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ncident

검색결과 3,621건 처리시간 0.032초

사고등급별 고속도로 교통사고 처리시간 예측모형 개발 (Development of Freeway Traffic Incident Clearance Time Prediction Model by Accident Level)

  • 이숭봉;한동희;이영인
    • 대한교통학회지
    • /
    • 제33권5호
    • /
    • pp.497-507
    • /
    • 2015
  • 고속도로의 비반복 혼잡은 주로 돌발상황에 의해 발생된다. 돌발상황의 주요 원인은 교통사고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교통사고 시 사고처리시간을 정확하게 예측하는 것은 돌발상황 관리에서 매우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전국고속도로의 2008-2014년 총 7년치(60,473건)의 사고 자료를 이용하였다. 사고처리시간 예측모형은 과거의 교통사고 이력자료를 바탕으로 비모수모형인 KNN (K-Nearest Neighbor) 알고리즘을 활용하였다. 사고자료 현황 분석결과 사고등급별로 사고처리시간에 미치는 영향이 매우 큰 것으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사고처리시간은 사고등급별로 분류하여 모형을 구축하였다. 그리고 현재 발생한 사고의 교통상황과 도로 기하구조를 반영하기 위하여 교통량, 차로수, 시간대를 구분하여 데이터를 추출하였다. 추출된 데이터 중 현재 교통사고와 유사한 사고를 검색하기 위하여 사고처리시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분석하였다. 마지막으로, 상태간 거리 산정을 위해서 세부항목별 가중치를 산정하였다. 가중치산정은 정규분포 표준화방법을 적용하였고, 이를 통해 사고처리시간을 예측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모형의 예측결과는 기존의 연구들의 결과에 비해 낮은 예측오차(MAPE)를 보여 모형의 우수성을 입증할 수 있다고 판단된다. 본 연구를 통해 고속도로의 돌발상황 발생 시 효율적인 고속도로의 운영관리에 기여할 수 있고, 기존의 모형들이 갖고 있던 한계를 개선 및 보완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BRAGG RESONANT REFLECTION OF OBLIQUELY INCIDENT WATER WAVES

  • Cho, Yong-Sik
    • Water Engineering Research
    • /
    • 제1권1호
    • /
    • pp.75-81
    • /
    • 2000
  • The bragg reflection of obliquely incident monochromatic water waves propagating over a sinusoidally varying topography is theoretically investigated in this study. The eigenfunction expansion method is first employed to calculate reflection coefficients of water waves due to depth changes. A reasonable agreement is observed. Obtained reflection coefficients of normally incident waves are compared with laboratory measurements. Reflection coefficients of obliquely incident waves are then calculated. The wavenumber providing the Bragg reflection agrees well with analytical predictions.

  • PDF

구조대원의 사건충격 정도와 관련 요인 분석 (Incident shock and Related Factors in Rescue Workers)

  • 유의태;조성제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4권5호
    • /
    • pp.2225-2233
    • /
    • 2013
  • 본 연구는 외상후스트레스 고위험군이 많이 분포된 구조대원에 대한 사건충격정도를 파악하고, 사건충격정도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 요인을 분석하였다. 연구대상은 화재 및 구조출동 빈도가 높은 서울소방재난본부 소속 구조대원 415명을 통계분석 자료로 활용하였으며, 사건충격정도에 대한 신뢰도는 .975로 높게 나타났다. 분석결과 첫째, 사건충격정도의 하위요인으로 침습이 가장 높았고, 회피, 수면장애 및 정서적마비, 해리증상, 과각성 순으로 사건충격정도가 높게 나타났다. 둘째, 기혼자와 연령이 높을수록 사건충격정도가 높았으며, 셋째, 소방공무원으로서 근무연수와 구조대원 직무를 수행한 기간이 길고, 출동횟수와 사고현장 경험빈도가 높을수록 충격정도가 높게 나타났다. 특히 스트레스 해소 방법 중 음주로 해소하는 구조대원의 사건충격정도가 높게 나타나, 고위험군에 대한 체계적인 관리와 사건충격을 경험하였을 때 즉시 대처할 수 있는 예방케어프로그램 도입이 시급한 것으로 나타났다.

계층적 침해자원 기반의 침해사고 구성 및 유형분석 (The Composition and Analytical Classification of Cyber Incident based Hierarchical Cyber Observables)

  • 김영수;문형진;조혜선;김병익;이진해;이진우;이병엽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6권11호
    • /
    • pp.139-153
    • /
    • 2016
  • 최근 침해정보공유센터와 기업의 보안시스템으로 부터 수집되는 침해사고의 수는 악성코드의 확산으로 인해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사이버 공격으로 인해 침해 사고가 발생했을 때 침해사고 분석가들은 대량의 침해사고 데이터를 분류 및 분석하는데 시간과 비용이 증가하는 문제점에 직면한다. 이에 대한 기존의 해결책으로 다중 연관분석을 통한 유사침해사고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침해사고 분석시스템이 있으나 이는 분석가에게 분석할 침해사고의 수를 축소시켜 주는 효과가 있을 뿐 침해분석에 적합한 정보를 제공하지 못하고 있다. 그 근본적인 이유는 비현실적인 침해사고의 구성을 야기하는 침해자원 기준으로 침해사고를 분류하기 때문이다. 이를 해결하고자 본 논문에서는 침해사고를 기준으로 침해자원을 계층적으로 분류하고 유사도 분석을 수행하였다. 이 분석을 통하여 신규 침해사고가 발생하였을 때 유사한 침해사고 유형에 대한 정보를 침해사고 분석가에게 제시하는 침해사고 분석 모델을 제안하고 검증을 위하여 침해사고분석 모듈을 구현하였다. 제안 모델은 의미 있는 침해사고 구성과 유형 분류의 제공을 통해 실용성을 확대한다.

입사광의 편위가 난시안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the Shift of Incident Beam on the Astigmatism)

  • 박성종;주석희;정창섭
    • 한국안광학회지
    • /
    • 제6권2호
    • /
    • pp.47-52
    • /
    • 2001
  • 입사광의 진폭 분포가 임의의 방향으로 편위되었을 때 편위량의 증가에 따른 상면에서의 착락원 형태변화와 이러한 입사광의 편위가 난시안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이 때 고려된 편위량의 크기는 0.0, 0.25, 0.5 그리고 0.75인 경우이며, 편위 방향은 ${\pi}/2$이다. 또한 광학계에 포함된 비점수차량은 $0.0{\lambda}$, $0.25{\lambda}$, $0.5{\lambda}$ 그리고 $0.75{\lambda}$인 경우를 고려하였다. 상면에서의 착락원 형태는 입광의 실수 진폭 분포의 편위량이 증가함에 따라 원형 대칭에서 비대칭의 타원 형태로 변화되어 나타났으며, 비대칭 타원의 정도는 입사광의 실수 진폭 분포의 편위량이 증가함에 따라 크게 나타났다. 또한 입사광의 실수 진폭 분포가 대칭적이지 못하고 임의의 방향으로 약간씩 편위되어 분포함으로써 광학계에 포함된 비점수차를 보정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으며, 이는 난시안을 갖는 눈에 입사된 입사광은 난시의 효과를 최소화하기 위해 편위됨을 알 수 있었다.

  • PDF

정량적 침해사고 관리를 위한 Security Ticket 기반의 CERT/CC 설계 및 관리 (Design and Control of Security Ticket Based CERT/CC System for Quantified Incident Management)

  • 김선태;박대우;전문석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12권4호
    • /
    • pp.239-248
    • /
    • 2007
  • 최근까지의 침해사고 대응에 대한 연구는 국제적 침해사고대응팀(CERT/CC)과 국가 또는 대형기관의 침해사고대응팀(CERT)의 유형을 중심으로 연구되어 일반기업 환경에 적용하기에는 어려움이 있었다. 본 논문에서는 일반기업의 IT 운영환경에 적합한 침해사고 대응절차를 수립하고, 침해사고 관리의 위협요소, 공격요소, 대응요소를 분석하여 Security Ticket을 기반으로 하는 침해사고 관리시스템의 설계 및 관리방안을 연구하였다. 이 방안을 토대로 침해사고 대응실험을 실시하여 제안한 CERT 모델의 유효성과 정량적 침해사고 관리방안의 효과를 확인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일반기업에서는 CERT를 조직하여 체계적으로 관리함으로써 기업의 정보자산을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으며, 이미 CERT를 운영하는 조직에서는 침해사고 대응결과를 계량적으로 측정 분석하여 문제점을 개선함으로써 기업의 정보보호 수준을 높일 수 있다.

  • PDF

검지기간 속도-밀도의 관계를 활용한 돌발상황 감지기법 (An Incident Detection Method for Using Speed-Density Relations)

  • 이선하;안우영;강희찬
    • 대한교통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127-137
    • /
    • 2006
  • 돌발상황이 발생하였을 경우 발생장소를 기준으로 상류부와 하류부에서는 교통류의 특성이 서로 다르게 나타난다 즉, 상류부에는 저속으로 운행하는 높은 밀도의 교통류가 그리고, 하류부에는 고속으로 운행하는 낮은 밀도의 교통류가 형성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특성을 이용하여 돌발발생 장소의 상 하류부 검지기 간의 속도와 밀도의 차이를 시간적, 공간적으로 동시에 고려한 돌발감지기법을 제시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기존에 운영되고 있는 비교기법에 속하는 돌발감지기법들이 점유율 단독 또는 점유율과 운행속도의 추세를 별개로 분석한 후 두 개 지표의 변화추세를 고려한 것에 비하여 검지기 간의 거리 및 속도와 밀도를 동시에 고려 할 수 있는 개념을 제시하는데 그 의의가 있다. 천안-논산고속도로의 사고 상황 자료를 바탕으로 off-line 상에서 본 기법을 적용한 결과 인접 검지기 간의 속도-밀도관계를 분석함으로서 사고위치와 검지기간의 관계 등을 포함한 돌발상황을 감지할 수 있었다. 향후 본 기법이 고속도로교통관리시스템(FTMS)의 돌발감지기법(AID)으로 적용되기 위해서는 광범위한 자료를 바탕으로 돌발을 판정할 수 있는 임계치, 사고의 파장정도 및 돌발발생장소와 검지기 간의 위치에 따른 변화추이 등에 대한 추후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정량적 침해사고 관리를 위한 Security Ticket 기반의 침해사고 관리시스템(CERT) 설계 및 관리방안 연구 (A Study and Design on security ticket based CERT system for quantified incident management)

  • 김선태;전문석;박대우
    • 한국컴퓨터정보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141-150
    • /
    • 2007
  • 최근까지의 침해사고 대응에 대한 연구는 국제적 침해사고대응팀(CERT/CC)과 국가 또는 대형기관의 침해사고대응팀(CERT)의 유형을 중심으로 연구되어 일반기업 환경에 적용하기에는 어려움이 있었다. 본 논문에서는 일반기업의 IT 운영환경에 적합한 침해사고 대응절차를 수립하고, 침해사고 관리의 위협요소, 공격요소, 대응요소를 분석하여 Security Ticket을 기반으로 하는 침해사고 관리시스템의 설계 및 관리방안을 연구하였다. 이 방안을 토대로 침해사고 대응실험을 실시하여 제안한 CERT 모델의 유효성과 정량적 침해사고 관리방안의 효과를 확인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일반기업에서는 CERT를 조직하여 체계적으로 관리함으로써 기업의 정보자산을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으며, 이미 CERT를 운영하는 조직에서는 침해사고 대응결과를 계량적으로 측정 분석하여 문제점을 개선함으로써 기업의 정보보호 수준을 높일 수 있다.

  • PDF

로그 체인을 고려한 디지털증거지도 작성 (Build a Digital Evidence Map considered Log-Chain)

  • 박호진;이상진
    • 정보보호학회논문지
    • /
    • 제24권3호
    • /
    • pp.523-533
    • /
    • 2014
  • 컴퓨터 침해사고 대응 시 침입경로를 파악하는데 많은 시간을 소비하므로 피해 범위가 확대되거나 침해사고 발생의 원인을 밝힐 주요 증거를 유실하게 된다. 이로 인해 동일한 원인의 침해사고가 재발하고 있다. 이 논문에서는 침입자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찾아낼 수 있도록 침해사고 발생 전, 디지털증거지도 작성을 제안한다. 디지털증거지도는 다양한 IT장비와 소프트웨어가 만들어 내는 머신 데이터간의 연결 고리가 그물 형태로 만들어진다. 연결 고리는 다양한 외부요인에 민감하기 때문에 지속적인 관리가 필요하다. 침해사고 발생 전, 유효한 디지털증거지도를 숙지함으로써 침해사고 발생 시 신속히 대응하여 피해 범위를 축소하며 침입경로를 제거하여 침해사고 재발을 방지한다. 디지털증거지도는 로그뿐만 아니라 컴퓨터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아티팩트들을 채용함으로써 고도화된 APT 공격과 안티-포렌식 기법에 효과적으로 대응한다.

파랑 입사각이 장방형 플로팅 함체와 상부 골조에 미치는 효과 (Effect of Incident Angle of Wave on Floating Pontoon and Moment Resisting Frame)

  • 이영욱;김보람
    • 한국항해항만학회지
    • /
    • 제37권2호
    • /
    • pp.221-229
    • /
    • 2013
  • 파랑하중의 입사각의 변화가 직사각형 콘크리트 플로팅 함체 위에 있는 3층 철골 모멘트 연성골조의 모멘트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파도 주기 5초부터 15초까지 2초 간격으로 동적 유체해석을 수행하였다. 길이방향에 대하여 입사각이 $0^{\circ}$, $30^{\circ}$, $60^{\circ}$, $90^{\circ}$로 증가함에 따라 RAO-Roll에 의한 영향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파압에 의하여 입사각이 $0^{\circ}$인 경우 길이방향의 골조 모멘트가 크게 증가하였으며, 입사각이 증가함에 따라 파압에 의한 모멘트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함체의 피칭과 롤링에 의하여 발생되는 가속도 성분에 의하여 상부 철골 모멘트 연성 골조의 모멘트를 산정하였으며, 입사각이 $90^{\circ}$로 작용한 경우에 모멘트의 증가량이 입사각 $0^{\circ}$의 경우보다 크게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