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Scientific Examination of Kim Jeong-hee's "Buliseonrando" by Using Hyperspectral Image Analysis

초분광영상 분석을 활용한 김정희 필 불이선란도(不二禪蘭圖)의 과학적 조사

  • Ko Soorin (Conservation Science Division, National Museum of Korea) ;
  • Park Jinho (Conservation Science Division, National Museum of Korea) ;
  • Lee Sujin (Conservation Science Division, National Museum of Korea)
  • 고수린 (국립중앙박물관 보존과학부) ;
  • 박진호 (국립중앙박물관 보존과학부) ;
  • 이수진 (국립중앙박물관 보존과학부)
  • Received : 2023.10.06
  • Accepted : 2023.11.21
  • Published : 2023.11.30

Abstract

"Buliseonrando," meaning "Buddhist virtues and the orchid are one and the same," was painted by Chusa Kim Jeong-hee. Four appreciation sentences are written in various fonts around the orchid drawn in the center of the painting, along with a total of 15 seals stamped. Hyperspectral image analysis(HSI), microscopy, and X-ray fluorescence (XRF) were conducted with a focus on the seals and the parts of the painting that have been applied with a conservation treatment. As a result of the analyses, the seals were classified into two types-seals with or without barium content. Stamp shade was identified only in five of themstamps, which allows the assumption that the composition and material characteristics of the stamp inks varied depending on the period. In particular, hyperspectral image analysis confirms traces of conservation treatment on the seals and the lost parts identified in addition to the 15 seals, which also demonstrates the utility of hyperspectral image analysis.

<김정희 필 불이선란도>(이하 <불이선란도>)는 추사 김정희가 그린 작품으로 그림 중앙에 그려진 난초 주위로 4가지의 제발이 여러 서체로 쓰여 있고, 15과의 인장이 날인되어 있다. <불이선란도>에 날인된 인장과 보존처리된 부분을 중심으로 초분광영상 분석(HSI), 현미경조사, 엑스선형광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인주는 바륨 성분 유무의 2가지로 구분되었다. 인영은 추사의 인장 5과에서만 확인되어 시기별로 성분 및 재료적 특징이 다른 것으로 추정하였다. 특히 초분광영상 분석으로 15과 외에 확인된 인장 및 결실부에 대한 보존처리 흔적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를 통해 초분광영상 분석의 활용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Keywords

References

  1. 전유근, 이명성, 김유리, 이미혜, 최명주, 최기현, 석조문화재 모니터링을 위한 하이퍼스펙트럴 이미지분석의 활용, 보존과학회지 31(4), p395-402, (2015). https://doi.org/10.12654/JCS.2015.31.4.07
  2. 안보연, 유지현, 안유빈, 직물 문양 식별을 위한 SWIR 초분광 영상의 활용 및 기술, 보존과학회지 38(6), p695-702, (2022).
  3. 안유빈, 유지현, 전유근, 이명성, 울주 천전리 각석의 장기 모니터링을 통한 식생지수 변화 분석, 보존과학회지 37(6), p659-669, (2021).
  4. 안유빈, 유지현, 최명주, 이명성, 초분광 영상을 활용한 석조문화재 표면오염물 분류 및 정확도 평가-경주 굴불사지 석조사면불상을 중심으로, 보존과학회지 36(2), (2020).
  5. 안유빈, 조하진, 이명성, 가시-근적외선(VNIR) 초분광 영상을 활용한 흑색오염물 세척효과 비교 고찰, 보존과학회지 38(5), p509-519, (2022).
  6. 이명성, 최영주, 이태종, 전유근, 비파괴 분석을 활용한 조선왕릉 태릉 석조물의 손상특성 분석, 문화재 53(2), p222-241, (2020). https://doi.org/10.22755/KJCHS.2020.53.2.222
  7. Florence Liggins et al, Hyperspectral imaging solutions for the non-invasive detection and automated mapping of copper tryhydroxychlorides in ancient bronze, Heritage Science 10, p1-9, (2022). https://doi.org/10.1186/s40494-022-00765-8
  8. E. Catelli et al, Can hyperspectral imaging be used to map corrosion products on outdoorbronze sculptures?, J. Spectral Imaging 7, a10, p1-32, (2018) https://doi.org/10.1255/jsi.2018.a10
  9. Statewide Mapping Advisory Committee, Using Color Infrared (CIR) Imagery, A Guide for Understanding, Interpreting and Benefiting from CIR Imagery, Working Group for Orthophotography Planning, (2011).
  10. 박승원, 신용비, 박진호, 이수진, 박운지, 이희성,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회혼례도첩>의 바탕 직물과 채색 분석, 박물관보존과학 29, (2023).
  11. 황정수, 황정수의 그림산책, '불이선란'의 인장,http://www.kookje.co.kr/news2011/asp/newsbody.asp?code=1700&key=20210929.22021006856, (2021).
  12. 국립중앙박물관, 세한-한겨울에도 변치 않는 푸르름 특별전 도록, p46-47, 그라피네트, 서울, (20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