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n vitro starch hydrolysis

검색결과 23건 처리시간 0.018초

가열처리가 잡곡류의 in vitro 전분가수분해율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Heat Treatments on in vitro Starch Hydrolysis of Selected Grains)

  • 이영택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5권8호
    • /
    • pp.1102-1105
    • /
    • 2006
  • 잡곡류인 수수, 기장 율무, 메밀의 가열처리에 따른 in vitro 전분가수분해율을 원곡과 비교하여 분석하였다. 잡곡류의 가열처리로서 열탕처리 또는 증자 후 볶음처리를 하였으며 원곡 상태 또는 가열처리한 후 $pancreatic\;{\alpha}-amylase$를 사용하여 60분간 배양하면서 in vitro 전분가수분해율을 측정하였다. 잡곡류는 ${\alpha}-amylase$ 가수분해가 진행됨에 따라 전분가수분해율(%)이 지속적으로 증가하였다. 원곡의 경우 60분후 전분가수분해율이 메밀 5.4%, 기장 31.3%, 율무 48.3%, 수수 54.7% 순으로 큰 차이가 있었다. 전분가수분해율은 원곡 상태에 비해 가열처리한 곡물에서 $48.6{\sim}99.2%$로 현저히 높았으며 증자 후 볶음처리 방법이 열탕처리에 비해 수수를 제외하고 전분가수분해율이 높은 경향이었다. 본 실험에 사용한 잡곡류 중 amylose 함량이 낮은 기장, 수수, 율무가 amylose 함량이 높은 메밀에 비해 원곡 상태와 가열처리후의 전분가수분해율이 높게 나타났다.

재료에 따른 인삼닭죽의 in vitro 단백질 및 전분 분해율과 물리적 특성 (Effect of Ingredients on In vitro Digestibility and Physical Properties of Ginseng-Chicken Meat Porridge)

  • 신은수;류홍수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24권3호
    • /
    • pp.273-281
    • /
    • 2008
  • To determine the nutritional quality and physical properties of ginseng-chicken meat porridge, 10 kinds of ginsengchicken meat porridge samples containing waxy and/or non-waxy rice were analyzed for in vitro protein digestibility and their degree of starch hydrolysis. Viscosity and spreadness were determined for the gelatinized pastes of the porridge samples. Microphotographs of the starch granules and pastes were studied to confirm structural changes in the rice starch during cooking. The starch paste from non-waxy rice porridge had higher viscosity than the starch paste from the waxy rice porridge; however, in the case of the ginseng-chicken meat porridge, the difference in viscosity was negligible. Microphotograph comparisions between the waxy rice porridge and non-waxy rice porridge indicated apparent differences in the shapes of their starch granules and gels. The granule surface of the non-waxy rice was very rough while that of the waxy rice was very smooth; this difference would lead to organoleptical discrepancy. The added ginseng increased the protein digestibility of the chicken meat; however, the protein digestibility of the ginseng-chicken meat porridge was lower than that of the chicken meat or rice porridge due to inhibited protein digestion by the gelatinized starch. Finally, the rice porridge had increased starch hydrolysis with additions of chicken meat and vegetables.

화학적 변성전분 및 라면 전분질의 In Vitro 소화율 (In Vitro Digestibility of Chemically Modified Starches and Ramen Starches)

  • 김수연;이서래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475-478
    • /
    • 1994
  • 식품에 사용되는 화학적 변성전분류와 acetyl화 전분이 사용된 라면의 돼지 췌장 ${\alpha}-amylase$에 의한 in vitro 소화율($37^{\circ}C$에서 6시간)을 비교하였다. Native potato starch와 acetylated potato starch의 가수분해율은 각각 64.5%와 59.3%, native와 hydroxypropylated corn starch는 70.5%와 60.4%, 그리고 native와 hydroxypropylated high amylose corn starch는 65.2%와 57.3%로서 native한 것들이 유도체들보다 높았다. Waxy corn starch들의 소화율은 pregelatinized(74.3%)>native(72.1%)>acetylated(66.5%)>acetyl distarch adipate(56.4%)>hydroxypropyl distarch phosphate(50.7%)의 순으로 감소하였다. 국내에서 생산, 판매되고 있는 5개 회사의 봉지라면과 용기라면에 대한 실험에서는 실제 조리조건에서 소화율에 유의적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결론적으로 화학적 변성전분의 소화율은 천연전분보다 낮지만 상용식품에서의 사용량이 매우 낮으므로 식품 섭취에 따른 전분질의 소화율에는 큰 영향을 미치지 않을 것으로 판단된다.

  • PDF

치커리추출물 첨가가 in vitro 전분가수분해율 및 정상성인의 혈당반응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Addition of Chicory Extract on Starch Hydrolysis in vitro and Glucose Response in Healthy Subjects)

  • 이정선;신현경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9권6호
    • /
    • pp.1295-1303
    • /
    • 1997
  • 본 연구는 치커리추출물 첨가가 in vitro에서 전분가수분해율 및 정상성인에서의 혈당반응에 미치는 영향을 실험하였다. In vitro 실험에서 고형분량으로 계산된 5% (w/w) 건조치커리 및 볶은치커리추출물을 전분용액에 각각 첨가하고 2시간 동안 가수분해시킨 후 15, 30, 60, 90, 120분에 각각 유리된 당을 측정하여 전분가수분해율 및 전분가수분해지수를 구하였다. 정상 성인을 대상으로한 실험에서는 고형분량으로 계산된 2.5, 5, 10및 20% (w/w) 건조치커리 및 볶은치커리추출물을 각각 포도당용액(60 g/300 mL)에 첨가하여 섭취시킨 다음 공복시 혈당 및 실험용액 섭취후 15, 30, 60, 90, 120, 150분에 각각 혈당을 측정하고 혈당반응 면적 및 혈당지수를 구하였다. 본 실험결과, 전분에 5% 건조치커리 및 볶은치커리추출물 첨가는 2시간 동안의 전분가수분해율, 가수분해면적 및 가수분해지수를 유의하게 감소시켰으나(p<0.05), 건조치커리군과 볶은치커리군사이의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포도당 용액에 2.5, 5, 10, 20% 건조치커리 및 볶은치커리추출물을 첨가했을때 모든 실험군에서 혈당곡선면적 및 최고혈당값은 낮아졌으며 최고혈당값을 나타내는 시간이 지연되는 경향을 보였다. 포도당 섭취시와 비교하여 모든 건조치커리군과 5, 10 및 20% 볶은치커리군의 혈당지수는 유의하게 감소되었으며(p<0.05), 특히 5 및 10% 건조치커리군의 혈당지수는 36%씩 감소되었고 20% 볶은치커리군의 경우 39% 감소되었다. In vitro 및 in vivo 실험결과로 볼때 치커리추출물첨가는 식후 혈당증가를 낮출 것으로 사료된다.

  • PDF

구연산과 구아검 첨가 냉면의 품질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Naengmyeon Noodle Containing Citric Acid and Guar Gum)

  • 박재희;류복미;김창순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32권4호
    • /
    • pp.426-432
    • /
    • 2016
  • Purpose: The consumption of noodles has increased domestically. However, noodles with high carbohydrate content can cause an increase in blood glucose compared with other foods. Therefore, in this study, Naengmyeon with high resistant starch was prepared for decreasing blood glucose by the addition of 0.5% citric acid (CN), 1% guar gum (GN) or 0.5% citric acid and 1% guar gum (CGN), and then it was incubated in a refrigerator for 3 days, and stored in a freezer for 1 month. Methods: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these Naengmyeon noodles was evaluated based on total starch, resistant starch, water absorption, cooking loss, turbidity, in vitro starch hydrolysis, and in vivo glucose response. Result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total starch, cooking loss, and turbidity. The resistant starch of GN (1.70%) and CGN (1.84%) was significantly increased when compared with that in Naengmyeon with no additives (N) and CN. In terms of water absorption, CN (86.01%) was the lowest in samples, followed by GN (92.17%), N (94.20%), and CGN (99.16%). CGN with high resistant starch was the lowest in in vitro starch hydrolysis in samples. However, it had no effect on the in vivo glucose response. In vitro starch hydrolysis exhibite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r=0.533; p<0.01) with in vivo glucose response. Conclusion: Therefore, future studies are needed to establish the standard for resistant starch contents in processed carbohydrate foods for delaying the increase in blood glucose. If this standard is established, it might help to develop processed foods for diabetic patients.

메밀추출물 첨가가 In Vitro 전분가수분해율 및 정상성인의 혈당반응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Added Buckwheat(Fagopyrum esculentum) Extract on Starch Hydrolysis In Vitro and Glucose Responses in Healthy Subjects)

  • 이명헌;이정선;이태헌;구재근;이영철;정승원;남궁배;양희철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625-632
    • /
    • 2009
  • This study determined the effects of added buckwheat extract on the rate of corn starch hydrolysis in vitro as well as blood glucose responses through its supplementation in healthy subjects. The rate of corn starch hydrolysis in the presence or absence of various buckwheat extracts was determined in an in vitro enzyme/dialysis system for 2 hr. The buckwheat was extracted by water, ethanol(40%, 70%, 100%) and methanol(40%, 70%, 100%), respectively. Twenty percent(w/w) additions of the ethanol, methanol and water buckwheat extract to corn starch solution significantly reduced the starch hydrolysis at every minute for 2 hr(p<0.05). The calculated hydrolysis indices of the buckwheat extracts were in the order of 100% ethanol extract(50), 100% methanol(54), 40% ethanol(58), 40% methanol(62), 70% methanol(64), 70% ethanol(68), water (82). For the blood glucose response study, groups of 12 volunteers were given 50 g of boiled rice with or without buckwheat extract(10% and 20% of starch weight) using the 100%, 70%, and 40% ethanol extracts, respectively. The addition of each buckwheat ethanol extract significantly reduced blood glucose concentrations at three or more points during 2 hr and also reduced the mean peak rise and area under the blood glucose curve(p<0.05). The calculated glycemic index(GI) values for all ethanol buckwheat extract groups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compared to the control(rice). At the concentrations of 20%, the buckwheat 100% ethanol extracts lowered the GI by 68%. The 100% ethanol extract was more effective than the 70% and 40% extracts for reducing GI. Therefore, the 100% ethanol buckwheat extract would be the most therapeutically useful in modifying postprandial hyperglycemia.

Studies for Physicochemical and In Vitro Digestibility Characteristics of Flour and Starch from Chickpea (Cicer arietinum L.)

  • Chung, Hyun-Jung
    • Preventive Nutrition and Food Science
    • /
    • 제16권4호
    • /
    • pp.339-347
    • /
    • 2011
  • Flour and isolated starch from chickpea (desi type, 328S-8) were evaluated for their in vitro digestibility and physicochemical properties. The protein content, total starch content and apparent amylose content of chickpea flour and isolated starch were 22.2% and 0.6%, 45.8% and 91.5%, and 11.7% and 35.4%, respectively. Chickpea starch granules had an oval to round shape with a smooth surface. The X-ray diffraction pattern of chickpea starch was of the C-type and relative crystallinity was 24.6%. Chickpea starch had only a single endothermic transition (13.3 J/g) in the DSC thermogram, whereas chickpea flour showed two separate endothermic transitions corresponding to starch gelatinization (5.1 J/g) and disruption of the amylose-lipid complex (0.7 J/g). The chickpea flour had a significantly lower pasting viscosity without breakdown due to low starch content and interference of other components. The chickpea starch exhibited significant high setback in the viscogram. The average branch chain length, proportion of short branch chain (DP 6~12), and long branch chains (DP${\geq}$37) of isolated chickpea starch were 20.1, 20.9% and 9.2%, respectively. The rapidly digestible starch (RDS), slowly digestible starch (SDS) and resistant starch (RS) contents of chickpea flour and starch were 9.9% and 21.5%, 28.7% and 57.7%, and 7.1% and 9.3%, respectively. The expected glycemic index (eGI) of chickpea flour (39.5), based on the hydrolysis index, was substantially lower than that of isolated chickpea starch (69.2).

곡류의 혈당지수와 전분 가수분해율과의 상관관계 (Correlation between Glycemic Index and in vitro Starch Hydrolysis of Cereals)

  • 이정선;신현경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0권5호
    • /
    • pp.1229-1235
    • /
    • 1998
  • 본 실험은 in vitro에서 곡류시료의 전분 가수분해율 및 가수분해지수를 조사하였고 아울러, in vivo에서 정상성인을 대상으로 곡류의 혈당지수를 포도당(GI-glucose)과 쌀밥 (GI-rice)을 기준으로 하여 각각 측정하였다. 이러한 in vitro 및 in vivo 결과의 상관성을 검토해 봄으로써 in vitro에서의 전분 가수분해실험이 인체의 혈당반응을 예측할 수 있는지 알아보았다. In vitro에서 각 시간별로 측정한 전분 가수분해율은 시간대별로 약간의 차이는 있지만 현미찹쌀이 가장 높고 보리가 가장 낮은 경향을 나타냈다. 전분 가수분해지수는 전분 가수분해곡선 면적과 유사한 경향을 보였으며, 보리가 83%로 가장 낮았고 현미찹쌀이 112%로 가장 높았다. 그외는 율무, 차조, 차수수, 메밀, 현미멥쌀, 찹쌀, 멥쌀, 메조의 순으로 전분 가수분해지수는 각각 107, 105, 103, 102, 96, 96, 95, 92%이었다. 한편 곡류의 GI-glucose는 찹쌀군이 110%로 가장 높았고 보리군이 57%로 가장 낮았다. 또한 GI-rice는 차수수군 122%, 율무군 116%, 차조군 115%, 현미찹쌀군 106%, 찹쌀군 102%, 멥쌀군 100%, 현미멥쌀군 90%, 메조군 85%, 메밀군 79%, 보리군 63%로 나타났다. 이상의 in vitro 실험 결과와 in vivo 실험 결과를 통계처리 하였을 때 15, 30, 60, 90 및 120분의 전분 가수분해율, 가수분해곡선 면적 및 가수분해지수는 모두 GI-rice와 유의적인(p<0.05) 상관관계를 볼 수 있었다. 또한 다단계 회귀분석에 의한 회귀방정식에서 GI-rice는 in vitro 실험결과의 변수에 의해 81%의 설명력을 가진 것으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곡류의 in vitro 전분 가수분해율은 곡류 섭취 후의 인체 내 혈당지수인 GI-rice를 반영해주는 것으로 나타났다.은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필름용액의 pH를 10.0으로 조절하고 가소제와 가교제를 첨가함으로써 혼합원료 중 유청분말의 비율을 70%까지 사용하여 양호한 기계적 성질을 지닌 생고분자 필름을 제조할 수 있었다.(40.64{\sim}101.30)$, 7-ketocholesterol $(7.16{\sim}33.91)$. 모든 결과에서 처리구에 따른 콜레스테롤 산화물의 전체 발생량은 조사 수준이 증가할수록 유의적으로 증가하였으며(P<0.05), 저장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전체 발생량이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P<0.05).를 동시에 일으키는 것으로 사료된다. trans-2-hexanol이 147.33 peak area%인 것과 유사(類似)하게 높았다.tarrow}6$보다 $4{\beta}{\rightarrow}8$의 결합방식이, 그리고 procyanidin 류에서는 gallate를 갖는 물질이 이를 함유하지 많은 물질보다 더욱 높은 ACE의 저해효과를 나타내었으며, 또한 hydroxyl 기가 많을수록 효소 저해효과도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는 chocolate의 주원료인 cacao bean의 polyphenol 성분 또한 녹차 등에서 볼 수 있는 생리활성효과에 손색없는 것으로 판단되고, 이러한 기능성에 기초하여 chocolate, 음료 등의 식품이나 의약품의 기능성 소재로서의 산업적 응용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사료된다.대장균군이 역시 난각에서 가장 높은 빈도로 분리되었고, 난황(Yolk)에서는 극히 낮은 수준의 세균오염도를 보였다. 다양한 동물종유래 S. aureus 균주들의 유전학적 분석목적에 가장 신뢰도 높고 감별능력이 뛰어난 분석기법으로 선발되었다.cid로부터 cyclooxygenase를 통해 일단 생성된 endoperoxide에서 각각의 prostaglandin을

  • PDF

In-vitro 전분 소화 모델에서 백미와 현미 가루의 물성학적 특성 분석 (Rheological Behaviors of White and Brown Rice Flours During In-vitro Simulation of Starch Digestion)

  • 김현지;이점식;고상훈;이수용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7권6호
    • /
    • pp.793-796
    • /
    • 2015
  • The in-vitro starch digestibility of white and brown rice flours was continuously characterized from a rheological point of view. Specifically, the in-vitro viscosities of the rice digesta samples were monitored under simulated oral, gastric, and intestinal conditions. A trend of decreasing viscosities in all the digesta samples was observed during the in-vitro digestion. After cooking, the brown rice sample exhibited lower viscosity than that of the white rice flour due to the presence of more non-starch components. A similar tendency was observed during the simulated oral and gastric digestions. However, the viscosity crossover between the white and brown rice samples was observed during intestinal digestion. In addition, the amount of glucose released from the brown rice flour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from the white rice flour. Thus, the slower rate of starch hydrolysis in the brown rice flour could be related to its in-vitro rheological behaviors.

루틴, 퀘르세틴, 식이섬유 혼합물 설계를 이용한 전분소화 지연 효과의 최적화에 대한 융합 연구 (Convergence Study on the Optimization for Suppression of Starch Hydrolysis using Rutin, Quercetin and Dietary Fiber Mixture Design)

  • 오임경;배인영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1권5호
    • /
    • pp.35-41
    • /
    • 2020
  • 본 연구는 루틴, 퀘르세틴, 식이섬유가 전분 소화율에 미치는 영향을 통계적 혼합물 설계방법을 이용하여 확인하고자 하였다. 세 가지 성분들은 모두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전분소화 지연 효과가 나타났으며, 그 중에서도 퀘르세틴과 식이섬유가 함께 섞였을 때 가장 높은 지연 효과를 보였다. 이 혼합물 설계는 simplex-centroid 실험설계법을 이용하였고, 최적 모델은 quadratic 모델에서 나타났다. 이때 얻어진 회귀방정식을 통하여 유의한 상승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최적화 통계 방법을 사용하여 혼합비를 분석한 결과 퀘르세틴과 식이섬유가 72: 28 비율에서 전분 소화 지연 효과가 최대로 나타나는 것을 확인하였다. 전분소화에 대한 영향을 3차원 표면 도표로 시각화하여 나타내었으며, 이 결과로 퀘르세틴과 식이섬유의 상호작용으로 인하여 전분 소화를 15% 이상 지연시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