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n vivo측정

검색결과 627건 처리시간 0.04초

단위동물 모델에서 In vitro 소화율 측정과 평가 (Evaluation and Method of In Vitro Digestibility in Monogastric Animal Model)

  • 강령인;김진선;이성실;추교문;김진욱
    • 농업생명과학연구
    • /
    • 제53권2호
    • /
    • pp.15-26
    • /
    • 2019
  • In vivo 측정법은 비용이 많이 들고 연구기간이 길며 동물복지 측면에서 여러 문제점이 있다. 이에 대한 대안으로 지난 수십년간 in vitro 소화율 측정법이 개발되어 왔다. 본 총설에서는 대표적인 단위 동물로써 사양되고 있는 돼지의 소화기관 특징 및 소화작용에 대한 논하였다. 또한, 최근에 개발된 daisy II incubator 를 이용한 in vitro 방법을 통해 돼지에서 주요 곡류사료로 이용되고 있는 옥수수, 쌀, 소맥 및 대맥의 회장 및 전분 건물소화율을 측정하였다.

방사선 전신 조사 : 기본 자료 측정 및 생체내에서 선량 측정 (Total Body Irradiation Technique : Basic Data Measurements and In Vivo Dosimetry)

  • 최동락;최일봉;강기문;신경섭;김춘추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12권2호
    • /
    • pp.219-223
    • /
    • 1994
  • This paper describes the basic data measurements for total body irradiation with 6 Mv photon beam including compensators design. The technique uses bilateral opposing fields with tissue compensators for the head, neck, lungs, and legs from the hip to toes. In vivo dosimetry was carried out for determining absorbed dose at various regions in 7 patients using diode detectors(MULTIDOSE,k Model 9310, MULTIDATA Co., USA). As a results, the dose uniformity of${\pm}3.5{\%}$(generally, within${\pm}10{\%}$can be achieved with out total body irradiation technique.

  • PDF

Netplankton과 Nanoplankton 크기별 in vivo Fluorescence의 차이 (Differences in in vivo Fluorescence Yield for Netplankton and Nanoplankton Size Classes)

  • 문창호;이승용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27권6호
    • /
    • pp.727-732
    • /
    • 1994
  • 식물플랑크톤의 엽록소 a 당 in vivo fluorescence 세기 (R)가 netplankton과 nanoplankton 사이에 차이가 있는지 남해에서 조사하였다. In vivo fluorescence (IVF)와 엽록소 a는 서로 다른 두 크기의 플랑크톤에서 자각 좋은 상관관계를 보였으나 비율 R은 netplankton과 nanoplankton 사이에 유의적으로 차이가 있었으며 nanoplankton의 R 값이 netplankton 보다 약 7배 높았다. 그러므로 IVF로 식물플랑크톤의 크기별 생물량을 측정할 때 R에 대한 식물플랑크톤 크기의 영향을 고려하여야한다.

  • PDF

방사선 치료 중 MOSFET 검출기를 이용한 체표면 선량측정법 (In Vivo Dosimetry with MOSFET Detector during Radiotherapy)

  • 김원택;기용간;권수일;임상욱;허현도;이석;권병현;김동원;조삼주
    • 한국의학물리학회지:의학물리
    • /
    • 제17권1호
    • /
    • pp.17-23
    • /
    • 2006
  • 생체내선량측정법(In vivo dosimetry)은 방사선치료 시 선량학적 오차 및 치료장비의 비정상적인 작동을 검출할 수 있는 환자 치료검증방법이다 본 연구에서는 생체내선량측정법 중 환자 체표면에 선량계를 부착하여 환자 치료와 동시에 치료 검증을 할 수 있는 체표면선량측정법을 연구하였다. 이를 위해 선량 재현성 및 방향성이 우수한 MOSFET 검출기를 이용하였다. 선량 검증의 유용성 평가를 위해 치료계획장비의 치료계획검증기능을 이용하여 선량측정지점의 전달선량을 획득하였으며, 이를 MOSFET 검출기의 측정 결과와 비교 분석하였다. 그 결과 MOSFET 검출기의 교정값 및 재현성은 제작사가 제시한 기준값에 대해 ${\pm}2%$ 이내에서 일치하였고, 각 환자에서의 체표면선량측정값은 치료계획에서 얻은 값과 ${\pm}5%$이내에서 일치함을 알 수 있었다. 기존의 전리함과 다이오드 검출기를 사용한 체표면선량측정법은 단순한 치료기법에만 한정하여 사용할 수 있었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 이용한 MOSFET 검출기는 복잡한 방사선치료기법(3 dimensional radiotherapy, intensity modulated radiotherapy)에서 치료계획상의 전달선량을 환자 체표면에서 직접적으로 측정할 수 있어 임상적용의 유용함을 알 수 있었다.

  • PDF

레이저 다이오드의 자기혼합 효과를 이용한 조직혈류 측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Measurement of Tissue Blood Flow by the Self-Mixing Effect of Laser Diode)

  • 고한우
    • 센서학회지
    • /
    • 제3권2호
    • /
    • pp.57-64
    • /
    • 1994
  • 레이저 다이오드의 자기혼합 효과를 이용한 조직혈류측정을 위한 기초연구를 하였다. 이동물체로 인한 레이저 도플러 신호를 자기혼합 효과에 의해 검출하였으며, 피검자의 인지로부터 비관혈적으로 조직의 혈류 변화를 측정할 수 있었다. 이동 물체의 이동속도가 변함에 따라 자기혼합 효과에 의한 도플러 편이 주파수는 선형적으로 변하였으며, in-vivo 실험의 인지에서 측정된 토플러 신호는 운동후의 주파수가 운동전의 주파수 보다 높았으며, 이는 운동생리학적인 결과와도 일치하였다.

  • PDF

원자력발전소내 In Vivo 시스템의 성능 시험

  • 손중권;이명찬;송명재
    • 한국원자력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원자력학회 1997년도 춘계학술발표회논문집(2)
    • /
    • pp.451-456
    • /
    • 1997
  • 각 사업소의 교정용 팬톰에 대한 유효성 여부를 판정하고, 측정결과의 정확도와 조직적 오차의 발생여부를 확인할 목적으로 현재 국내 원전에서 사용중인 In Vivo 시스템에 대한 성능 시험을 수행하였다. 성능시험의 내용과 절차는 미국의 관련 지침인 ANSI N13.30에 기초를 두었다. 전신 측정에 대한 성능시험 결과, 시험핵종의 편중, 정밀도 및 최소검출방사능은 ANSI N13.30에서 정한 용인한도 이내로 나타났으며, 또 폐, 하복부 및 갑상선 측정에 대한 성능시험결과에 있어서도 성능평가 항목의 값은 모두 용인한도 이내였다. 각 사업소의 교정용 팬톰과 성능시험용 팬톰이 기하학적 구조에서 다소 차이가 있다 할지라도 측정결과의 편중이 용인한도 이하였다는 사실로부터 각 사업소에서 보유하고 있는 교정용 팬톰의 유효성을 간접적으로 입증할 수 있었다.

  • PDF

심전도 게이트를 사용한 다관점 도플러 광 단층촬영법 (Electrocardiogram-Gated Multi-Angle Doppler Optical Coherence Tomography)

  • 안예찬
    • 대한기계학회논문집B
    • /
    • 제35권7호
    • /
    • pp.685-691
    • /
    • 2011
  • 본 연구는 도플러 광 단층촬영법이 미세유동 및 미세구조를 동시에 측정하는 첨단 장비임을 보일뿐 아니라 기존의 도플러 광 단층촬영법의 한계를 극복한 새로운 방법을 제시하였다. 기존의 도플러 광단층촬영법은 샘플로 입사되는 광과 같은 방향의 속도성분만을 측정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임의의 속도벡터의 세 성분을 동시에 측정할 수 있는 다관점 도플러 광 단층촬영법을 개발하였고 심전도 게이트를 사용하여 맥동혈류유동의 3 차원 공간 내에서 위상속도 벡터장을 측정하는 심전도 게이트 다관점 도플러 광 단층촬영법의 타당성 조사를 햄스터 모래주머니 모델을 사용하여 수행하였다. 이를 통해 측정 가능한 속도성분의 수를 증가할 뿐 아니라 프레임 레이트가 심박에 비해 상대적으로 느리기 때문에 발생하는 엘리아싱 문제를 해결하였다.

양성자 치료에서 생체 내 선량측정 검출기(In-vivo dosimety)의 정확성과 유용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Accuracy and Usefulness of In-vivo Dosimetry in Proton Therapy)

  • 김선영;최재혁;원희수;홍주완;조재환;이선엽;박철수
    • 한국방사선학회논문지
    • /
    • 제8권4호
    • /
    • pp.171-180
    • /
    • 2014
  • 본 연구는 양성자 치료를 시행하고 있는 수모세포종 환자의 양성자 치료 시 환자들의 Skin에서 홍반이나 피부염이 발생하는 경우가 빈번하여 Phantom에서 실제 환자와 동일한 치료계획 후 생체 내 선량측정 검출기(In-vivo dosimetry)로 사용되는 열 형광선량계(Thermo-luminescence Dosimeter, TLD)와 EBT3 Film으로 실제선량을 조사 측정한다. 측정된 선량값을 치료계획 된 피부선량과 비교 분석하여 양성자 치료 시 임상적으로 피부선량 측정 사용에 유용성이 있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Phantom을 수모세포종의 전뇌척수치료(Cranio-spinal irradiation, CSI) Set-up position으로 위치하여 Brain에서 부터 Pelvis까지 CT촬영하고 양성자 치료계획 후 치료실에서 디지털 영상 포지셔닝 시스템(Digital Imaging Positioning System, DIPS)을 이용하여 정확하게 치료 Isocenter지점을 맞춘다. 양성자 빔이 들어가는 5부위의 치료 Isocenter 지점과 CT촬영 시 Phantom에 표시한 Marker 2부위, 모두 7지점에 미리 교정을 마친 열 형광선량계와 EBT3 Film을 교차해가면서 위치하여 붙이고 치료 계획된 양성자 빔을 각각 10회씩 조사한다. 10회 반복 측정하여 얻은 값을 평균산출하여 치료계획 시스템 에서 측정된 Skin Dose와 비교 분석한 결과, 측정위치의 어려움이 있는 정확한 측정이 결여된 한 지점을 제외한 나머지 6지점의 측정 선량값은 열 형광선량계와 EBT3 Film 모두 절대 선량값과 ${\pm}2%$이내의 분포를 보였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국내 최초의 양성자 치료에서 Enterance skin dose 측정을 위한 In-vivo dosimetry로 열 형광선량계와 EBT3 Film의 임상적인 유용성을 확인하였다.

생체 내 흡수선량 측정을 위한, 얇은 테프론의 TLD 반응감도에 대한 효과성 (The Effect of Thin Teflon on TLD Response for in vivo Dosimetry of Radiotherapy)

  • Kim, Sookil;Yum, Ha-Young;Jeong, Tae-Sig;Moon, Chang-Woo
    • 한국의학물리학회지:의학물리
    • /
    • 제14권2호
    • /
    • pp.74-80
    • /
    • 2003
  • 본 연구의 목적은 핵의학 분야에서 생체 내 흡수선량의 직접 측정에 사용될 수 있는, 테프론을 씌운 TLD의 수행성을 알아보고, 흡수선량 측정 시 테프론의 영향에 대하여 분석하고자 한다. 테프론 캡슐에 든 LiF TLD-100의 반응감도를 고체 팬텀 내에서의 깊이를 달리 하며 측정하였다 성인 인체모형 팬텀을 이용하여 테프론을 씌운 TLD로써 생체 내 흡수선량을 측정하였다. 테프론을 씌우지 않은 보통의 TLD를 이용하여 구한 PDD, TMR, 그리고 생체흡수선량과 테프론을 씌운 TLD로 구한 값을 비교하였다. 보통의 TLD를 이용하여 구한 반응값과 테프론을 씌운 TLD로 구한 값의 차이는 build-up이상의 깊이에서는 같은 조건하에서 3% 이내였다. 그러나 팬텀 표면 부근에서는 테프론 켑슐의 두께에 기인한 build-up 효과로 인해 큰 차이를 보였다. 본 연구에서 테프론 켑슐로 인하여 수 메가볼트의 방사선에 대한 TLD의 흡수선량 측정에 미치는 변화는 미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치료 환경 하에서 테프론을 씌운 TLD가 생체 내 선량측정에 매우 적합한 것으로 사료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