안 bifenizate로 150회 이상 도태하여 248.8배의 저항성계통을 얻었다. 이 저항성 계통의 유전과 9종 살비제에 대한 성충과 알의 교차저항성 유무를 조사하였다. 감수성계통 수컷과 저항성계통 암컷을 상호교배$(S{\times}R)$하여 얻은 $F_1$ 우성도는 성충과 알에 대해서 각각 0.48, 0.94로 불완전우성이었으며, $R{\times}S$ 으로 상호 교배하여 얻은 $F_1$ 우성도는 성충과 알에 대해서 각각 -0.85, -0.17로 불완전열성이었다. 이 저항성 점박이응애의 성충은 acequinocyl, fenpyroximate에 대해 각각 9.9, 5.0배의 교차저항성을 나타내었으며, emamectin benzoate, milbemectin에 대해서는 각각 0.14, 0.04배의 역상관교차저항성을 나타내었다. 알은 amitraz, emamectin benzoate, fenpyroximate, milbemectin, pyridaben, spirodiclofen에 대해 각각 22.0, 11.7, 32.3, 16.3, 394.8, 19.5배의 교차저항성을 나타내었으며, abamectin에 대해서는 0.01배의 역상관교차저항성을 나타내었다.

누에의 숙잠체중과 산란성에 대한 유전분석 (Genetic Analysis for Weight of Matured Silkworm and Number of Eggs Laid in Hybrid Population of the Silkwom, Bombyx mori)

  • 정원복
    • 한국잠사곤충학회지
    • /
    • 제35권2호
    • /
    • pp.100-104
    • /
    • 1993
  • 누에 7개 품종을 이면교배하여 F1세대의 숙잠체종과 F2 세대의 산란수에 대한 유전분석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분산분석의 결과에서 유전적 효과인 상가적 효과, 우성 효과, 모체 효과 및 정역간의 효과는 숙잠체종과 산란수에서 모두 유의하였다. 숙잠체중과 산란수는 우성 효과가 상가적 효과보다 컸고, 광의의 유전력은 숙잠체중과 산란수에서 각각 0.986, 0.936으로 높았다. 협의의 유전력은 숙잠체중이 0.773으로 높았으나 산란수는 0.228로 낮았다. vr-Wr graph에서 숙잠체중은 불완전 우성이고, 산란수는 초우성의 유전현상을 보였다. 일반 조합능력의 효과에서 숙잠체중은 잠 107과 잠 124의 품종이, 산란수는 S1이 각각 그 효과가 정으로 컸다. 특정조합의 효과에서 숙잠체중은 S1XC51조합, S1X잠 124 조함, 잠 107X잠 108 조합이 각각 정으로 높은 효과를 보였다. 산란수는 잠107XN63 조합, S1XC51 조합, N74X잠 108 조합, 잠 107X잠 108 조합이 각각 정으로 높은 효과를 보였다.

  • PDF

점박이응애의 Etoxazole저항성 유전과 안전성 및 교차저항성 (Inheritance and Stability of Etoxazole Resistance in Twospotted Spider Mite, Tetranychus urticae, and Its Cross Resistance)

  • 이소영;안기수;김철수;신상철;김길하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43권1호
    • /
    • pp.43-48
    • /
    • 2004
  • 2000년 8월 충남 부여의 장미 재배지에서 채집한 점박이응애가 etoxazole에 대해 3,700배의 저항성을 나타내었다. 이 집단을 실내에서 3년 동안 etoxazole로 100회 이상 도태하여 5,000,000배 이상의 저항성계통을 얻었다. 이 계통은 약제처리 없는 조건 하에서 1년 이상 경과된 후에도 암컷 성충의 etoxazole에 대한 저항성 수준은 변화가 없었다. 이 저항성계통의 유전과 교차저항성 유무를 조사하였다. 감수성계통 수컷과 저항성계통 암컷을 상호 교배( $R_{♂}$${\times}$ $S_{♂}$)하여 얻은 $F_1$$F_2$의 우성도는 각각 0.98과 0.98로 완전우성이었으며, $S_{♀}$${\times}$ $R_{♂}$으로 상호 교배하여 얻은 $F_1$$F_2$의 우성도는 각각 -0.97과 -0,68로 불완전열성이었다. 따라서 etoxazole저항성을 지배하는 유전인자는 수컷보다 암컷성충에 의존하여 완전우성에 의해 지배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저항성 성충은 acequinocyl과 emamectin benzoate에 대해 각각 10.4배와 14.0배의 교차저항성을 나타내었고, 알은 milbemectin, amitraz, pyridaben에 대해 각각 52.0배, 14.6배, 9.4배의 교차저항성을 나타내었다. 한편 카바제이트계 살비제인 bifenazate에 대해서는 역상관 교차저항성을 나타내었으므로, etoxazole에 저항성을 보이는 농가에서는 bifenazate를 교호살포하면 점박이응애를 효율적으로 방제할 수 있을 것이다

Dicofol 저항성 점박이응애의 저항성 유전과 교차저항성 (Inheritance if Resistance in Dicofol-selected Strain of the Two-spotted Spider Mite, Tetranychus urticae Koch (Acarina: Tetranychidae), and its Cross Resostance)

  • 김길하;송철;박노중;조광연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33권4호
    • /
    • pp.230-236
    • /
    • 1994
  • 실내에서 사육한 점박이응애(Tetranychus urticae Koch)의 감수성계통(S)을 유기염소계 살비제안인 dico-fol을 공시하여 인위적으로 도태선발하여 저항성 발달과 저항성 유전을 조사하고, 교차저항성 유무를 검토하였다. Dicofol을 150회 처리하여 얻은 선발계통($R_d$$LC_{50}$값이 27.5배증가하였다. 감수성계통과 저항성계통의 상호교배에서 얻어진 $F_1$ (R♀, XS♂, R♂, XS♀)은 농도와 사망률 관계에서 감수성 차이가 있었다. 또 $F_1$ (R♀, XS♂, R♂, XS♀)의 우성도는 암컷성충에서 각각 -0.29, -0.72, 수컷성충에서 각각 -0.42, -0.93로 나타났다. 따라서 dicofol 저항성 유전자는 불완전열성에 의해 지배되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R_d$ 계통 은 아미트라즈계인 amitraz에 대해서 높은 교차저항성을 나타내었고, 또한 pyethroid 계 살비제인 acrinathrin, bifenthrin에 대해서도 교차저항성을 나타내었다. Abamectin, chlofenson, clofente-zine, cyhexatin, fenbutation oxide, fenpyroximate, hexythiazox, monocrotophos, propargite, tetradifon에 대해서는 비교차저항성을 나타내었다. 한편 유기주석계인 azocyclotin과 fenbutatin oxide에 대해서느 역상관교차저항성을 나타내었다.

  • PDF

견사 Lousiness에 관한 연구(II) (Study of Silk Lousiness (II))

  • 최병희;김낙정;박광의;남중희
    • 한국잠사곤충학회지
    • /
    • 제4권
    • /
    • pp.63-68
    • /
    • 1965
  • 본 연구는 견사 lousiness와 유전관련성을 구명하여 도태가능성 여부를 조사하는 반면, 그 외 도태가능성이 불완전하였으므로 정련방법의 개량으로 인하여 lousiness의 개선을 기도하였던 바 얻어진 결론은 다음과 같았다. (A) lousiness의 유전관계문제 1. 교잡에 의한 lousiness 감소는 11.0%이었다. 2. lousiness의 유전은 불완전우성으로 유전한다. 3. lousiness를 발생하는 유전은 누적적으로 작용하고2종 이상의 유전자가 lousiness 발생에 작용하는 것으로 고찰된다. 4. 잠견의 실용형질과 lousiness와는 유전상관관계가 없다. 5. 다계량계통의 잠품종에서 반드시 lousiness의 발생이 많다고 할 수 없다. 6. 본 실험에서의 lousiness 검경은 생계의 exforiation 시험결과와 동일하였다. (B) 정련에 의한 lousiness 개선문제 1. 양 ion계 화학연화제 0.2% 용액을 95$^{\circ}C$ 하에서 30분간 처리할 때 lousiness 발생을 억제하면서 정련할 수 있었다. 2. 음 ion계 화학연화제는 생사정련에 불합격하였다. 3. 양 ion계 연화제를 상기조건하에 처리할 때 견사의 물리적성질에 변화가 없었다. 4. 석검정련은 lousiness 발생을 용이하게 시킨다.

  • PDF

Marker-assisted Genotype Analysis of Bulb Colors in Segregating Populations of Onions (Allium cepa)

  • Kim, Sunggil;Bang, Haejeen;Yoo, Kil-Sun;Pike, Leonard M.
    • Molecules and Cells
    • /
    • 제23권2호
    • /
    • pp.192-197
    • /
    • 2007
  • Bulb color in onions (Allium cepa) is an important trait whose complex inheritance mechanism involves epistatic interactions among major color-related loci. Recent studies revealed that inactivation of dihydroflavonol 4-reductase (DFR) in the anthocyanin synthesis pathway was responsible for the color differences between yellow and red onions, and two recessive alleles of the anthocyanidin synthase (ANS) gene were responsible for a pink bulb color. Based on mutations in the recessive alleles of these two genes, PCR-based markers for allelic selection were developed. In this study, genotype analysis of onions from segregating populations was carried out using these PCR-based markers. Segregating populations were derived from the cross between yellow and red onions. Five yellow and thirteen pink bulbs from one segregating breeding line were genotyped for the two genes. Four pink bulbs were heterozygous for the DFR gene, which explains the continuous segregation of yellow and pink colors in this line. Most pink onions were homozygous recessive for the ANS gene, except for two heterozygotes. This finding indicated that the homozygous recessive ANS gene was primarily responsible for the pink color in this line. The two pink onions, heterozygous for the ANS gene, were also heterozygous for the DFR gene, which indicated that the pink color was produced by incomplete dominance of a red color gene over that of yellow. One pink line and six other segregating breeding lines were also analyzed. The genotyping results matched perfectly with phenotypic color segregation.

수도 양적 형질의 유전에 관한 연구 제 6 보. 이면교잡에 의한 주요형질의 유전분석 (Studies on the Inheritance of Quantitative Characters in Rice Ⅵ. Differences of Degree of Heterosis and Gene Distributions for Several Agronomic Characters of Rice in 9-parent Diallel Cross $F_1$ and $F_2$)

  • 전병태;조수연;장권열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287-293
    • /
    • 1985
  • 수도 9개 품종을 이용하여 이면교잡에 의한 36개 조합의 F$_1$ 및 F$_2$세대에서 간장, 수장, 수수에 관여하는 잡종강세 정도와 유전자분포상태를 검정하였던 바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간장의 잡종강세 정도는 F$_2$세대보다는 F$_1$세대에서 크고, SR7796-9, SR7796-44품종이 교배친으로 되어 있는 조합에서는 간장이 긴 쪽으로 현저한 Heterobeltiosis를 나타낸 조합이 많았다. 2. 수장에 있어서도 Heterosis와 Heterobeltiosis의 정도는 F$_1$세대에서 F$_2$세대보다 크고, ZLAYN, Arborio 품종이 교친으로 되어 있는 조합에서 수장이 긴 쪽으로 Heterobeltiosis를 나타낸 조합이 많았다. 3. 수수에 있어서도 F$_1$세대의 Heterosis 정도가 F$_2$세대보다 현저히 높았고, IR 747B$_2$-6, SR8234-17, SR8772-29품종이 교배친으로 되어있는 조합에서 Heterobeltiosis가 나타난 조합이 많았다. 4. 간장은 F$_1$, F$_2$세대 모두 불완전우성을 나타내었으며, 장간은 단간에 비하여 우성을 나타내었으나IR747B$_2$-6는 단간이 우성을 나타내었다. 5. 수장은 세대에서 불완전우성을 나타내었으며 품종에 따라 우열의 정도가 달랐다. 6. 수수에 있어서도 F$_1$, F$_2$세대 모두 불완전우성을 나타내었고, 대체적으로 수수가 적은 것이 많은 것에 비하여 우성이었다.

  • PDF

유통업체의 위치기반 모바일 쇼핑서비스 제공에 대한 소비자 반응 : PAD 감정모델과 정보의 상황관련성을 중심으로 (Consumer Responses to Retailer's Location-based Mobile Shopping Service : Focusing on PAD Emotional State Model and Information Relevance)

  • 이현화;문희강
    • 한국유통학회지:유통연구
    • /
    • 제17권2호
    • /
    • pp.63-92
    • /
    • 2012
  • 본 연구는 소비자가 지각하는 유통업체의 위치기반 모바일 쇼핑정보 서비스에 대한 정보의 상황관련성과 정보자극에 대한 PAD 감정변수들(환기, 지배력, 즐거움) 간의 상호 인과관계와 이용의도에 대한 이들의 효과를 실증 연구 하였다. 미국 내 모바일 이용자를 대상으로 무작위 표본추출법에 근거하여 추출되었고, 총 335명의 사용가능한 응답이 수거되었다. 분석결과, 환기와 상황관련성은 즐거움에 정(+)의 영향을 주었으나 지배력은 즐거움에 유의한 영향력을 나타내지 않았다. 즐거움은 이용의도에 정(+)의 영향을 주었다. 본 연구를 통해 위치기반 모바일 서비스에 대한 소비자의 인지적 반응과 감정적 반응을 통합적으로 살펴보았으며, PAD 감정차원간의 체계적인 관계를 규명하였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모바일 쇼핑서비스 개발자, 유통업체, 그리고 마케팅 실무자를 위한 시사점을 논의하였으며, 연구의 한계점과 더불어 향후 연구 방향을 제시하였다.

  • PDF

Acequinocyl 저항성 점박이응애의 유전과 교차저항성 (Inheritance and Cross Resistance of Acequinocyl Resistance in Twospotted Spider Mite, Tetranychus urticae)

  • 김은희;양정오;윤창만;안기수;김길하
    • 농약과학회지
    • /
    • 제11권2호
    • /
    • pp.125-130
    • /
    • 2007
  • 경남 김해의 장미재배지에서 채집한 점박이응애를 실험실에서 5년 동안 acequinocyl로 200회 이상 도태하여 성충에 대해 감수성계통과 비교하여 87.8배의 저항성계통을 얻었다. 점박이응애의 성충과 알에 대해 aceqyinocyl 저항성 계통의 유전과 8종 살비제에 대한 교차저항성 유무를 조사하였다. 감수성계통 수컷과 저항성계통 암컷을 상호교배($S(female){\times}R(male)$)하여 얻은 $F_1$ 알과 성충의 우성도는 각각 -0.75 -0.57로 불완전열성이었고, $R(female){\times}S(male)$의 교배에서 얻어진 $F_1$ 알과 성충의 우성도는 각각 0.81, 0.45로 불완전우성이었다. 이 저항성 점박이응애의 성충은 amitraz, bifenazate에 대해 각각 1.1, 0.9배로 비교차저항성을 나타내었으며, emamectin benzoate에 대해서는 0.08배로 역상관 교차저항성을 나타내었다. 알은 amitraz, milbemectin, spirodiclofen에 각각 37.7, 14.0, 26.2배로 교차저항성을 나타내었고, 특히 pyridaben은 6538.3배로 아주 높은 교차저항성을 나타내었다. 역상관 교차저항성을 나타내는 약제들은 abamectin, bifenazate, emamectin benzoate로서 알에 대해 각각 0.4, 0.3, 0.2배를 나타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