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mmuno-stimulating activity

검색결과 45건 처리시간 0.035초

참당귀로부터 분리한 다당의 면역증진 활성과 항전이 활성 (Immuno-stimulating and anti-metastatic activities of the polysaccharides isolated from Angelica gigas)

  • 손승우;신광순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53권3호
    • /
    • pp.304-312
    • /
    • 2021
  • 참당귀로부터 열수추출 및 에탄올 침전법을 이용해 조다당을 분리하고 DEAE-Sepharose FF와 Sephadex G-100을 이용하여 얻은 정제 다당 AGE-2c-I을 대상으로 선천 면역 활성 및 항종양 전이 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인체의 초기 면역 반응에 있어 중추적인 역할을 수행하는 보체계 활성화 및 활성화 경로를 확인한 결과, AGE-2c-I은 운지버섯 유래 시판 면역증강제인 PSK에 준하는 우수한 활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본 활성은 주로 고전경로를 통하여 활성화되며 일부 부경로를 경유하는 것으로 최종 확인되었다. 또한 AGE-2c-I은 mouse 복강 유래 대식세포에 대해 직접적인 독성을 나타내지 않으며 종양세포주 YAC-1 및 B16BL6에 대한 직접적인 독성 또한 나타나지 않음을 확인함으로써 시료의 직접적인 독성에 근거한 항암 효과는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반면에 비장으로부터 분리한 림프구는 8 ㎍/mL의 AGE-2c-I 처리에 의해 증식능이 관찰되었다. AGE-2c-I이 대식세포의 cytokine 분비능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한 결과, 우수한 IL-6, IL-12 및 TNF-α 분비능을 보였으며 시료를 200 ㎍ 및 1,000 ㎍의 고농도로 처리한 실험군에서 IL-10이 분비된 것으로 보아 AGE-2c-I은 immune-stimulator의 역할뿐만 아니라 immune-suppressor로서의 작용 또한 가능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한편 종양 및 암세포에 대하여 직접적인 살해 활성을 나타내는 NK cell 활성을 확인한 실험에서는 농도 의존적인 종양 세포 살해능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100 ㎍/mouse 농도에서 NC 대비 약 1.5배 높은 NK cell 활성을 나타냈을 뿐만 아니라, 폐에 대한 고전이성 종양세포주인 B16BL6 melanoma 세포를 이용한 실험동물 종양 전이 모델에선 100 ㎍/mouse 농도로 처리한 실험군이 NC 대비 58%의 colony가 감소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상의 결과로 부터 참당귀 유래 RG-I 구조의 다당은 높은 선천면역계 자극 활성, 특히 보체계, 대식세포, 림프구 증식, NK cell의 활성화를 통해 우수한 항종양 전이 효과를 갖는 것으로 최종 확인되었으며 건강기능성식품 소재로의 개발가치가 우수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Immuno-stimulatory Effects of Sulfated Polysaccharides Isolated from Codium fragile on Interleukin-1β Gene Expression in Olive Flounder, Paralichythys olivaceus

  • Yang, Yong;You, Sang Guan;Hong, Suhee
    • 한국해양생명과학회지
    • /
    • 제2권1호
    • /
    • pp.7-11
    • /
    • 2017
  • Sulfated polysaccharides are known to be immune-stimulators in mammals and can be used as food additives to enhance immunity. In this study, the immune-stimulating activity of water-soluble anionic macromolecules F2 fractionation isolated from Codium fragile using ion-exchange chromatography was tested in olive flounder, Paralichythys olivaceus, in vitro and in vivo. The gene expression of interleukin (IL)-1β was adopted to check the immune-affection. As a result, in vitro study revealed that the expression of IL-1β was significantly upregulated in head kidney cells by 1 and 5 ㎍/ml of polysaccharides 4 h and by 5 ㎍/ml of polysaccharides at 24 h. In vivo, IL-1β gene expression in head kidney was significantly upregulated by 20 and 100 ㎍ of the polysaccharides at day 1 post-i.p. injection, while downregulated at day 3 but not significant. Meanwhile, in peritoneal cells, it was upregulated by 20 ㎍ of the polysaccharides at day 1 but the upregulation was sustained until day 3 though it was not significant.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sulfated polysaccharides from C. fragile are an immune-stimulator and might be potential feed additives for olive flounder.

참죽나무 잎 추출물의 생리활성 (Physiological Activities of Extracts of Cedrela sinensis leaves)

  • 신희준;전영진;신현재
    • KSBB Journal
    • /
    • 제23권2호
    • /
    • pp.164-168
    • /
    • 2008
  • 본 연구를 통하여 요즘 기능성 측면에서 관심을 끌고 있는 참죽나무 잎의 열수추출물과 유기용매 추출물을 이용하여 항산화능과 면연증강능을 확인하였다. 열수 추출물의 총 폴리페놀 함량은 46.5-59.6 mg/100 g으로 유기용맹 추출물보다 그 수치가 더 높았다. 열수 추출물과 유기용맹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은 2,2-diphenyl-picryl-hydraryl (DPPH) radical 소거활성으로 6-33%로 기준물질보다 낮은 값을 나타내었다. 참죽나무 잎 추출물의 면역증강능을 확인하기 위하여 박테리아 감염에 대항하는 숙주방어체계에 필요한 NO 생성능을 확인하였다. 열수 추출물은 마크로파지 세포주인 RWA 264.7의 NO 생성을 증가시켰다. 그러나 유기용매추출물은 별다른 변화를 가져오기 않았다. 항염효과를 증명하기 위하여 인지질다당류 (LPS) 유발 NO생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여, NO 생성을 억제하는 것을 증명하였다. 즉, 면역증강능의 확인 실험을 통하여 참죽나무 잎의 열수추출 분획에 대식세포의 활성을 증가시키는 성분이 포함되어 있고, 유기용매 추출 분획에서는 대식세포의 활성을 감소시키는 성분이 포함되어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이상과 같은 결과를 미루어 보았을 때, 참죽이 한 가지 식물인데도 불구하고 유효 성분에 대한 추출 방법에 따라 상이한 면역 증강 및 항균, 항염 작용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금선련 조직 배양체 추출물의 멜라닌 합성 및 지방축적 억제 효과 (Inhibitory Effect of Jewel Orchid (Anoectochilus Formosanus) Plantlet Extract against Melanogenesis and Lipid Droplet Accumulation)

  • 박창민;정민석;백기엽;최종완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36권2호
    • /
    • pp.145-150
    • /
    • 2010
  • 일반적으로 보석란으로 알려진 금선련은 대만에서 폐나 간의 질병 및 발열이나 두통 치료를 위한 전통식물약제로 사용되어 왔다. 본 연구에서는 생물반응장치를 이용하여 조직배양된 금선련 식물체에 대하여 화장품 성분으로써 응용 가치를 평가하였다. 이미 몇몇 보고 된 논문에서 금선련은 항암활성, 면역 활성, 간 보호 활성 및 지질대사의 약리학적 활성 등에 대한 연구가 되고 있지만 화장품 성분으로 효능들에 대한 연구는 알려져 있지 않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생물반응장치를 이용하여 조직배양된 금선련 추출물에 대하여 미백 및 항비만 관련한 효능 효과를 평가하였다. 실험 결과 조직배양된 금선련 추출물은 tyrosinase 활성 및 멜라닌 합성 억제 효과뿐만 아니라 지방 전구 세포의 지방세포로의 분화를 억제시킴으로써 세포 내 지질 축적을 억제하였다. 이러한 결과들은 피부보호를 위한 화장품 성분으로서 응용 가능성을 제공 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꽃송이버섯 기부의 성분분석 및 면역활성 (Component analysis and immuno-stimulating activity of Sparassis crispa stipe)

  • 서승호;박성은;문양선;이유미;나창수;손홍석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8권5호
    • /
    • pp.515-520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꽃송이버섯 자실체와 기부의 항산화 활성, 베타글루칸 함량 및 면역 활성을 비교하였다. DPPH 라디컬제거능 실험결과 꽃송이버섯 기부의 항산화 활성이 자실체에 비해 약 2.3배 높은 활성을 보였다. 건조 중량 기준 꽃송이버섯 추출물의 베타글루칸 함량 또한 기부가 23.7 g/100 g로 자실체의 함량 13.8 g/100 g보다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측정되었다. 면역 저하에 대한 꽃송이버섯 추출물의 투여는 $TNF-{\alpha}$, IL-2, IL-10, IgE 함량에서 유의미한 결과를 도출하였지만, 자실체와 기부의 효과는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혈액 내의 백혈구 함량 및 비장의 무게는 꽃송이버섯 자실체보다 꽃송이버섯 기부 추출물을 경구 투여한 실험군에서 효과적이었다.

노루궁뎅이(Hericium erinaceus) 자실체 추출 조다당류의 생쥐 Sarcoma 180에 대한 면역증강 및 항암 효과 (Immuno-stimulating and Antitumor Effects on Mouse Sarcoma 180 by Crude Polysaccharides Extracted from Fruiting Body of Hericium erinaceus)

  • 최연일;이재성;이우윤;이태수
    • 생명과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623-631
    • /
    • 2010
  • 노루궁뎅이는 담자균문, 민주름버섯목, 산호침버섯과에 속하는 식의약용버섯으로 예로부터 위궤양이나 위암의 치료에 효과가 있으며 생쥐의 Sarcoma 180과 Ehrlich Sarcoma에도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왔다. 노루궁뎅이의 자실체로부터 중성염용액, 열수 및 메탄올 등을 이용하여 조다당류를 추출하고 ICR mice에 주사하여 항암 및 면역증강 효과를 조사하였다. Sarcoma 180, HepG2, HT-29, NIH3T3 등의 세포에 대한 세포독성을 조사한 결과 $10{\sim}2,000\;{\mu}g/ml$의 조다당류 농도에서 각각의 암세포는 세포독성을 거의 나타내지 않았다. Sarcoma 180으로 접종된 ICR mouse에 자실체에서 추출한 각각의 조다당류를 투여한 실험군은 대조군에 비해 수명이 각각 29.1~54.1% 연장되었다. 노루궁뎅이 자실체를 중성염 용액으로 추출한 조다당류는 $50\;{\mu}g/ml$의 농도에서 비장세포의 수를 2.9배 증가시켰으며 또한 중성염 추출 조다당류를 $200\;{\mu}g/ml$의 농도로 투여한 실험군 생쥐의 B 임파구 alkaline phosphatase의 활성은 대조군에 비해 5.5배의 증가하였다. 중성염 용액 추출 조다당류를 50 mg/kg body weight의 농도로 투여한 실험군 생쥐의 총 복강 세포 수와 백혈구의 수는 대조군에 비하여 각각 4배와 2.3배로 증가하였다. 또한 면역 관련 장기인 간, 비장 및 흉선의 체중에 대한 무게 비율은 대조군에 비하여 유의성을 보이지 않았다. 따라서 노루궁뎅이의 자실체에서 추출한 조다당류는 생쥐의 면역을 증강시키고 생쥐의 Sarcoma 180에 대해 항암효과를 나타내었다.

눈꽃 동충하초의 약물활성 (Pharmacological Activities of Paecilomyces japonica, A New Type Cordyceps sp.)

  • 심진영;이연실;임순성;현진이;김성연;이은방;신국현
    • 생약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163-167
    • /
    • 2000
  • Cordyceps is reputed for its broad biological activities and as a tonic for replenishing vital function in Chinese traditional medicines. As an attempt to obtain fundamental data for the development of a new type Cordyceps, the effects of the fruiting bodies of cultivated fungus of Paecilomyces japonica grown on silkworm larvae on hyperglycemia induced by streptozotocin(STZ) and by epinephrine in rats and in mice as well as on immunological functions in mice were investigated. The 70% methanol extract of the fungus, when administered orally at 100 and 300 mg/kg in STZ-induced hyperglycemic rats, caused a significant decrease in blood glucose level 3hr after sample treatments. The methanol extract, when administered p.o. at the same dose levels in epinephrine-induced hyperglycemic mice, also caused a significant decrease in serum glucose levels as well as a significant reversal of the liver glycogen contents suggesting its hypoglycemic activity might be due to glycogen breakdown in the liver. Treatment of normoglycaemic mice with the methanol extract of the fungus exhibited a significant glucose tolerance up to 3hr after oral glucose load(2.0 g/kg). The methanol extract also showed immuno-stimulating activity as measured by carbon clearance in mice and a significant antifatigue effect as measured by weight loaded forced swimming performance in mice.

  • PDF

장수버섯 자실체의 열탕추출액으로부터 분리한 단백다당체의 약리적 효과 (Pharmacological Effects of Proteoglycans Extracted from Fruiting Bodies of Fomitella fraxinea)

  • 윤상홍;임재현;김양섭;김창한;조준형;황영수
    • 한국균학회지
    • /
    • 제26권4호통권87호
    • /
    • pp.511-518
    • /
    • 1998
  • 국내에 자생하는 장수버섯(Fomitella fraxinea)의 자실체에서 분리한 수용성 다당체의 약리적 효과를 검정하기 위해 본 실험을 수행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장수버섯 자실체에서 추출한 수용성 다당체는 DEAE-sephadex A-25 column chromatography에 의해 1종의 중성다당체(FF-NP)와 2종의 산성다당체(FF-AP1, FF-AP2)로 분리되었다. 3종의 다당체중 FF-AP1이 $20\;{\mu}g/ml$ 농도에서도 약리적으로 유효한 항보체 활성을 나타내었다. Clonogenic assay에 의한 9종의 인체 암세포에 대한 각 다당체의 저해효과검정에서, FF-AP1은 $500\;{\mu}g/ml$ 농도에서 인체 위암 세포주(Snu-1)에 대해 86%, FF-AP2는 동농도에서 인체 후두암(Hep-2)과 구피암(KB)에 대해 각각 71%와 77%의 생존억제율을 보여주었다. 장수버섯 자실체로부터 열수 추출한 조다당체에 대한 mouse의 급성독성 검정시험결과에서 반수치사량이 5000 mg/kg 이상이었으며, 육안이나 조직학적 관점에서 어떠한 이상도 관찰되지 않았다.

  • PDF

봉독요법(蜂毒療法)의 항염증(抗炎症) 기전(機轉) 연구(硏究)에 관(關)한 고찰(考察) (The Review on the Study related to Anti-inflammatory Mechanism of Bee Venom Therapy)

  • 최정식;박장우;오민석
    • 혜화의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141-160
    • /
    • 2006
  • The obtained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1. New findings are reporting year by year as for the study related to Anti-inflammatory mechanism of Bee Venom therapy. 2. The Anti-inflammatory effect of Bee Venom therapy is achieved through counterirritation, stimulations to adrenal cortex, immuno-regulation, antioxidation, removal of free radicals, modulation of AGP gene induction. 3. The chief components of Bee Venom related to Anti-inflammatory effect are Melittin, MCD peptide, Apamin, Adolapin etc. 4. Melittin binds to secretory phospholipase A2 and inhibits its enzymatic activity. 5. Melittin blocks neutophil O2-production. 6. MCD peptide(Peptide 401) stimulates the mast cell secrets histamine, Anti-inflammatory effect caused by this is 'conterirritation'. 7. Melittin & Apamin have an anti-inflammatory effect by inducing cortisone secretion. 8. MCD peptide & Apamin increase immunologic fuction by stimulating hypophysis & adrenal cortex and have an anti-inflammatory effect by inhibiting synthesis of prostaglandin from arachidonic acid. 9. Adolapin have an anti-inflammatory effect by inhibiting COX. 10. Bee Venom have an anti-inflammatory effect by suppressing AGP($\alpha$-acid glycoprotein). 11. Bee Venom have an anti-inflammatory effect by inhibiting NO, iNOS, PLA2, COX-2, TNF-$\alpha$, IL-1, NF-${\kappa}B$, MAP kinase.

  • PDF

동충하초 균사체 최적 성장을 위한 심부배양 조건에 따른 형태학적 변화 및 균사체 열수 추출물의 면역학적 특성 (Morphological Changes by Submerged Culture Conditions for the Mycelial Optimal Growth of Cordyceps sinensis and Immunological Properties of Hot Water Extract of Mycelium)

  • 서형주;최장원
    • KSBB Journal
    • /
    • 제25권1호
    • /
    • pp.47-54
    • /
    • 2010
  • The mycelial dispersed growth of Cordyceps sinensis was optimized in submerged batch culture at initial pH of 5.0, 150 rpm, and $25^{\circ}C$. The morphological data showed much more dispersed growth of C. sinenesis at initial pH of 5.0. Also, projected area, main hyphal length and number of tips for the mycelial growth of initial pH 5.0 were higher than those of other initial pHs. The industrial medium for mycelial production of C. sinensis was determined to be molasses of 100 g and crushed brewery yeast of 10 g per liter as carbon and nitrogen sources, respectively. With these culture conditions, the maximum production of mycelia was approximately 30.0 g per liter by batch culture in 5-liter jar fermenter with no controlled pH. This result suggests that large-scale mycelia production of C. sinensis may be possible in submerged batch culture. The hot water extract of mycelia from C. sinensis was mainly composed of 83.0% carbohydrate, 11.8% protein, 1.9% lipid, and 2.4% ash and there were present glucose, mannose, galactose, and arabinose as molar ratio of 8.79 : 2.59 : 1.34 : 1.0 in the carbohydrate, respectively. In the experiment using spleen cell and macrophage, the extract showed potent mitogenic and immuno-stimulating activities and among various components, an important factor that contribute to the immunological activities was turned out to be carbohydrate moie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