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mpact-echo test

검색결과 48건 처리시간 0.026초

충격반향시험에 의한 콘크리트 터널 라이닝 내부결함 및 두께 조사 (Inspection for Internal Flaw and Thickness of Concrete Tunnel Lining Using Impact Echo Test)

  • 김영근;이용호;정한중
    • 터널과지하공간
    • /
    • 제7권3호
    • /
    • pp.230-237
    • /
    • 1997
  • As concrete structure is getting old and decrepit, its inspection and diagnosis is getting important.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estimate the soundness of structure using non-destructive tests for effective repairs and maintenances. But, applications of non-destructive tests in tunnel have been used restrictively, due to accessibility only from one side in tunnel lining and presence of tunnel installations. Recently, the various non-destructive techniques have been studied. Especially, ground penetrating radar(GPR) and impact echo (IE) methods have been researched for tunnel inspection. In this study, the applicability of impact echo test in tunnel lining inspection has been investigated. This paper described the tunnel inspection for lining thickness and internal flaw using impact echo tests. Model tests were carried out using impact echo test systems on two concrete models, Model I is measuring for lining thickness, Model II is detecting for internal flaw. Also, the test were applied for lining inspections in a tunnel constructed by NATM. From the results of impact echo tests, we have concluded that impact echo test is a very useful and effective technique for inspecting the concrete tunnel linings.

  • PDF

충격반향기법을 이용한 국도상 노후교량의 결함검사 (Flaw Detection of the Aged Bridge on National Roadway by Impact Echo Testing)

  • 유재열;김기봉;정영수;조성호
    • 한국콘크리트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크리트학회 1998년도 가을 학술발표대회 논문집(III)
    • /
    • pp.743-748
    • /
    • 1998
  • As nation's infrastructure is getting old, nondestructive evaluation of existing structures and construction quality control are getting important. In this thesis, flaw detection techniques of concrete members with asphalt using impact echo test were introduced. This techniques are based on stress wave propagation. In this field impact echo test, As load is gradually increased, frequency is increased. From this change of frequency through impact echo test, we can detect that the crack of bridge ascends and what the depth of crack is.

  • PDF

충격반향기법의 신뢰성 향상을 위한 탄성파 파동전파 특성의 연구 (Investigation of the Stress-Wave Propagation In Improve the Reliability of the Impact-Echo Method)

  • 조미라
    • 콘크리트학회논문집
    • /
    • 제14권2호
    • /
    • pp.266-274
    • /
    • 2002
  • 콘크리트 구조물 또는 조적식 구조물을 비파괴적으로 평가하는 충격반향시험은 타 기법과 비교하였을 때, 현장 적용면에서 탁월하게 우수하며, 그 신뢰성도 매우 높게 평가되고 있다 그러나 경우에 따라서 충격반향기법은 낮은 신뢰성을 나타내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충격반향기법의 신뢰성을 수치해석에 의해 검토하였다. 유한요소해석 및 이론을 근거로 하는 동강성행렬법을 이용하여 균질한 강성구조 깊이에 따라 증가 또는 감소하는 전단강성구조, 샌드위치형 전단강성구조 등 대표적 유형의 전단강성구조를 가지는 콘크리트 터널벽체에 대해 충격반향실험의 수치 모사를 수행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충격반향기법의 실험자료 분석 및 해석에 있어서 보다 신뢰성 있는 결과 도출을 위한 제언을 하였다.

Accuracy Enhancement of Reflection Signals in Impact Echo Test

  • Lho, Byeong-Cheol
    • 콘크리트학회논문집
    • /
    • 제15권6호
    • /
    • pp.924-929
    • /
    • 2003
  • A majority of infrastructures has been deteriorated over time. Therefore, it is very important to verify the quality of construction, and the level of structural deterioration in existing structures, to ensure their safety and functionality. Many researchers have studied non-destructive testing (NDT) methods to identify structural problems in existing structures. The impact echo technique is one of the widely used NDT techniques. The impact echo technique has several inherent problems, including the difficulties in P-wave velocity evaluation due to inhomogeneous concrete properties, deterioration of evaluation accuracy where multiple reflection boundaries exist, and the influence of the receiver location in evaluating the thickness of the tested structures. Therefore, the objective of this paper is to propose an enhanced impact echo technique that can reduce the aforementioned problems and develop a Virtual Instrument for the application via a thickness evaluation technique which has same technical background to find deterioration in concrete structures. In the proposed impact echo technique, transfer function from dual channel system analysis is used, and coherence is improved to achieve reliable data. Also an averaged signal -ensemble- is used to achieve more reliable results. From the analysis of transfer function, the thickness is effectively identified.

토목공학 분야에서의 충격반향법의 응용 (Application of Impact Echo Method to Civil Engineering Fields)

  • 정연문;하희상
    • 지구물리와물리탐사
    • /
    • 제3권3호
    • /
    • pp.94-100
    • /
    • 2000
  • 금속 물체의 내부 상태를 조사하기 위하여 사용되고 있는 여러 가지 비파괴 조사법들은 콘크리트 재료의 불균질성으로 인하여 콘크리트 물체에의 적용에는 한계가 있다 충격반향법은 물성의 변화가 존재하는 경계면이나 결함 부위에서 반사되는 탄성파의 공진 주파수를 이용하는 비파괴 조사법으로서 콘크리트 구조물의 내부 상태를 파악하기 위하여 활용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충격반향법의 현장 적용을 위한 자료획득 시스템을 구축하였고 여러 가지 조건하에서 현장 시험을 수행하였다. 콘크리트 구조물의 두께 및 결함, 공동 존재 여부, 옹벽 뒷채움 상태와 터널 라이닝의 두께 및 결함, 그리고 활주로의 포장 두께 및 결함등의 조사를 위하여 충격반향법을 적용하였다. $10\%$ 이하의 오차 범위내에서 결과를 제공함으로써 충격반향법의 토목분야에서의 활용 가능성이 입증되었다.

  • PDF

임팩에코 응답신호를 적용한 건설재료 비파괴 압축강도 산정 (Nondestructive Assessment of Compressive Strength of Construction Materials Using Impact-Echo Response Signal)

  • 손무락;김무준
    • 한국지반환경공학회 논문집
    • /
    • 제18권8호
    • /
    • pp.17-21
    • /
    • 2017
  • 본 논문은 암석 및 콘크리트 등의 건설재료의 비파괴 압축강도를 산정하기 위하여 재료타격 시 발생하는 임팩에코 응답신호를 모두 측정하고 이를 누적한 전체 사운드 신호에너지의 이용성에 관해 파악하고 그 결과를 제시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이를 위해서 타격장치를 고안하였고 이를 이용하여 재료를 회전 자유낙하에 의해 초기 타격토록 하고 이후 반발작용에 의한 반복타격이 소멸될 때까지 발생할 수 있도록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서로 다른 강도를 가지도록 배합된 콘크리트 시편에 대하여 실험을 실시하고 임팩에코 응답신호를 측정하였다. 시편별 산정된 전체 사운드 신호에너지는 직접압축강도시험을 통한 시편별 압축강도와 상호 비교하였다. 비교결과, 임팩에코 응답신호를 통해 산정된 전체 사운드 신호에너지는 시편의 직접압축강도와 직접적인 관계가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이를 통해 암석 및 콘크리트 등의 건설재료의 압축강도는 재료타격 시 발생하는 임팩에코 응답신호로부터 산정된 전체 사운드 신호에너지를 이용하여 비파괴적으로 산정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반발 경도법 및 충격반향기법을 이용한 콘크리트 슬래브의 압축강도 비교에 관한 연구 (A Study Using Rebound Method and Impact Echo Method for the Comparison of the Compressive Strength of Concrete Slab)

  • 홍성욱;조영상
    •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논문집
    • /
    • 제12권3호
    • /
    • pp.199-207
    • /
    • 2008
  • 최근 구조물이 노후화되면서 기존 구조물과 시공품질을 관리하는 비파괴검사 평가의 요구가 증가되고 있다. 콘크리트 구조물의 압축강도 추정의 중요성이 건설업계에서 또한 점차적으로 증대되고 있는 실정이고, 시공관리와 품질관리에 있어서 중요한 요소이다. 본 연구는 콘크리트의 압축강도를 비교하기 위한 비파괴 검사법 중 슈미트해머 시험과 충격반향기법을 이용하여 수행되었다. 콘크리트 압축강도와 슈미트해머에 의한 반발경도 값과 충격반향기법 실험결과와의 관계를 알아내는데 초점을 두었으며, 콘크리트의 압축강도와 반발경도 값은 밀접한 관계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화해된 콘크리트의 잔존 강도 평가에 있어서 충격-반향 기법의 적용성 (Applicability of Impact-Echo Method for Assessment of Residual Strength of Fire-Damaged Concrete)

  • 신성우;김승용;김정수
    •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논문집
    • /
    • 제17권5호
    • /
    • pp.105-112
    • /
    • 2013
  • 이 연구에서는 화해된 콘크리트의 잔존 강도 평가에 있어서 충격-반향 기법의 적용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화해를 모사하기 위해 콘크리트 실험체에 대한 표준 화재 온도 가열 시험을 실시하고, 화해된 콘크리트 실험체에 대해 충격-반향 응답 실험 및 압축 강도 실험을 실시하였다. 화해된 콘크리트의 충격-반향 응답 특성과 압축 강도의 잔존 특성을 분석하였으며, 또한 충격-반향 응답으로부터 구한 초음파 속도와 잔존 압축 강도와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화해된 콘크리트의 초음파 속도를 충격-반향 기법으로 신뢰성 있게 계측할 수 있으며, 또한 잔존 강도 평가에 충격-반향 기법을 유효하게 적용 가능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충격반향기법에서의 휨 모드 및 두께 모드의 영향인자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Influence Factors on Flexural and Thickness Modes in the Impact-echo Test)

  • 오태근;박종일;변요셉;이영학
    • 한국전산구조공학회논문집
    • /
    • 제28권6호
    • /
    • pp.659-666
    • /
    • 2015
  • 본 논문에서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층상박리균열 위에서의 손상탐지에 효율적인 충격반향기법에 대해 영향을 끼치는 다양한 영향요소들에 대한 분석을 수행하였다. 충격반향기법에서의 균열 가시화를 위해 층상박리균열위의 동적거동 및 두께를 나타내는 휨 모드 및 충격반향모드(두께 모드)에 영향을 끼치는 균열의 폭/두께(a/h) 비, 균열위의 상대적 가진 점, 측정 점의 위치 등의 시험설정 변수 등을 매개변수적 유한요소해석을 통하여 조사하였다. a/h비는 2보다 클 경우 휨 모드가 지배적이었으며 작을 경우 두께 모드가 지배적이었다. 또한 가진 점, 측정 점 중 어느 하나만 균열 위에 존재할 때도 휨 모드가 지배적이었으며 균열 밖의 범위의 건전한 영역에는 가진 점, 측정 점이 모두 위치하여야 두께 모드가 지배적이었다.

박리된 콘크리트의 진동 모드 형상을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 박리 손상 영역 가시화 (II) : 충격-반향 시험 (Visualization of Delamination Region in Concrete Structures using Mode Shapes of Delaminated Concrete Section (II) : Impact-Echo Test)

  • 오태근;신성우
    • 한국안전학회지
    • /
    • 제28권6호
    • /
    • pp.36-41
    • /
    • 2013
  • Previous study showed that delamination region in concrete structures can be successfully visualized using mode shapes of delaminated concrete section. However, modal tests for this purpose to obtain mode shapes of the delaminated concrete section may not be applicable in practice since, to correctly obtain the mode shapes of the section, the location and the shape of the delamination region in a structure should be known in advance. Unfortunately those are normally unknown in a real structure. Therefore, a moving forward test method may be useful to obtain the mode shapes of the concrete section when the location and the shape of the delamination region are not known. In this study, impact-echo testing based mode shape estimation technique is proposed and experimentally validated for visualization of delamination reg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