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date of the black glazed bowls with "Gongyu (供御)" or "Jinzhan (進琖)" of Jian ware

건요(建窯) "공어(供御)"·"진잔(進琖)"명흑유완(銘黑釉碗)의 제작시기 문제

  • Received : 2021.09.20
  • Accepted : 2021.11.30
  • Published : 2021.12.20

Abstract

This study specifically examined the date of the black glazed bowls marked with "Gongyu (供御)" or "Jinzhan (進琖)" of Jian ware, one of the key research topics related to the bowls.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Jian Kiln produced various shapes of black glazed bowls, but almost all of the inscriptions of "Gongyu (供御)" or "Jinzhan (進琖)" are found only in two certain type bowls: Type I, the Shukou type bowls (束口碗), or Type II, the Piekou type bowls (撇口碗). Of these, there are significantly more of the former in existence. For Type I bowls marked with "Gongyu (供御)" or "Jinzhan (進琖)", the mouth of the bowls is slightly evaginated outwards, and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side slope is about 50°. The shape feature, Shukou (束口) is formed which is slightly indented around the bowl about 0.3~0.5cm below the mouth of bowl. And the height of the bowls is relatively low compared to other Type I black glazed bowls produced by Jian Kiln, so the height divided by the diameter is 0.5 or less. There is little difference in shape between the black glazed bowls marked with "Gongyu (供御) and those with "Jinzhan (進琖)". However, taking into consideration the excavation situation of both type bowls, the former is considered to be ahead of the latter in terms of production date. On the other hand, the black glazed bowls of Jian ware, which have the same shape features as the Type I bowls marked with "Gongyu (供御)" or "Jinzhan (進琖)" have not been found in the tombs dating from the end of the 12th to the beginning of the 13th century from which typical Jian kiln black glazed bowls of the same type were excavated. For the Hakata site (博多遺址) in Japan, the black glazed bowls with such a shape feature were excavated from early 12th century sites, rather than from the late 12th to early 13th century sites at which the typical black glazed bowls of Jian kiln were found. Considering that the black glazed bowls from Fujian province were imported into Hakata with almost no time gap, it is very unlikely that the production time of Type I black glazed bowls marked with "Gongyu (供御)" or "Jinzhan (進琖)" will deviate from the early 12th century. In conclusion, it is considered that the black glazed bowls marked with "Gongyu (供御)" or "Jinzhan (進琖)" of Jian ware were produced in the early 12th century.

이 연구는 건요의 "공어"·"진잔"명흑유완과 관련된 핵심적인 주제 가운데 하나인 그 제작시기 문제를 구체적으로 검토한 것이다. 필자는 주로 기형적(器形的) 측면에서 "공어"·"진잔"명흑유완의 특징을 제대로 파악한 후, 이러한 분석을 토대로 그것이 같은 유형의 건요 흑유완의 전개과정에서 시간적으로 어느 위치에 있는지를 추적함으로써, 이 문제를 밝히려고 하였다. 이 연구에서 도달한 대략적인 결론은 다음과 같다. 건요에서는 다양한 기형의 흑유완을 제작하였지만, "공어"명이나 "진잔"명은 거의 다 특정한 유형의 완, 즉 I형 속구완(束口碗)이나 II형 별구완(撇口碗)에서만 확인된다. 이 가운데에서도 전자의 비율이 월등하게 높다. "공어"명이나 "진잔"명이 있는 I형 흑유속구완의 경우, 모두 구부(口部)가 짧게 외반(外反)되었으며, 측사면의 경사각은 대략 50° 전후이다. 구연으로부터 0.3~0.5cm가량 아래에 속구(束口)가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이것들은 건요의 I형 흑유속구완들 가운데에서는 비교적 운두가 낮은 편이어서, 그 높이/구경의 값이 0.5 이하이다. "공어"명흑유완과 "진잔"명흑유완 사이에 기형적인 측면에서의 차이는 거의 없다. 다만 양자의 출토상황 등으로 미루어 볼 때, 전자가 제작시기에 있어서 후자보다 앞서는 것으로 판단된다. 한편, "공어"·"진잔"명이 있는 I형 흑유속구완과 같은 기형적 특징을 가진 건요 흑유완은 같은 유형의 전형적인 건요 흑유속구완이 출토되는 12세기 말기~13세기 초기의 기년묘(紀年墓)에서는 발견되지 않는다. 일본의 하카타유지(博多遺址)의 경우, 그러한 기형적 특징을 가진 흑유완들은 전형적인 건요 흑유속구완들이 출토되는 12세기 후기~13세기 전기의 유지보다 이른 12세기 전기의 유지에서 출토된다. 복건지방의 흑유완이 거의 시간적 격차 없이 하카타에 유입되었다는 점에서 볼 때, "공어"·"진잔"명의 I형 흑유속구완의 제작시기가 12세기 전기를 벗어날 가능성은 매우 낮다. 요컨대, "공어"·"진잔"명흑유완은 12세기 전기에 제작되었을 것으로 판단된다.

Keywords

Acknowledgement

이 논문은 2020년 대한민국교육부와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임(NRF-2020S1A5B5A17087661)

References

  1. [宋]耐得翁 撰, 「都城紀勝」, 「叢書集成續編」 제52책, 上海: 上海書店出版社, 1994.
  2. [宋]蘇軾 撰, 「東坡全集」, 文淵閣四庫全書本, 「景印文淵閣四庫全書」 제1107책, 臺北: 臺灣商務印書館, 1986.
  3. [宋]楊萬里 撰, 「誠齋集」, 文淵閣四庫全書本, 「景印文淵閣四庫全書」 제1160책, 臺北: 臺灣商務印書館, 1986.
  4. [宋]程大昌 撰, 「演繁露」, 文淵閣四庫全書本, 「景印文淵閣四庫全書」 제852책, 臺北: 臺灣商務印書館, 1986.
  5. [宋]蔡襄 撰, 「茶錄」, 「中國古代茶書集成」, 上海: 上海文化出版社, 2010.
  6. [宋]王明淸 撰, 「揮麈餘話」, 文淵閣四庫全書本, 「景印文淵閣四庫全書」 제1038책, 臺北: 臺灣商務印書館, 1986.
  7. [宋]徽宗 撰, 「大觀茶論」, 「中國古代茶書集成」, 上海: 上海文化出版社, 2010.
  8. [宋 혹은 元]佚名 撰, 「宣和遺事」, 上海中華書局據士禮居刻本校刊本, 「四部備要」 제45책, 北京: 中華書局, 1989.
  9. [元]脫脫 等 撰, 「宋史」, 中華書局點校本, 北京: 中華書局, 1977.
  10. [淸]寂園叟 撰, 「匋雅」, 書貴山房重刊本, 「中國陶瓷名著滙編」, 北京: 中國書店, 1991.
  11. [民國]詹宣猷 等 撰, 「建甌縣志」, 民國十八年本, 臺北: 成文出版社, 1967.
  12. 羅筱玉, 「宋元講史話本硏究」 復旦大學博士學位論文, 2005.
  13. 茶道資料館 編, 「唐物天目-福建省建窯出土天目と日本傳世の天目-」, 京都: 茶道資料館, 1994.
  14. 謝道華, 「中國古陶瓷標本-福建建窯」, 廣州: 嶺南美術出版社, 2003.
  15. 葉文程.林忠淦, 「建窯」, 南昌: 江西美術出版社, 2016.
  16. 王永平 主編, 「玄之妙-福建宋元黑釉瓷」, 福州: 福建美術出版社, 2016.
  17. 劉濤, 「宋遼金紀年瓷器」, 北京: 文物出版社, 2004.
  18. 張柏 主編, 「中國出土瓷器全集」 7 江蘇.上海, 北京: 科學出版社, 2008.
  19. 張柏 主編, 「中國出土瓷器全集」 14 江西, 北京: 科學出版社, 2008.
  20. 李喜寬, 「여요의 성립과 그 의의」, 「皇帝와 瓷器-宋代官窯硏究」, 坡州: 景仁文化社, 2016.
  21. 李喜寬, 「康津 沙堂里窯場 瓷器製作의 實狀과 特質-沙堂里窯場의 性格에 대한 比較史的 接近」, 「해양문화재」 11, 2018.
  22. 이희관, 「建窯의 "供御"."進琖"銘黑釉碗에 대한 기초적 검토」, 「야외고고학」 36, 2019a.
  23. 이희관, 「건요(建窯)와 "공어"."진잔"명흑유완("供御"."進琖"銘黑釉碗) 그리고 수미람유지(水尾嵐遺址)-건요(建窯) 조사기(調査記) (2)」, 「아시아 陶磁文化 硏究」 2, 2019b.
  24. 이희관, 「건요"공어"."진잔"명흑유완(建窯"供御"."進琖"銘黑釉碗)과 그 지평(地平)을 넘어-건요(建窯) 조사기(調査記) (3)」, 「아시아 陶磁文化 硏究」 3, 2020.
  25. 이희관, 「建窯의 "新窯"銘黑釉碗과 관련된 몇 가지 문제」, 「야외고고학」 40, 2021.
  26. 桂冠, 「建窯黑釉瓷器硏究」 吉林大學碩士學位論文, 2013.
  27. 顧文璧, 「建窯"供御", "進琖"的年代 《宣和遺事》"建溪異毫琖"正誤」, 「東南文化」 1, 1986.
  28. 南京市博物館, 「江浦黃悅嶺南宋張同之夫婦墓」, 「文物」 4, 1973.
  29. 鄧宏文, 「吉州窯和建窯黑瓷的硏究」, 「湖南考古輯刊」 1, 1999.
  30. 福建省博物館 等, 「福建建陽蘆花坪窯址發掘簡報」, 「中國古代窯址調査發掘報告集」, 北京: 文物出版社, 1984.
  31. 森本朝子, 「博多遺跡群出土天目」, 「唐物天目-福建省建窯出土天目と日本傳世の天目-」, 京都: 茶道資料館, 1994.
  32. 厲祖浩, 「唐五代越窯文獻資料考察」, 「東方博物」 43, 2012.
  33. 厲祖浩, 「宋越窯文獻資料考察」, 「東方博物」 46, 2013.
  34. 李民擧, 「建窯初論稿」, 「"迎接二十一世紀的中國考古學"國際學術討論會論文集」, 北京: 科學出版社, 1998.
  35. 中國社會科學院考古硏究所 等(李德金 執筆), 「福建建陽縣水吉北宋建窯遺址發掘簡報」, 「考古」 12, 1990.
  36. 曾凡, 「關于建窯的硏究」「唐物天目-福建省建窯出土天目と日本傳世の天目-」, 京都: 茶道資料館, 1994.
  37. 陳定榮, 「江西吉水紀年宋墓出土文物」, 「文物」 2, 1987.
  38. 陳顯求 等, 「大型御用建盞」, 「景德鎭陶瓷學院學報」 16-1, 1995.
  39. 詹永萱.詹祥生, 「婺源兩座宋代紀年墓的瓷器」, 「中國陶瓷」 7, 1982.
  40. 馮先銘, 「從文獻看唐宋以來飮茶風尙及陶瓷茶具的演變」, 「文物」 1, 1963.
  41. 馮先銘, 「新中國陶瓷考古的主要收穫」, 「文物」 9, 1965.
  42. 馮先銘, 「宋代黑釉瓷器」, 「馮先銘中國古陶瓷論文集」, 香港: 紫禁城出版社.兩木出版社, 1987.
  43. 黃冬梅, 「淸江南宋紀年墓出土的瓷器」, 「江西歷史文物」 1, 198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