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mplementation of PEO

검색결과 2건 처리시간 0.018초

리튬 및 프로톤 전도성 고분자전해질을 사용하여 제작한 Electrochromic 창의 전기 및 광학적 특성 (Electrical and Optical Properties of Electrochromic Window with Both Lithium and Proton Conducting Polymer Electrolytic Media)

  • 박성용;이철환;김형선;조원일;조병원;윤경석;안춘호;우경근
    • 한국표면공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46-54
    • /
    • 1995
  • An electrochromic(EC) cell was constructed using $WO_3$ as a electrochromic material and NiO as a counter electrode, deposited onto ITO-coated glass by the implementation of electron beam evaporation. The electrolytic media were both lithium and proton conducting polymers such as poly-acrylonitrile(PAN)-$LiClO_4$, poly-ethylene oxide(PEO)-$LiClO_4$, poly-vinyl butyral(PVB)-LiCl and PVB-H$_3$$PO_4$. Potentiodynamic cycling of the cells using PAN-$LiClO_4$, or PVB-$H_3$$PO_4$ electrolyte yielded a transmission variation of more than 40% at the wavelength of 632.8 nm within less than 10 sec response time at room temperature.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se electrolytes, transparent in gel type, are premising for the application in large area electrochromic windows.

  • PDF

한국공학교육인증의 '프로그램 교육목표' 달성을 위한 평가 모형 개발 (Development of Evaluation Model for achieving the Program Educational Objectives in KEC2005)

  • 김명랑;윤우영;김복기
    • 공학교육연구
    • /
    • 제11권2호
    • /
    • pp.42-49
    • /
    • 2008
  • 한국공학교육인증원의 첫 번째 인증기준인 ‘프로그램 교육목표’는 두 번째 인증기준인 ‘프로그램 학습성과 및 평가’에 비해 용어로서의 익숙함은 있으나, 실제 실천 방안이나, 인증평가를 위한 준비에 대한 이해는 부족하였다. 심지어 용어의 익숙함으로 인해 오히려 인증기준에 적절하지 않고 측정 가능하지 않은 추상적인 어휘를 사용하여 교육목표를 설정하여 인증평가 시 부족사항으로 지적 받는 경우도 있었다. 본 연구는 인증에서 요구하는 성과중심과 수요자중심 교육의 철학을 만족하고, 교육프로그램의 지속적인 개선이 가능하도록 ‘프로그램 교육목표’에 대한 실천방안과 인증평가 준비에 대해 모형을 갖춰 제시하고자 한다. 본 모형은 ‘프로그램 교육목표’ 기준의 5가지 하위 세부기준을 분석하여 이들도 모두 만족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그러므로 각 프로그램은 본 모형을 적절히 이용하여 자신들만의 특성화를 이룩할 수 있으며, 부차적으로 교육목표에 대한 인증평가도 무난히 준비할 수 있으리라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