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n the 1920s

검색결과 485건 처리시간 0.029초

중국만화의 "황금시기"에 관한 역사적 고찰 -<왕 선생>, <삼모 유랑기> 중심으로- (A Study for Historical Consideration of "The Golden Age" of Chinese Comics -Focusing on and -)

  • 김리나
    • 만화애니메이션 연구
    • /
    • 통권34호
    • /
    • pp.197-217
    • /
    • 2014
  • 20세기 20~30년대는 중국만화가 제일 번영된 때이고 중국 만화의 "황금시기"이다. 중국의 근대만화는 외세에 의하여 정서불안과 전쟁 등으로 풍자만화가 유행하였고 그중 많은 인기작품들 중에서 영화와 드라마로 제작된 20년대의 <왕 선생>과 30년대의 <삼모 유랑기>를 선택하여 분석하였다. II장에서 20~30년대 중국 민국시기 영화, 소설, 잡지, 패션 등의 소비문화가 확대되었지만 그 중, 통속성과 대중성으로 인기를 끌었던 만화잡지의 역사, 30년대 만화 간행물 등의 만화 "황금시기"에 대하여 역사적인 고찰을 하였다. III장에서는 5.4운동이후 사회 풍자유머만화가 유행하였고 20년대 반제반봉건주의의 내용에서 현실생활화 되었고 사회의 부정적인 면을 묘사한 작품들이 유행하였다. 그 중 작가 엽천여는 <왕 선생>을 통하여 소시민의 일상생활, 관료의 부패, 노동인민에 대한 동정 등의 상해에 대하여 묘사하였고 장락평의 <삼모 유랑기>는 힘없고 불쌍한 고아를 통하여 상해의 부르주아와 프롤레타리아의 불공평한 사회제도, 빈부격차에 대하여 묘사하였다. <왕 선생>은 도덕적인 면에서 <삼모 유랑기>는 경제적인 면에서 현실에 대하여 객관적이면서 익살스럽고 우스꽝스럽게 반영하였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연구자가 <왕 선생>과 <삼모 유랑기>를 선택하게 된 이유는 하나의 좋은 만화, 좋은 애니메이션 심지어 좋은 영화는 우리 주변에 대한 느낌에서 오는 감정을 자극하기 때문에 친근감을 느끼게 하며 익숙한 내용을 다룬 두 작품을 선택하게 되었다.

한국 다방문화의 변천에 관한 연구 (A Study of the History of Korea DA-BANG Culture)

  • 김석수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13호
    • /
    • pp.37-44
    • /
    • 1997
  • The aim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changes that have happened to korea DA-BANG(tea-room). This survey was carried out from 1876 to 1997 and the subject of this study is korea DA-BANGS in Seoul. Following conclusions were obtained from this study. 1) DA-BANG came into being from Koryo ages and more DA-BANGS from 1920's. 2) DA-BANG has changed in the following order : GAEWHA DA-BAHG(that were used to meet, communicate and negotiate foreigners when out country was opening ports), MUNWHA DA-BANG(that were used cultural space for example, exhibitio, display etc.), SEANGWHAL DA-BANG(the place that used a part of living space ; meeting friends to make appointment, etc.), SANGUB DA-BANG(commercial tea-room ; the place that makes money.) 3) Considering early MUNWHA DA-BANG, we can regard the beginning of korea interior architecture as 1920's. 4) The decline of DA-BANG is due to the increase of vending machine, expensive tea, costly rent, employee's dear wages and customer's needs that pursues westernization and convenient life as well as the moodof more comfortable tea-room(for example, fresh air, agreeable mood etc.).

  • PDF

안확의 '조선' 연구와 문명의 발견 (An Hwak's Study on Joseon and the Discovery of Civilization)

  • 이행훈
    • 한국철학논집
    • /
    • 제52호
    • /
    • pp.213-241
    • /
    • 2017
  • 1920년대 조선사편수회를 비롯해 조직적으로 진행된 일제의 조선사 연구는 조선의 식민화를 영구화하려는 획책이었다. 3 1운동 이후 일제가 내건 문화정치 3대 방안 가운데 하나인 '민족성 개조'도 조선의 역사성을 외래성과 식민성, 당파성과 미개성으로 낙인찍은 식민주의의 소산이었다. 이에 저항하는 조선인의 연구는 조선의 고유성과 독자성을 증명하는 전통의 창조로 나아갔다. 1920년대 들어 활발해진 고대사 연구는 식민 현실을 외면하고 관념화된 과거의 역사 기억으로 도피하는 게 아니라 한민족의 역사를 새롭게 구성하는 일이었다. 이때 단군은 민족 공동의 시원으로서 문화적 동일화를 이끌며, 발명된 민족의 정체성은 상처 입은 주체를 치유하는 것이었다. 신화를 역사의 일부로 이끌어 오는 일련의 시도는 안확에서도 발견된다. 조선의 민족성을 서구 문명국가와 비교해도 우수한 장점을 지닌 것으로 표명하였고, 조선 문화의 특수성과 정체성을 보편 문명사로 정립하는 방대한 기획은 "조선문명사"로 나타났다. 조선 민족의 특수성과 정체성을 규명하는 문화 연구와 조선 민족의 저력을 드러낸 통사 기술은 과거 역사 속에 명멸했던 다양한 주체들을 동일한 역사를 공유하는 단일한 민족으로 상상하게 했다. 안확의 조선 연구는 일제의 식민사관에 대한 저항이자 민족적 자각을 통한 웅비를 염원하는 것이었다. 그는 민족주의적 관점을 견지하면서도 자유와 자치, 자율과 이성 위에 선 개인을 문명과 문화를 만드는 주체로 설정함으로써 국가이데올로기로 고착된 일본의 문화사와 길을 달리 했다.

<위대한 개츠비>에서 만난 문학과 영화의 융합 - 컴퓨터 그래픽이 미치는 영향 (The Convergence of Literature & Movie in - The Impact of Computer Graphics)

  • 최선화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7권4호
    • /
    • pp.121-127
    • /
    • 2017
  • 1920년대를 다룬 피츠제럴드의 소설 "위대한 개츠비"를 루어먼은 2013년 영화로 재현하고 있다. 소설에서는 독자가 플롯을 통해 자신의 상상력으로 이야기의 흐름을 파악해야 하지만, 영화 는 소설의 요소에 시청각적인 효과를 융합시키고 있다. 데이지는 패션의 아이콘으로 그녀가 입고 있는 프라다, 샤넬, 그리고 티파니 같은 보석은 재즈 시대의 의상을 현대적인 감각으로 재현하여 관객들에게 볼거리를 제공하면서, 내용을 더욱 잘 이해할 수 있도록 도와주고 있다. 또한 영화에서 시사하고 있는 "재의 계곡", "초록 불빛", "이스트 에그", "웨스트에그"와 같은 그 지역이 주는 상징들은 좀 더 직접적이다. 컴퓨터 그래픽으로 만들어진 개츠비 대저택에서 주말마다 열리는 광란의 파티는 정신적인 혼란과 물질적인 풍요라는 시대적인 분위기를 잘 반영해 주고 있다. 여기에 배우들의 명연기가 소설의 주제를 잘 부각시켜줌으로서 영화로의 융합은 소설을 좀 더 대중적인 예술로 승화시키고 있다. 이러한 것들을 인터넷 자료를 통해 좀 더 체계적으로 살펴본다.

1945년 이전 여성잡지 표지화에 나타난 인체미 분석 (Analysis of the Aesthetics of the Human Body Portrayed in Front Cover of Women's Magazines Prior to 1945)

  • 이순재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30권12호
    • /
    • pp.1737-1746
    • /
    • 2006
  • 본 연구의 목적은 1945년 이전 여성지 표지화에 나타난 실제자료를 발굴 제시하고 이미지를 분석하여 그 시대가 요구하던 미적 이상형을 밝히고자 하는데 있다 이 시기는 근대성 이 성립되기 시작하는 기원의 공간으로 주목받고 있는 동시에 외세의 시선으로 타자화 되고 왜곡된 전통이라는 의심을 받고 있기도 하다. 미적인 이상형은 의복디자인을 통하여 도달하고자 하는 목표이기도 하기에 의류학 연구자들의 지속적인 관심분야이며 그림으로 표현된 인체는 사진의 사실성 보다 더 뚜렷하게 인물의 특성을 강조하여 표현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이러한 특성을 확인할 수 있는 국립도서관 귀중본 서고와 잡지정보도서관의 소장 자료 원본86점을 바탕으로 실증적 연구와 문헌연구를 병행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1920년대 이전에는 외세에 의해 폭력적으로 추진되는 개방에 대한 반감으로 오히려 전통을 고수하려는 경향이 있었다. 1920년대에는 선전 등 전시회에 의하여 그림이 불특정다수에 의하여 감상되는 근대적 문화현상으로 정착되고 일본의 미감에 의한 영향이 뚜렷하게 나타났다. 1930년대에는 서양 영화가 일반 대중들에게 오락으로 자리하게 되고 서구화된 인물을 이상형으로 생각하며 지성미가 미인의 조건으로 요구되기 시작하였다. 1940년대에는 37년부터 심화된 전쟁과 물자부족으로 모성과 건강한 자연미를 의도적으로 권장하였으며 이에 대한 반발로 의고미(疑古美)가 대두되었다.

1920∼1930년대 서울지역 전통주거의 근대적 특성에 관한 연구 - 박길룡의 '중부지방가구법'에 대한 '주택개량론'을 토대로 - (A Study on the Modernity Characteristics of the Traditional Housing in Seou1 1920s∼1930s - Based on 'Housing Improvement Theory' on 'the Housing Plan of the Middle Area of Choseon' by Park, Kil-Ryong -)

  • 박형진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13권6호
    • /
    • pp.99-106
    • /
    • 2004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modernity characteristics of the traditional housing in Seoul 1920s to 1930s setting the criterion for analyses based on a Korean architect, Park, Kil-Ryong 'Housing improvement theory' about 'the Housing Plan of the Middle Area in Choseon'. The architect Park, Kil-Ryong expressed 'Housing Improvement Theory' positively founded on having a deep knowledge of traditional architecture. At his early working stage in 1928, he announced 'Housing Improvement Theory' about 'the Housing Plan of the Middle Area in Choseon' from the paper titled 'An Inquiry into the Housing of the Middle Area in Choseon', It is inferred that his paper quite affected the modern changes of traditional housing of those days. As the results of the study, even though the main floored room still keeps the symbolical and central position in traditional housing, the size of that is designed to be smaller than before. The room on the opposite side is generally designed widely as the scope more than 2 'KAN' and shows the features of expansion and division according to functions. By interchanging the location of the kitchen, the inner room as the main living space souths in the front of the house. The kitchen is designed as fitting size and separated from the space of working, linking, setting the table, keeping things and others. The bathroom is built in the house and then connected to the corridor. Each space is effectively planned for the best location in the house as considering lightening and ventilation.

1920-30년대 현모양처에 관한 연구 -현모양처의 두 얼굴, 되어야만 하는 ‘현모’ 되고 싶은 ‘양처’ (Discourse on ‘Wise Mother and Good Wife’ in the 1920′s-1930′s Women′s Ambivalence about the Roles of Wise Mother and Good Wife -)

  • 전미경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22권3호
    • /
    • pp.75-93
    • /
    • 2004
  • This study examined discourses on “wise-mother and good-wife” in the 1920s - 1930s by analyzing the magazine “Shinyeosung.” This study found the following: 1 “Wise-mother and good-wife” was the ideal type for the “new women” during the colonial period. Hut the role of a mother was far more important than that of a wife. 2. The dominant discourse at the time was that the “genuine” new woman was defined by her motherhood, and she could not have a job because raising children was the most Important task for her. Hut in fact, new women wanted to be a wife through free love and marriage. They wished to be a good-wife in the “new (modern) family” for their loving husbands. 3. The Ideas of “wise-mother” and “good-wife” arose from disparate backgrounds. A woman had to nurture her maternal aptitudes; but had to suppress her passion for free love and marriage. Although she had to learn Western methods of bringing up children instead of the traditional one, she was expected to practice traditional virtues of a wife, not Western attitudes. The role of a mother was decided by experts, but that of a wife was decided by husbands. The function of a good-wife was merely a clever handling of her husband, whereas the function of a mother was considered to require professional knowledge. 4. New women could differentiate themselves from “old women” through the roles of wise-mother and good-wife; nonetheless, those roles were forced by society. They did not have any other viable choices.

Research on the Effect of High-Rise Commercial Building Construction on Land Value of Shanghai in the 1920s

  • Sun, Le
    • 국제초고층학회논문집
    • /
    • 제5권2호
    • /
    • pp.145-154
    • /
    • 2016
  • When the tall office building first appeared in the street of Chicago in the end of Nineteenth Century, this building type has become a commodity in the development of real estate and been defined as a machine that makes the land pay. With the investigation of land price samples of the high-rise commercial buildings and the overall land price development in the central district of International Settlement in Shanghai, this paper tries to examine the site selection and construction of high-rise commercial buildings have important positive effect on the land value development.

A Study on the Clothing of Art Nouveau and Art Deco through Cinema Costume: Focusing on The Wings of the Dove and The Great Gatsby

  • Yun, Ji-Young
    • International Journal of Costume and Fashion
    • /
    • 제6권1호
    • /
    • pp.71-83
    • /
    • 2006
  • This study is about how Art Nouveau and Art Deco clothing are represented in the costume design of film created after those periods and examines the recreation process of visual media. The costume design of The Wings of the Dove tried to reflect the mixture of fashion trends that could be seen during the times. Milly???s clothes seem to focus on recreating the special features of the 1900???s fashion trends more visually while Kate???s clothes are represented in a strong and simple way to emphasize her personality. The costumes in The Great Gatsby, tried to reinvent the 1920???s clothes in a romantic way. Daisy???s and Gatsby???s costumes were based on the aesthetics of the 1920???s clothing. but emphasized the symbolic nature of the characters to give a greater dramatic effect. By analyzing and comparing, it can be seen that, while costume design usually begin with painstaking research into the historical period in which the film is set it is often altered to highlight aspects of the story. such as the theme and the characters, in an effort to create a stronger dramatic effect. Costume design remains one of the most effective means for a director to visually express the personality and desires of a film???s characters. The ideal aim of costume design is to create something new but at the same time, remain true to the period by being grounded in accurate research.

강철관(鋼鐵管) 가구디자인에 관한 연구 -1920년대부터 1930년대 디자인을 중심으로- (A study of tubular steel Furniture -Focused on the chair design in $1920s{\sim}1930s$-)

  • 오세자
    • 한국가구학회지
    • /
    • 제17권3호
    • /
    • pp.57-68
    • /
    • 2006
  • Most of all furniture had been produced from wood, because it is easy to obtain from our surroundings. As time goes by people want to decorate their house with new material furniture. Because it is outcome from development of material technology & industrialization. Furniture design trends of twenty century are not only the fruits of great talented furniture artists but also high-tech material engineers. In this study, I deal with a tubular steel, as an one of the most important material of furniture, and also tubular steel furniture manufactured by a cantilever method. This study researches what are special features of it, how can designers utilize it to furniture and how do they conquest defects of the material such as a sensation of coldness, hardness and so on. In this context, It is possible that create not only new shape of furniture but also new style of space through new technology innovation.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