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nclination angle (i)

검색결과 80건 처리시간 0.026초

Comparison of old-old aged women's bodice pattern using 3D anthropometric data

  • Cha, Su-Joung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3권11호
    • /
    • pp.111-122
    • /
    • 2018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bodice prototype method suitable for the upper body shape of old-old aged women using the 3D anthropometric data. And it was to provide the basic data for the upper body garments of old-old aged women. In the overall appearance evaluation, the B pattern was rated as 4.00, and it was evaluated as the most suitable for the bodice prototype of the old-old aged woman. The E pattern was rated lower than normal, and the L pattern and the S pattern were found to be inadequate for older female bodice prototypes. As a result of the measurement of the waist and bust air gap of bodice prototype, the air gap of the bust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he patterns. But the waist air gap showed the largest difference between the L pattern and the S pattern. As a result of evaluating the appearance, the amount of space in the state of 3D simulation, and the air gap, the pattern B appeared to be the most appropriate prototype for the old-old aged women's body shape. However, there is a tendency that the shoulder end point is biased toward the back, so it is necessary to set the inclination of the back shoulder line to be more gentle. Conversely, the front shoulder should be more inclined. In the case of the 3D simulation, the B pattern showed that the other parts generally fit well. In the case of the 3D simulation program used in this study, it was evaluated that it is suitable only for the normal body shape because it is impossible to set the isometric angle which is one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older female body shape. A study on the bodice prototype suitable for the bent body shape should be carried out through experiments on the actual body shape of various elderly women. In order to cope with the increase of elderly people who are familiar with digital, I think it is necessary to develop an avatar that reflects the old female body shape.

하악전돌증 환자의 양악 수술 시 상악골 후상방 회전이동 여부에 따른 안면부 경조직 변화량에 대한 비교 연구 (A comparative study on the change of postoperative facial hard tissue profile after maxillary rotational surgery)

  • 김욱규;이성탁;김태훈;송재민;황대석;정인교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Oral and Maxillofacial Surgeons
    • /
    • 제37권4호
    • /
    • pp.264-271
    • /
    • 2011
  • Purpose: This study evaluated retrospectively the postsurgical facial hard tissue profile of a Le Fort I osteotomy with/without posterior impaction and rigid internal fixation to correct mandibular prognathism. After observing a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this measurement was used to prepare a treatment plan for 2-jaw surgery. Patients and Methods: Thirty patients who had undergone orthognathic surgery in Pusan National University Dental Hospital were enrolled in this study. Fifteen patients were treated using a Le Fort I osteotomy with posterior impaction and mandibular setback bilateral sagittal split ramus osteotomy, and the other fifteen patients were treated without posterior impaction. The preoperative (T0), immediate postoperative (T1) and six-month follow-up period (T2) cephalograms were taken and difference between T1-T0 and T2-T2 was analyzed. Results: Both groups was FH-ABp, SNB and ANB showed significant changes in the measurement, whereas only the posterior impaction group showed a change in the SN-U1, occlusal plane, posterior facial height, surgical movement difference from the L1 and B-point. There was no significant statistical change between the immediate postoperative (T1) and six-month follow-up (T2) hard tissue analysis in the two groups. Conclusion: A Le Fort I osteotomy with posterior impaction is considerable for patients with a flat occlusal plane angle, large posterior facial height, prominent B-point, pogonion and labioversed incisal inclination if the indications are well chosen.

악골관계에 따른 전치부교합의 보상적 적응에 관한 연구 (The compensatory adaptation of anterior teeth according to the skeletal relation)

  • 오창근;윤영주;김광원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175-183
    • /
    • 2000
  • 대학에 재학 중인 성인 남녀의 구강검사를 통해 대구치의 전후방관계는 Angle씨 I급 관계를 보이고, 전치부는 정상범위내의 수평피개교합 및 수직피개교합를 지니면서 교정치료의 경험이 없는 남자 51명 여자 50명, 합계 101명 (평균 나이: 남자 23.6세, 여자 21.5세)의 표본을 연구대상으로 하여 다양한 악골관계에 따라 정상교합을 이루기 위한 치아, 치조의 보상적 변화의 양상을 상하악골과 치아, 치조의 배열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여 파악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정상교합의 표본에서도 전후방적, 수직적 악골관계 및 치아, 치조관계를 나타내는 변수의 계측치들은 그 변이의 정도가 매우 다양하였다. 2. 상하악전치의 치축경사도는 악골의 전후방적 위치관계와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상악골에 대하여 하악골이 후방에 위치할수록 상악전치는 설측경사, 하악전치는 순측경사의 경향을 보였다 (P<0.01). 3. 상하악 치조의 높이는 악골의 수직적 위치관계를 나타내는 하안면고경의 크기와 매우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다. 4. 상하악 치조의 높이와 악골의 전후방적인 위치관계에 대해서는 상호간의 관련성이 없었다 (p>0.05). 5.상하악 전치의 치축경사와 악골의 수직적 위치와의 관계는 상악전치부가 하악 전치부에 비해 더욱 긴밀히 관련되었다. 이상의 연구에서 정상적인 교합을 보이는 경우에도 개인에 따라 악골의 배열 및 치아, 치조의 배열에 있어서 차이가 많음을 인식할 수 있으며, 악골의 전후방적 위치와 전치부 치축경사도간, 그리고 악골의 수직고경과 상하악 전치부 치조의 높이간에는 밀접한 관련성이 있고 이는 달라진 악골의 위치에 따른 보상적 변화로 결론 지을 수 있을 것이다.ine을 병용할 경우 방사선조사효과는 증강되며, 저산소상태에 있는 마우스 종양에서의 증강효과가 대조 종양에서의 증강효과와 동일하거나 더욱 양호할 가능성을 제시할 수 있었다.었으나 $7.4\%$만이 심한 증상을 보였고, 만성 합병증은 $7.9\%$에서 관찰되었으며, 장폐색, 비뇨기계증상의 악화, 방사선 방광염등의 순이었다.전에 예방하기 위해 중점 관리해야 할 지점에 대해 더 많은 정보를 얻을 수 있으리라고 사료된다.이었고(p<0.01) 포장에 대해서는 주택형태에 따라 농가나 아파트에 거주하는 주부가 단독주택이나 연립주택에 거주하는 주부보다 더 나쁘게 평가하는 경향이었다. (p<0.05) (9) 조사대상주부들은 시판제품의 가장 개선해야 할 점으로 위생성(37.0%), 가격(23.8%), 포장(15.6%), 맛(11.1%), 저장성(10.1%) 및 색(2.4%) 등의 순으로 지적하였고 주부의 거주지에 따라 대도시에 거주할수록 위생성을, 농어촌에 거주할수록 가격을 가장 개선해야 할 점으로 보는 경향이었다. (p<0.05)3.2%는 채소에는 cholesterol이 함유되어 있지 않으므로 채식이 건강에 좋다고 하였다. 또한 질병치료에 유효한 채소는 당근 등 42가지, 질병을 유발시키는 채소는 고사리 등 10종을 지적하였으며 이들은 과학적 증명이 가능하거나 민간요법으로 전해지고 있는 내용이다. 이상과 같이 덕성여자대학교 평생교육원에 다니는 주부의 채소 소비 형태에 대하여 살펴보았는데 가공된 채소반찬과 김치의 구입은 현재까지 일반화되지 않고 있음을 알 수 있으나 김치보다 채소반찬의 구입경험이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논문은 덕성여자대학교 평생교육원에 다

  • PDF

패턴분류를 통한 산지사면의 위험도 평가 기법 (Slopes Risk Assessment Techniques through Pattern Classification)

  • 김민섭;김진영
    • 지질공학
    • /
    • 제25권2호
    • /
    • pp.189-199
    • /
    • 2015
  • 우리나라의 화강풍화토 지반의 사면붕괴 형태는 대부분 절토사면에서 발생하는 경우가 많고 풍화작용의 영향을 받는 표층부 지반 안정성을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 표층부에서 채취한 시료를 이용하여 기본 물성시험 및 점착력과 내부마찰각 시험을 수행하였고, 현장조사 결과를 토대로 자연사면의 안정성 검토를 수행여 형태별 패턴(쐐기형, 무한사면형, 유한사면형)을 분류 하였다. 또한 분류된 패턴별로 수치해석을 수행하였으며 그 결과를 토대로 최소안전율과 사면경사각의 관계를 개괄적인 안정도 추정에 기초 자료로서 제공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 산정된 강도정수들은 몇 개의 특정사면의 경우에 대한 것으로서 모든 사면의 안정해석에 그대로 적용 가능한 것은 아니다. 그러나 현실적으로 모든 경사면과 강도정수에 대해서 실험을 실시하는 것은 어려울 뿐만 아니라 비용면에서도 불가능한 실정이다. 따라서 사면안정에 영향을 미치는 단위중량, 점착력, 내부마찰각의 변화와 사면 경사각의 변화에 따른 위험도 평가를 정립하기 위해서는 수치모델링과 같은 방법을 사용하여 현장조건의 다양한 변화에 대응할 수 있는 패턴별 위험도 평가기준이 작성된다면 대단히 유용할 것이다. 따라서 대표적인 사면형태(TYPE-I~IV)와 사면경사각에 강도정수를 적용하여 최소 안전율을 제시한다면 자연사면의 간이 안정해석이 가능 할 것으로 사료된다.

건요(建窯) "공어(供御)"·"진잔(進琖)"명흑유완(銘黑釉碗)의 제작시기 문제 (A Study on the date of the black glazed bowls with "Gongyu (供御)" or "Jinzhan (進琖)" of Jian ware)

  • 이희관
    • 미술자료
    • /
    • 제100권
    • /
    • pp.82-110
    • /
    • 2021
  • 이 연구는 건요의 "공어"·"진잔"명흑유완과 관련된 핵심적인 주제 가운데 하나인 그 제작시기 문제를 구체적으로 검토한 것이다. 필자는 주로 기형적(器形的) 측면에서 "공어"·"진잔"명흑유완의 특징을 제대로 파악한 후, 이러한 분석을 토대로 그것이 같은 유형의 건요 흑유완의 전개과정에서 시간적으로 어느 위치에 있는지를 추적함으로써, 이 문제를 밝히려고 하였다. 이 연구에서 도달한 대략적인 결론은 다음과 같다. 건요에서는 다양한 기형의 흑유완을 제작하였지만, "공어"명이나 "진잔"명은 거의 다 특정한 유형의 완, 즉 I형 속구완(束口碗)이나 II형 별구완(撇口碗)에서만 확인된다. 이 가운데에서도 전자의 비율이 월등하게 높다. "공어"명이나 "진잔"명이 있는 I형 흑유속구완의 경우, 모두 구부(口部)가 짧게 외반(外反)되었으며, 측사면의 경사각은 대략 50° 전후이다. 구연으로부터 0.3~0.5cm가량 아래에 속구(束口)가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이것들은 건요의 I형 흑유속구완들 가운데에서는 비교적 운두가 낮은 편이어서, 그 높이/구경의 값이 0.5 이하이다. "공어"명흑유완과 "진잔"명흑유완 사이에 기형적인 측면에서의 차이는 거의 없다. 다만 양자의 출토상황 등으로 미루어 볼 때, 전자가 제작시기에 있어서 후자보다 앞서는 것으로 판단된다. 한편, "공어"·"진잔"명이 있는 I형 흑유속구완과 같은 기형적 특징을 가진 건요 흑유완은 같은 유형의 전형적인 건요 흑유속구완이 출토되는 12세기 말기~13세기 초기의 기년묘(紀年墓)에서는 발견되지 않는다. 일본의 하카타유지(博多遺址)의 경우, 그러한 기형적 특징을 가진 흑유완들은 전형적인 건요 흑유속구완들이 출토되는 12세기 후기~13세기 전기의 유지보다 이른 12세기 전기의 유지에서 출토된다. 복건지방의 흑유완이 거의 시간적 격차 없이 하카타에 유입되었다는 점에서 볼 때, "공어"·"진잔"명의 I형 흑유속구완의 제작시기가 12세기 전기를 벗어날 가능성은 매우 낮다. 요컨대, "공어"·"진잔"명흑유완은 12세기 전기에 제작되었을 것으로 판단된다.

Total reference-free displacements for condition assessment of timber railroad bridges using tilt

  • Ozdagli, Ali I.;Gomez, Jose A.;Moreu, Fernando
    • Smart Structures and Systems
    • /
    • 제20권5호
    • /
    • pp.549-562
    • /
    • 2017
  • The US railroad network carries 40% of the nation's total freight. Railroad bridges are the most critical part of the network infrastructure and, therefore, must be properly maintained for the operational safety. Railroad managers inspect bridges by measuring displacements under train crossing events to assess their structural condition and prioritize bridge management and safety decisions accordingly. The displacement of a railroad bridge under train crossings is one parameter of interest to railroad bridge owners, as it quantifies a bridge's ability to perform safely and addresses its serviceability. Railroad bridges with poor track conditions will have amplified displacements under heavy loads due to impacts between the wheels and rail joints. Under these circumstances, vehicle-track-bridge interactions could cause excessive bridge displacements, and hence, unsafe train crossings. If displacements during train crossings could be measured objectively, owners could repair or replace less safe bridges first. However, data on bridge displacements is difficult to collect in the field as a fixed point of reference is required for measurement. Accelerations can be used to estimate dynamic displacements, but to date, the pseudo-static displacements cannot be measured using reference-free sensors. This study proposes a method to estimate total transverse displacements of a railroad bridge under live train loads using acceleration and tilt data at the top of the exterior pile bent of a standard timber trestle, where train derailment due to excessive lateral movement is the main concern. Researchers used real bridge transverse displacement data under train traffic from varying bridge serviceability levels. This study explores the design of a new bridge deck-pier experimental model that simulates the vibrations of railroad bridges under traffic using a shake table for the input of train crossing data collected from the field into a laboratory model of a standard timber railroad pile bent. Reference-free sensors measured both the inclination angle and accelerations of the pile cap. Various readings are used to estimate the total displacements of the bridge using data filtering. The estimated displacements are then compared to the true responses of the model measured with displacement sensors. An average peak error of 10% and a root mean square error average of 5% resulted, concluding that this method can cost-effectively measure the total displacement of railroad bridges without a fixed reference.

한국인 성인 남녀에서 3차원 전산화단층촬영술을 이용한 전두동의 형태학적 연구 (Anthropometric Analysis of Frontal Sinus Using 3D CT in Koreans)

  • 심병관;김준혁;신호성;이영만
    • Archives of Plastic Surgery
    • /
    • 제38권5호
    • /
    • pp.594-601
    • /
    • 2011
  • Purpose: The frontal sinuses are a pair of triangularly shaped, air-filled chambers lined by mucoperiosteum and located between the inner and outer tables of the frontal bone. Until recently, our understanding of gender variations in craniofacial anatomy has been chiefly built upon anthropometric studies, which typically employ facial surface measurements or plain film radiography. The aim of this study i to determine the sizes of the frontal sinus in both sexes in Koreans. Methods: 95 Korean subjects who underwent maxillofacial 3-Dimensional computed tomography (CT) between January 2009 and December 2009 were enrolled. Frontal sinus dimensions and forehead measurements were taken at midline and at 10, 20, and 30 mm to the left and right of midline using sagittal, coronal, and axial images. The data was analyzed for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measurements made at the selected points in the frontal sinus, for left to right variations, for gender variations, and for racial differences. Results: The mean thickness of the anterior table ranged from 2.31 to 3.23 mm. Mean anteroposterior depth of the frontal sinus ranged from 7.38 to 9.45 mm and did not vary significantly at any distance from midline. Frontal sinus height was greatest at midline (mean=29.24 mm) and progressively lessened at lateral distances. Mean total width at the level of the supraorbital ridge was 53.66 mm. For all measurements, no significant left to right variation was noted. Comparing the sexes, males were found to have greater dimensions in most frontal sinus measurements, though these differences were only found to be significant at or close to midline. The male forehead was marked by more acute nasofrontal angle ($133.3^{\circ}$ versus $141.6^{\circ}$) and a steeper posterior forehead inclination ($14.9^{\circ}$ versus $7.7^{\circ}$). Conclusion: Using CT imaging, forehead and frontal sinus dimensions have been described. Generally, males had larger overall frontal sinus dimensions. And Korean had similar sized frontal sinus to Caucasian in height and width. But in AP distance Korean had lesser measurement. The result of this study may be helpful in the comprehension of normal size of frontal sinus in Korean.

Customized maxillary incisor position relative to dentoskeletal and soft tissue patterns in Chinese women: A retrospective study

  • Zhou, Xueman;Zheng, Yingcheng;Zhang, Zhenzhen;Zhang, Zihan;Wu, Lina;Liu, Jiaqi;Yang, Wenke;Wang, Jun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52권2호
    • /
    • pp.150-160
    • /
    • 2022
  • Objective: To provide reliable prediction models based on dentoskeletal and soft tissue variables for customizing maxillary incisor positions and to optimize digitalized orthodontic treatment planning. Methods: This study included 244 Chinese women (age, 18-40 years old) with esthetic profiles after orthodontic treatment with fixed appliances (133 in group I: 1° ≤ The angle between the nasion [N]-A point [A] plane and the N-B point [B] plane [ANB] ≤ 4°; 111 in group II: 4° < ANB ≤ 7°). Dental, skeletal, and soft tissue measurements were performed on lateral cephalograms of the participants. Correlation and multiple linear regression analyses were used to determine the influence of dentoskeletal and soft tissue variables on maxillary incisor position. Results: The ideal anteroposterior position of the maxillary incisor varied between sagittal skeletal patterns. The position of the maxillary incisor correlated with the sagittal discrepancy between the maxilla and the mandible (ANB), protrusion of the midface, nasal tip projection, development of the chin, and inclination of both the maxillary and mandibular incisors. Distance from the maxillary central incisor to nasion-pogonion plane predicted using multiple linear regression analysis was accurate and could be a practical measurement in orthodontic treatment planning. Conclusions: Instead of using an average value or norm, orthodontists should customize a patient's ideal maxillary incisor position using dentoskeletal and soft tissue evaluations.

Minimum area for circular isolated footings with eccentric column taking into account that the surface in contact with the ground works partially in compression

  • Inocencio Luevanos-Soto;Arnulfo Luevanos-Rojas;Victor Manuel Moreno-Landeros;Griselda Santiago-Hurtado
    • Coupled systems mechanics
    • /
    • 제13권3호
    • /
    • pp.201-217
    • /
    • 2024
  • This study aims to develop a new model to obtain the minimum area in circular isolated footings with eccentric column taking into account that the surface in contact with the ground works partially in compression, i.e., a part of the contact area of the footing is subject to compression and the other there is no pressure (pressure zero). The new model is formulated from a mathematical approach based on a minimum area, and it is developed by integration to obtain the axial load "P", moment around the X axis "Mx" and moment around the Y axis "My" in function of σmax (available allowable soil pressure) R (radius of the circular footing), α (angle of inclination where the resultant moment appears), y0 (distance from the center of the footing to the neutral axis measured on the axis where the resultant moment appears). The normal practice in structural engineering is to use the trial and error procedure to obtain the radius and area of the circular footing, and other engineers determine the radius and area of circular footing under biaxial bending supported on elastic soils, but considering a concentric column and the contact area with the ground works completely in compression. Three numerical problems are given to determine the lowest area for circular footings under biaxial bending. Example 1: Column concentric. Example 2: Column eccentric in the direction of the X axis to 1.50 m. Example 3: Column eccentric in the direction of the X axis to 1.50 m and in the direction of the Y axis to 1.50 m. The new model shows a great saving compared to the current model of 44.27% in Example 1, 50.90% in Example 2, 65.04% in Example 3. In this way, the new minimum area model for circular footings will be of great help to engineers when the column is located on the center or edge of the footing.

상악골 급속확장술식 전후 두경부 자세와 설골위치의 변화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hange of head posture and hyoid bone position before and after rapid maxillary expansions)

  • 배현철;이진우;차경석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27권4호
    • /
    • pp.569-584
    • /
    • 1997
  • 본 연구는 상악골 급속확장술식 후 호흡변화와 연관된 두경부 자세의 변화와 이에 따른 설골 위치 변화의 양상을 알아보기 위하여 시행하였다. 평균연령이 12세 9개월이고 Hellman stage IIIc에서 adult stage까지의 인두강이 정상적이며 상악골 급속확장술식을 시행 한 Angle씨 III급 골격 양상의 남녀 환자 32명을 대상으로 하여 이들 중 상악골 급속확장술식 시행 후 두경부각도가 증가된 군을 A군으로, 감소된 군을 B군으로 분류하였고 대조군은 연구대상과 동일한 Hellman stage이며 평균연령 12세 7개월의 Angle씨 I급 골격양상을 띠는 남녀환자 23명으로 이들을 C군으로 하여 골격양상과 인두강크기, 두경부 자세, 설골 위치에 대한 항목을 연구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골격양상과 인두강 비교 1) A, B군의 치료 전후 비교에서, 두 군 공히 하악이 하방경사되었고 인두강 크기는 변화가 없었다. 2) 세 군간의 치료 전후를 각각 비교한 결과, A, B군의 PMV에 대한 골격 양상과 인두강 크기는 정상이었다. 2. 두경부 자세 비교 1) A, B군의 치료 전후 비교에서, A군에서는 두경부 각도가 상방으로 B군은 두경부 각도와 하악하연이 하방으로 경사됨을 보였다. 2) 세 군간의 치료 전후를 각각 비교한 결과, 치료전에 두경부 각도가 A군은 정상적이었으며, B군은 정상보다 상방 경사짐을 보였다. 치료후에는 A, B군 모두 정상적인 두경부각도를 보였다. 3. 설골 위치 비교 1) A, B군의 치료 전후 비교에서, 두 군 공히 설골장축 각도의 변화가 없었고 전후방적으로 A군은 설골이 후방위치 되었으며 B군은 변화가 없었다. 수직적으로는 A군의 APHFH가 증가되었을 뿐 나머지 항목에서는 두 군 모두 변화가 없었다. 2) 세 군의 치료 전후를 각각 비교한 결과, 설골장축 각도는 A, B군 모두 정상적이었으며, 전후방적으로 치료전에 A군이 B, C군보다 설골이 전방에 위치되었으나 치료후에는 A, B군 공히 정상적 위치였었다. 설골의 수직적 위치는 치료 전후에 A, B군 모두가 정상적이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