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n the late Joseon

검색결과 587건 처리시간 0.029초

「반찬등속」에 기록된 김치의 식문화적 고찰 (A Study of Cultural Aspects of Kimchi in 「Banchandeungsok」)

  • 이솔;지명순;김향숙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486-497
    • /
    • 2014
  • "반찬등속"은 19세기말부터 20세기 초에 청주에 살았던 진주 강씨 문중의 며느리인 한 여성이 한글로 쓴 반가음식 책이다. 마흔 여섯 가지 조리법 중 9가지 김치를 포함하고 있다. 본 연구는 "반찬등속"에 기록된 김치의 식문화적 의의를 조명하기 위하여 1700년대부터 1900년대 전기까지 저술된 "증보산림경제", "규합총서", "시의전서", "부인필지", "보감록", "조선무쌍신식요리제법"을 "반찬등속"과 함께 비교 분석하였다. 김치의 주재료, 고추의 사용, 젓갈 사용, 부재료 사용, 양념 등에 관하여 문헌 고찰한 결과 다음과 같이 "반찬등속" 김치의 식문화적 특징을 알 수 있었다. "반찬등속" 김치는 배추, 무, 오이를 주재료로 하는 조선후기 김치의 전형을 보여준다. "반찬등속"의 무김치, 배추짠지, 짠지 등은 젓국을 사용하지 않으며, 부재료가 단순하고 양념으로는 마늘, 생강, 파를 주로 사용하였으며 다른 향신채는 거의 쓰지 않았다. 따라서 "반찬등속" 김치는 담저류에 속하고 오늘날 청주지역 김치의 특징인 담백하고 청량한 맛을 주는 김치의 원형이라고 생각된다. "반찬등속" 김치는 젓국을 사용하지는 않았으나 생조기를 사용하는 특징을 보였다. "반찬등속" 김치에 사용된 고추는 어린 고추, 고춧잎, 다진 고추, 채친 고추, 실고추, 고춧가루 등 다양하였다. 반찬등속은 깍두기 조리법이 기록된 최초의 문헌이다. 반찬등속에는 문헌상에 처음으로 등장하는 깍두기가 두 종류 소개되었다. "반찬등속"의 오이김치는 전형적인 오이소박이와 열무를 오이 속에 넣은 특별한 외이김치가 소개되었다.

위생(衛生), 매약(賣藥), 그리고 시점(視點)의 전이: 한국사회 생명정치 시선에 대한 고찰 (Viewpoints: Exploring the Biopolitical Gaze in South Korea)

  • 김태우
    • 과학기술학연구
    • /
    • 제14권1호
    • /
    • pp.35-57
    • /
    • 2014
  • 본 논문이 주목하는 것은 서구에서 형성된 생명정치가 어떻게 한반도에서 전사회적으로 받아들여졌는가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구한말, 일제강점기의 주요 의료담론인 "위생"과 "매약"을 통해 생명정치 시선의 대두를 조망해 보고자 한다. 개항이전의 위생과 개항이후의 위생은 음도 같고 한자도 같지만 의미는 괄목할 만한 차이를 보인다. 그 의미의 간극에서 관찰되는 것은 1인칭에서 3인칭으로 전이된 몸을 바라보는 시점의 변화이다. 이 시점의 변화를 통해서 수동형의 몸과 몸에 개입하는 정치의 고리가 구축된다. 매약은 이러한 시점을 확대강화 시키며 구매 가능한 재화로서의 건강을 일상화시킨다. 위생과 매약은 과거의 담론과 실천이지만 결코 과거에만 남아있지 않다. 지금 한국의 의료체계가 바탕으로 하는 몸과 질병에 대한 관점이 위생, 매약과 깊은 연관을 가진다. 본 논문은 지금 한국사회의 강력한 의료담론인 검진의 예를 통해서 현재진행형인 위생, 매약 담론과 거기에서 관찰되는 한국사회 생명정치의 시선을 드러내보이고자 한다.

  • PDF

이천 도자기 산업의 이원적 공간 형성 및 네트워크 분석 (Analysis on the Formation of Dualistic Space and Networks of the Ceramic Industry in Icheon, Korea)

  • 주기완;이승철
    • 한국경제지리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556-572
    • /
    • 2015
  • 이천 도자기 산업공간은 전통도자기를 재현 및 계승하는 전승도예 공간과 대학 도자공예 교육에 기반을 둔 현대도예 공간이 혼재되어 나타나 이원적 공간구조를 형성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이천 도자기 산업의 발달경로와 네트워크 실태 분석을 통해 전승도예와 현대도예의 이원적 공간구조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첫째 이천 도자기 산업공간은 점차 전승도예 공간에서 전승-현대도예의 이원적 공간으로 이행하고 있으며, 전승도예의 발달경로는 점차 쇠퇴하는 한편, 기존의 전승도예 발달경로를 기반으로 새로운 현대도예 발달경로가 창출되어 점차 이천 지역에 뿌리를 내리고 있다. 둘째, 전승도예와 현대도예는 기업 간 관계와 기업 외 관계 측면에서 상이한 양상을 띤다. 셋째, 정부는 대학교와 이천 도자기 업체(주로 전승도예 업체)간 기술협력 및 공동연구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재정적 행정적 지원 역할과 네트워크 중개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 PDF

창덕궁 성정각 출토 모담(毛毯) 직물 분석 (A Textile Analysis of Woolen Carpet Excavated from Seongjeonggak Hall, in Changdeokgung Palace)

  • 박성희;이량미;안보연;조미숙
    • 보존과학회지
    • /
    • 제37권2호
    • /
    • pp.120-134
    • /
    • 2021
  • 조선 말기 방한용 깔개인 모담(毛毯)이 창덕궁 성정각의 해체 공사 중 발견되었다. 문헌기록에 비해 현전하는 조선시대 모직물 유물이 많지 않아 유물로서 가치가 높다. 특히 1907년 창덕궁 성정각을 수리한 기록이 있어, 모담은 19세기 말 또는 20세기 초에 제작된 것으로 생각된다. 출토 모담은 자적색 계열의 바탕 직물로 위에 황색, 홍색 등으로 선염한 색사를 표면에만 삽입하여 문양을 시문하였다. 모담의 식서부분은 S연의 면사가 확인되었으며, 지경사는 Z연의 황마사, 지위사는 S연의 황마사, 문경사는 S연의 모사를 사용했다. 특히 무늬는 루프파일의 색사로, 색사의 경계면에서 일부 컷 파일이 확인되나 지위사로 고정되어 표면에 거의 드러나지 않는 다. 황마사와 모사를 사용한 것은 18세기 중엽 유럽의 브뤼셀 카펫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짐작된다. 모담의 문양을 밝히는 데 한계가 있으며 다만 문양이 부분적으로 반복됨을 알 수 있다. 이상의 연구내용을 도출하기 위해 문헌과 회화자료 외에 현미경 분석, 적외선 분광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유물에 사용된 염료를 밝히기 위해 색도측정을 토대로 자외-가시광 분광분석을 실시하여 천연 염색한 직물 샘플에 대한 교차분석을 시도하였다. 그 결과 모담의 녹색 모사는 쪽을 사용하지 않았으며, 자적색의 바탕조직은 소목으로 염색한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

석(舃)에 적용된 회차(繢次)와 수차(繡次)의 배색원칙 (Principles of Coloration for Hoecha and Sucha Applied to Seok)

  • 최연우
    • 복식
    • /
    • 제64권6호
    • /
    • pp.78-90
    • /
    • 2014
  • This paper examines the way that the principles of coloration for Hoecha(繪次) and Sucha(繡次) were applied for shoe making in ancient China and Korea. Hoecha is the principle of drawing, and Sucha is the principle of embroidery. Hoecha and Sucha is the application principle of the five colors(五方色) from the five elements(五行: metal, wood, water, fire, and earth). Hoecha matchs a color with the opposite side color, and Sucha matchs a color with the beside color. A shoe consists of Sinul(body of shoe) and ornaments attached to it. According to the ratings of shoes, Hoecha and Sucha were differently applied for coloration of Sinul and its ornaments. In general, shoes were classified into Seok and Gu. For Seok, which was the high-ranked shoes, Hoecha was applied, while Sucha was applied to Gu, the low ranked shoe. As Hoecha was originally a principle of coloration for patterns on tops(jacket. 上衣), it was applied to the high ranked shoes i.e., Seok. Also, as Sucha was a principle of coloration for patterns on bottoms(skirt. 下裳), it was applied to the low ranked shoes i.e., Gu. Thus, black was decorated on red Seok, blue on white Seok, red on black Seok, yellow on hyeon(玄: a kind of black color) Seok, and white on blue Seok, all of which were applications of the principle of Hoecha. As the application of the principle of Hoecha to Seok was also done for red Seok for males and females in late Joseon, and red Seok for the crown prince in the period of the Korean Empire, black decorations were used for red Sinul. However, for blue Seok, worn by females in the period of the Korean Empire where Ming's systems prevailed, black decorations were used, which was an application of Sucha. Though there had been no discrimination between genders in the application of Hoecha and Sucha originally, the low ranked principle of coloration was applied to Seok for females.

석곡(石谷) 이규준(李奎晙)의 "포상기문(浦上奇聞)"과 석곡(石谷)의 대서양(對西洋) 인식(認識) (A Study on Seokgok Lee Gyujoon's Posangkimun(浦上奇聞) and His Perception of the Occident)

  • 박상영;한창현;안상영;이준규;권오민
    • 한국한의학연구원논문집
    • /
    • 제16권2호
    • /
    • pp.65-73
    • /
    • 2010
  • This study is to discuss the content of Posangkimun on the whole and to report the understanding of Seokgok Lee Gyujoon on western civilization. Through the overall analysis of Posangkimun, it is found the following facts: 1. Posangkimun aroused interest of academic circles as it covered theories of western civilization. Most of the introduction to western civilization contained in the book is related to astronomy and geography. Seokgok criticized all the western theories on revolution of the earth, astronomy, continents and oceans on the ground that these theories were not congruous with the teaching of the Oriental sages. 2. Seokgok found the reasons why the West had led the East from 'nationalism' of the West. The nationalism mentioned here were more similar to 'democracy' in modern sense, or rather 'democratism'. What is specially noteworthy is that he did not find the reasons of western advancement from the spiritual issues not from the machine civilization. In this way, Seokgok could avoid the fallacy of throwing away traditional ideas to concentrate in western machine civilization. 3. The content of Posangkimun shows that Seokgok was a person with a very conservative view. Notwithstanding his inclination, he had good knowledge about western theories, most of which were gathered from newspapers and magazines at that time. It means that newspapers and magazines should be treated with more importance when studying Korean intellectuals in late Joseon period or during the time of Japanese forced occupation.

"동의보감(東醫寶鑑)"과 "본초강목(本草綱目)"의 한국적 전유(專有)와 조선후기 의학 특징의 형성 -"본초유함(本草類函)"과 "본초유함요령(本草類函要領)"을 중심으로- (The Appropriation of Donguibogam and Bencao Gangmu and the Shaping of Distinctive Korean Medicine in the late Joseon Dynasty)

  • 권오민;차웅석;박상영;오준호;안상우
    • 한국한의학연구원논문집
    • /
    • 제17권3호
    • /
    • pp.17-24
    • /
    • 2011
  • Bonchoyuham Nyoryeong(本草類函要領) shows how Donguibogam(東醫寶鑑) -Mirror of Eastern Medicine- is understood, digested into Korean medicine, and at the same time how it participated in the historical shaping of Korean medicine since the publishing in the early 17th century. The author, Hyeon Jae-deok, internalized the structure, content, and significance of Donguibogam and drew out a novel, concise, but comprehensive type of medical manual, while many other medical books since the 17century in Korea are estimated to have been an abridged edition of the Donguibogam. It may well be estimated as exemplar of the extent to which Donguibogam informed Korean medicine since the 17 century. The book shows as well how Bencao Gangmu(本草綱目) -Compendium of Materia Medica- and Donguibogam are merged and set a new medical stream in the 19th century Korea. Hyeon Jae-deok looked at the Bencao Gangmu from the lens of clinical treatment and prescription such that he focused on sections, elements, or parts of procedures, treatments, and prescriptions, not on the herbal taxonomic knowledge of the book. This perspective was embodied in Bonchoyuham(本草類函), which cited simple remedies, prescriptions, or treatments from Bencao Gangmu.

초분광영상 분석을 활용한 김정희 필 불이선란도(不二禪蘭圖)의 과학적 조사 (Scientific Examination of Kim Jeong-hee's "Buliseonrando" by Using Hyperspectral Image Analysis)

  • 고수린;박진호;이수진
    • 박물관보존과학
    • /
    • 제30권
    • /
    • pp.127-144
    • /
    • 2023
  • <김정희 필 불이선란도>(이하 <불이선란도>)는 추사 김정희가 그린 작품으로 그림 중앙에 그려진 난초 주위로 4가지의 제발이 여러 서체로 쓰여 있고, 15과의 인장이 날인되어 있다. <불이선란도>에 날인된 인장과 보존처리된 부분을 중심으로 초분광영상 분석(HSI), 현미경조사, 엑스선형광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인주는 바륨 성분 유무의 2가지로 구분되었다. 인영은 추사의 인장 5과에서만 확인되어 시기별로 성분 및 재료적 특징이 다른 것으로 추정하였다. 특히 초분광영상 분석으로 15과 외에 확인된 인장 및 결실부에 대한 보존처리 흔적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를 통해 초분광영상 분석의 활용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3차원 구조해석에 의한 수원 화령전 운한각의 구조성능 평가 (Evaluation of Structural Performance of Unhangak in Suwon Hwaryeongjeon by Three-Dimensional Structural Analysis)

  • 김영민
    • 한국전산구조공학회논문집
    • /
    • 제37권3호
    • /
    • pp.197-204
    • /
    • 2024
  • 본 논문에서는 조선 후기의 대표적인 전통목구조인 수원 화령전 운한각의 구조성능을 평가하였다. 운한각의 가구구성 방식에 맞추어 3차원 구조해석 소프트웨어인 midas Gen으로 해석모델을 정교하게 구축하였다. 정적해석으로 주요 구조부재의 안전성과 사용성을 평가하였고, 고유치해석으로 동적거동특성을 평가하였다. 대부분의 부재가 안전성 및 사용성 기준을 여유 있게 만족하고 있으나, 외목도리에서 휨응력비가 기준을 20.7% 초과하고 있어 이 부재에 대해서는 장기적인 모니터링이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운한각의 고유주기는 1.079초로 비슷한 규모의 전통목구조보다 약간 긴 편이며, 특히 후면 화방벽의 영향으로 2차모드에서 비틀림이 발생한 것으로 분석된다.

조선 시대 창방안초공의 기원과 변천 재고찰 (Reconsideration on the Origination and Changes of Changbang-anchogongs in Joseon Period)

  • 이우종
    • 대한건축학회논문집:계획계
    • /
    • 제34권9호
    • /
    • pp.129-140
    • /
    • 2018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consider existing hypotheses on the orinination and changes of changbang-anchogongs and their types and suggest an alternative hypothesis. The earliest changbang-anchogongs in $17^{th}$ century is presumed to originate as imitations of chungbang ppaelmoks for ornamental and reinforcing parts for changbangs. They were framed whole sides of buildings equally, and were used in small numbers of extant royal buildings and Buddhist halls. From late $17^{th}$ century, enlarged dragon shape changbang-anchogongs applied to Buddhist halls maily to decorate and strengthen front side of buildings. As a result of exchange between changbang-anchogongs and Ikgong type brackets, combined changbang-anchogongs in Buddhist halls were invented for stronger connection with upper bracketing units and have been spread during $18^{th}$ century. Danpyeongbang anchogongs were originated by the connection between short pieces of pyeongbangs and early type of anchogongs similar to ppaelmoks. They belong to minority subtype, but were drawn in illustrations by mistake, as parts of main halls of royal palaces from $19^{th}$ century, because of painter's confusion about new techniques for changbang-anchogongs. Combined changbang-anchogongs for royal buildings were presumed to be invented in 1790s by stimulation from a Buddhist hall related to royal tomb. However, unlike Buddhist precedence, they were used to reinforce and decorate whole sides, even corners, of buildings, and their frameworks and shapes were imported from Daeryang-anchogongs at flanks of ritual halls in royal tombs and royal shrines from $17^{th}$ centu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