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mmune-cell

검색결과 3,164건 처리시간 0.027초

Proinflammatory Cytokine and Nitric Oxide Production by Human Macrophages Stimulated with Trichomonas vaginalis

  • Han, Ik-Hwan;Goo, Sung-Young;Park, Soon-Jung;Hwang, Se-Jin;Kim, Yong-Seok;Yang, Michael Sungwoo;Ahn, Myoung-Hee;Ryu, Jae-Sook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47권3호
    • /
    • pp.205-212
    • /
    • 2009
  • Trichomonas vaginalis commonly causes vaginitis and perhaps cervicitis in women and urethritis in men and women. Macrophages are important immune cells in response to T. vaginalis infection.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whether human macrophages could be involved in inflammation induced by T. vaginalis. Human monocyte-derived macrophages (HMDM) were co-cultured with T. vaginalis. Live, opsonized-live trichomonads, and T. vaginalis Iysates increased proinflammatory cytokines, such as TNF-${\alpha}$, IL-$1{\beta}$, and IL-6 by HMDM. The involvement of nuclear factor (NF)-${\kappa}B$ signaling pathway in cytokine production induced by T. vaginalis was confirmed by phosphorylation and nuclear translocation of p65 NF-${\kappa}B$. In addition, stimulation with live T. vaginalis induced marked augmentation of nitric oxide (NO) production and expression of inducible NO synthase (iNOS) levels in HMDM. However, trichomonad-induced NF-${\kappa}B$ activation and TNF-${\alpha}$ production in macrophages were significantly inhibited by inhibition of iNOS levels with L-NMMA (NO synthase inhibitor). Moreover, pretreatment with NF-${\kappa}B$ inhibitors (PDTC or Bay11-7082) caused human macrophages to produce less TNF-${\alpha}$. These results suggest that T. vaginalis stimulates human macrophages to produce proinflammatory cytokines, such as IL-1, IL-6, and TNF-${\alpha}$, and NO. In particular, we showed that T. vaginalis induced TNF-${\alpha}$ production in macrophages through NO-dependent activation of NF-${\kappa}B$, which might be closely involved in inflammation caused by T. vaginalis.

생쥐 난소내 Fas 및 Fas Ligand의 발현과 세포자연사 (Apoptosis and Expression of Fas nnd Fas Lignnd Genes in Mouse Ovary)

  • 윤정미;윤현숙;양현원;김세광;조동제;윤용달
    • 한국발생생물학회지:발생과생식
    • /
    • 제7권1호
    • /
    • pp.15-22
    • /
    • 2003
  • Fas는 세포자연사를 유도하는 세포 표면 수용체 단백질로서 면역계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러한 Fas mRNA는 림프조직뿐만 아니 라 비 림프조직에서도 발현한다. 한편 대다수의 난포들은 세포자연사와 연관된 기 작을 통해 난포폐쇄로 진행되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으나, 난포폐쇄에 관한 기작은 아직 규명되지 않았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먼저 생쥐의 난소의 과립세포와 난자에서 Fas와 Fas ligand의 발현 여부를 알아보고, Fas와 Fas ligand발현과 난포폐쇄와의 상관 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RT-PCR을 수행한 결과, 난소내 과립세포와 난자에서 Fas와 Fas ligand mRNA가 모두 발현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면역조직화학적 염색 결과 또한, 원시 난포를 제외한 모든 발달 중인 난포의 과립세포와 난자들에서 Fas와 Fas ligand가 검출되는 것을 확인하였고, 특히 폐쇄를 보이는 난포에서 강한 발현을 보였다. 한편, 난소에서 세포자연사를 확인하기 위해 TUNEL 염색을 수행한 결과, TUNEL 양성을 보이는 과립세포와 난자의 수는 건강한 정상 난포에 비해 폐쇄난포에서 증가하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 이상의 결과들은 난소내 과립세포와 난자에서 Fas와 Fas ligand 발현과 난포폐쇄와 상관 관계가 있음을 보여주고 있으며, 이러한 Fas와 Fas ligand가 생쥐 난소내 난포폐쇄 유발에 관여하고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PDF

종양 미세 환경 내 대식세포에서 혈관 신생 조절 인자로서의 TNF-α에 의한 IFN-γ의 분비 조절 (Production of IFN-γ by TNF-α in Macrophages from Tumor Micro Environment; Significance in Angiogenic Switch Control)

  • 표석능;백소영;곽장동;박대섭;조성준;이현아
    • IMMUNE NETWORK
    • /
    • 제3권1호
    • /
    • pp.53-60
    • /
    • 2003
  • Background: The role of macrophages in tumor angiogenesis is known to be the production of angiogenic cytokines and growth factors including TNF-${\alpha}$. Recently, macrophage also can produce the INF-${\gamma}$ that is being studied to be involved in angiogenic inhibition. Thus, the importance of macrophages in tumor angiogenesis is might being an angiogenic switch. Thus, the hypothesis tested here is that TNF-${\alpha}$ can modulate the INF-${\gamma}$ production in the macrophages from tumor environment as a part of tumor angiogenic switch. Methods: Macrophages in tumor environment were obtained from the peritoneal cavity of C57BL/6 mice injected with B16F10 melanoma cell line for 6 or 11 days. $Mac1^+$-macrophages were purified using magnetic bead ($MACs^{TM}$; Milteny Biotech, Germany) and cultured with various concentrations of TNF-${\alpha}$ for various time points at $37^{\circ}C$. The supernatants were analyzed for IFN-${\gamma}$ or VEGF by ELISA kit (Endogen, Woburn, MA). Results: Residential macrophages from the peritoneal cavity did not respond to LPS or TNF-${\alpha}$ to produce INF-${\gamma}$. However, the cells from tumor environment produced IFN-${\gamma}$ as well as VEGF and upregulated by the addition of LPS or TNF-${\alpha}$. RT-PCR analysis revealed the external TNF-${\alpha}$-induced IFN-${\gamma}$ gene expression in the macrophages from tumor environment. Conclusion: The overall data suggest that the macrophages in tumor environment might have an important role not only in angiogenic signal but also in anti-angiogenic signal by producing related cytokines. And TNF-${\alpha}$ might be a key cytokine in tumor angiogenic switch.

Increase of Plasma IL-12/p40 Ratio Induced by the Combined Therapy of DNA Vaccine and Lamivudine Correlates with Sustained Viremia Control in CHB Carriers

  • Im, Se-Jin;Yang, Se-Hwan;Yoon, Seung-Kew;Sung, Young-Chul
    • IMMUNE NETWORK
    • /
    • 제9권1호
    • /
    • pp.20-26
    • /
    • 2009
  • We previously reported that $IFN-{\gamma}$ producing T cell responses induced by the combined therapy of DNA vaccine and lamivudine for one year are important for the induction of sustained virological response (SVR). However, $IFN-{\gamma}$ production is not sufficient to predict sustained viremia control in chronic hepatitis B (CHB) carriers treated. Methods: Twelve CHB carriers were intramuscularly immunized 12 times at a 4-week interval with 8mg of HBV DNA vaccine during the standard lamivudine treatment (100mg/daily/1 year). The level of cytokines during and after the combined therapy in plasma of all 12 CHB carriers treated was determined by each ELISA kit. Six out of 12 CHB carriers revisited the clinic, and their HBV DNA levels were examined. Results: The combined therapy increased plasma IL-12 and IL-12/p40 ratio during the treatment (baseline vs. peak level: $41.8{\pm}8.3$ vs. $163.1{\pm}29.2\;pg/ml$; p<0.01 and $0.96{\pm}0.25$ vs. $3.58{\pm}0.86$; p<0.01, respectively), and the peak level of plasma IL-12 and IL-12/p40 ratio was evoked at 6 to 10 months during the combined therapy. In particular, CHB carriers with SVR had two and three-fold higher level of the peak plasma IL-12 and plasma IL-12/p40 ratio than non-virological responders (NVRs), respectively ($218.0{\pm}41.4$ vs. $108.1{\pm}28.6\;pg/ml$; p=0.09 and $5.35{\pm}1.38$ vs. $1.80{\pm}0.29$; p<0.05, respectively), while p40 level was consistent during the combined therapy. In addition, there was no significant temporal correlation between the peak IL-12/p40 ratio and the elevation of serum alanine amino-transferase (ALT) in this study, contrast to $IFN-{\alpha}$ therapy which induced peak IL-12 level following ALT flares. Conclusion: Our results indicate that the combined therapy induces the increase of plasma IL-12 and IL-12/p40 ratio, which are associated with long-term SVR in CHB carriers.

Pheflinus baumii 자실체 추출물의 Sarcoma-180 에 대한 항암 및 면역효과 (Antitumor and immunomodulatory effects of a hot water extract of Phellinus baumii using Sarcoma-180 in the mouse)

  • 하효철;김현표;심지영;장윤희;김현수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2권4호
    • /
    • pp.169-174
    • /
    • 2004
  • 국내에서 재배되고 있는 약용버섯인 상황(P. baumii) 자실체의 열수 추출물로 부터 건강 기능성 식품 및 의약품개발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항암실험 및 면역효과에 대한 실험을 수행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PMO-P4의 경우 rDNA의 ITS부위의 염기서열 분석을 통한 계통분석결과 P. baumii로 판명 되었으며, PMO-P4 자실체로부터 열수 추출한 성분(HWE-P4)을 160mg/kg/day의 농도로 하여 Sarcoma-180 암세포를 유발한 마우스에 경구투여한 결과 A군의 경우, 종양억제효과는 35.3%로 대조군보다 유의성 있게 감소하였으며(p<0.05), 생명연장 효과는 156%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시료의 경구투여 방법에 있어서도 시료를 먼저 2주간 투여한 후 암세포를 접종한 A군의 경우가 시료 투여와 암세포 접종을 동시에 실시한 B군의 경우 보다 종양억제효과 및 생명연장효과가 높았음을 알 수 있었다. A군의 경우 대조군에 비하여 CD4/CD8의 비율이 71.4%증가 하였으며, CD25(IL-2receptor chain)분자의 발현을 5배정도 증가시키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이러한 결과로 보아 P. baumii로 밝혀진 PMO-P4 자실체로부터 열수 추출한 성분의 항암효과는 암세포를 직접 공격하여 항암효과를 나타내기 보다는 T cell등의 면역세포를 활성화시킴으로써 암세포를 억제 혹은 사멸시키는 것으로 생각된다.

  • PDF

참다시마 다당체의 면역 증강 활성 (Immunomodulating Activity of Laminaria japonica Polysaccharides)

  • 류덕선;오승민;김기훈;김수환;최현주;이동석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2권3호
    • /
    • pp.350-354
    • /
    • 2010
  • Laminaria japonica의 polysaccharides(LP)가 마우스 비장 세포에서 현저한 면역 증강 활성을 보였다. Balb/c 마우스 비장 세포를 mitogen인 Con A, T cell growth factor인 IL-2 및 alloantigen인 anti-C57로 자극한 뒤, LP를 농도별(0.25, 0.5, 1 mg/mL)로 첨가하여 마우스 비장 세포의 증식 활성을 측정한 결과, 비장 세포증식능이 유의적으로 증가함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근거로 항원 특이적인 세포 독성 T 림프구(CTLs)의 활성과 IL-2에 의해 야기되는 비특이적인 림포카인 활성 살해 세포(LAKs)의 세포독성능을 측정하였다. 작동 세포와 표적 세포의 비율을 10:1로 혼합한 뒤, LP를 농도별로 첨가하여 세포 용해 시 발생되는 LDH를 측정한 결과, 동종 항원 반응 비장 세포의 살해 세포 작용이 유의적으로 증가하였으며, LAKs의 활성 또한 유의적으로 증가함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T 림프구의 활성에 직접적으로 관여하는 IL-2의 생산능을 측정한 결과, LP를 첨가한 경우 농도 의존적으로 IL-2의 생산량이 증가됨을 확인하였다. 이상의 결과로, 참다시마에서 획득한 LP가 마우스 비장 세포의 T 림프구 및 NK 세포의 증식에 영향을 미치는 면역 증강 활성을 가지고 있음을 입증하였다.

꿀벌 꽃가루 열수 추출물의 큰포식세포 면역활성 효과 (Immunomodulatory effect of bee pollen extract in macrophage cells)

  • 김이은;조은지;변의홍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50권4호
    • /
    • pp.437-443
    • /
    • 2018
  • 본 연구는 꿀벌 꽃가루 열수 추출물(BPW)의 면역 활성에 관하여 알아보기 위하여, 선천면역과 적응면역에서 중심 역할을 수행하는 큰포식세포에 BPW를 처리하여 세포 생존율, NO 분비능, 사이토카인($TNF-{\alpha}$, IL-6, $IL-1{\beta}$) 분비능과 메커니즘 분석을 통한 신호전달에 관하여 관찰하였다. BPW를 큰포식세포에 처리하여 면역활성에 관하여 알아봤을 때, 큰포식세포 면역활성의 대표적인 바이오마커인 NO, 사이토카인의 분비능과 iNOS의 세포내 발현이 BPW 처리구에서 유의적으로 증가되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또한 활성화된 탐식 세포의 세포 표면에서 발현되는 CD80과 CD86의 발현과 탐식세포의 항원제시에 밀접한 관련이 있는 주조직적합성 복합체(MHC class I과 II)의 발현이 BPW 처리구에서 유의적으로 증가되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기전분석 결과, BPW의 처리는 MAPKs의 인산화와 $NF-{\kappa}B$의 핵 내 이동성을 증가시켜 면역활성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따라서 BPW의 처리는 큰포식세포의 활성을 유도시켜 면역활성을 조절하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HIV 감염인을 위한 완화의료와 호스피스 (The Palliative Care and Hospice for the People Living with HIV)

  • 최재필
    • Journal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 /
    • 제20권3호
    • /
    • pp.159-166
    • /
    • 2017
  • 항레트로바이러스제 치료의 확립, 조기치료로 HIV 감염인들의 바이러스의 조절과 면역저하의 개선이 이루어지고 있다. 다수의 환자들이 더 이상 에이즈 관련 합병증으로 사망하지 않고, 심혈관질환, 대사성질환, 간질환, 신장질환, 신경계질환과 같은 만성합병질환을 갖고 고령화되고 있다. 그러나 지금도 여전히 사회적 차별과 낙인이 존재하는 가운데 후기 발현자로 후천면역결핍증 상태로 방문하여 사망하거나 중증의 신경계합병증으로 장애를 갖는 환자들이 있다. 환자의 다양한 증상들에 대해 이른 시기부터의 완화의료적 접근이 필요하다. 원위 대칭성 감각 다발신경병증 등의 환자의 만성 통증은 저평가되어 왔고 이에 대한 적극적인 통증 중재가 필요하다. 이전 호스피스 기준은 현재 시점에서 새롭게 제시한다. 감염인의 약제 지속 등의 의학적 필요, 심리적 상태, 사회적 여건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 표준주의 감염관리 원칙을 준수한다면 만성질환으로서의 보편적 호스피스 진료의 제공이 가능하겠다. 생의 말기 빠르고 적극적인 호스피스팀의 개입을 통해 환자들이 존엄하게 삶을 마무리하실 수 있도록 임상경험이 늘어나고, 제도가 마련되길 바란다.

HepG2 인체 간암세포의 ROS 생성 및 ERK/Akt 신호전달 경로 조절을 통한 sanguinarine의 apoptosis 유도 (Sanguinarine Induces Apoptosis in Human Hepatocellular Carcinoma HepG2 Cells through the Generation of ROS and Modulation of Akt/ERK Signaling Pathways)

  • 황주영;최영현
    • 생명과학회지
    • /
    • 제25권9호
    • /
    • pp.984-992
    • /
    • 2015
  • 혈근초(Sanguinaria canadensis)에서 처음 분리된 sanguinarine은 항산화, 항암 및 면역 증강 등의 효능이 있는 것으로 알려진 alkaloid 계열 물질 중의 하나이다. 본 연구에서는 인체간암 HepG2 세포를 대상으로 sanguinarine의 apoptosis 유도 효능 및 관련 기전 해석을 시도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에 의하면 sanguinarine은 HepG2 간암세포의 증식을 처리 농도 의존적으로 억제하였으며, 이는 apoptosis 유도와 연관성이 있었다. Sanguinarine에 의한 apoptosis 유도에는 Fas 및 Bax의 발현 증가, 미토콘드리아에서 세포질로의 cytochrome c 유리 및 MMPl (Δψm)의 소실을 동반하였다. Sanguinarine은 intrinsic 및 extrinsic apoptosis pathway의 활성에 관여하는 initiator caspase인 caspase-9와 -8의 활성과 effector caspase인 caspase-3의 활성 및 PARP 단백질의 단편화를 유발하였다. Sanguinarine은 또한 ROS의 생성을 촉진시켰으며, N-acetylcysteine 처리에 의한 ROS의 생성을 차단하였을 경우, sanguinarine에 의한 apoptosis 효능이 완벽하게 차단되었다. 아울러 sanguinarine은 Akt의 인산화를 억제한 반면, MAPKs의 인산화를 촉진시켰으며, 특히 PI3K와 ERK의 선택적 억제제는 sanguinarine에 의한 HepG2 간암세포의 증식을 더욱 억제시켰다. 따라서 sanguinarine에 의한 HepG2 간암세포의 apoptosis 유발에는 ROS 생성 의존적인 intrinsic 및 extrinsic signaling pathway가 동시에 활성화되며, PI3K/Akt 및 ERK 신호계가 관여함을 알 수 있었다.

애기장대 칼슘수송체를 발현하는 형질전환 현미의 생쥐 식이를 통한 안전성 평가 (Safety Test of Brown Rice Expressing Arabidopsis Calcium Transporter by Feeding Trial in Mice)

  • 김경민;김창길;김병오
    • 생명과학회지
    • /
    • 제18권10호
    • /
    • pp.1390-1394
    • /
    • 2008
  • 선행연구에서 Arabidopsis thaliana $Ca^{2+}/H^+$ 역수송체 유전자인 CAX 1 ($\underline{ca}tion$ $e{\underline{x}}changer$ 1)이 도입된 벼 형질전환체의 $T_3$ 종자는 대조구에 비해 $2.7{\sim}7.5$배 정도 높은 칼슘을 함유하고 있음을 확인한 바 있다. 이 $T_3$ 종자 유래 현미의 생리학적 안전성을 조사하기 위해, 일품현미를 대조구로 하여 생쥐 식이 실험을 수행하고 체중 및 말초 백혈구 수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일 개월 동안의 식이의 결과, $T_3$ 현미의 경우는 체중의 변화량 혹은 말초 백혈구의 수에 있어서 대조구인 일품현미의 경우와 거의 차이가 없었다. 체액성 면역능의 지표인 플라크-형성능, 복강 대식세포의 수, 그리고 NK 세포의 활성도 등을 비롯한 면역기능에 대한 영향에 있어서도 대조구와 유사하였다. 아울러 혈액의 생화학적 분석조사에서도 두 실험군 사이에 별다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상의 연구결과는 GMO 벼 유래의 $T_3$ 현미가 생리학적으로 안전하며 또한 칼슘함량이 강화된 동물사료 혹은 식품으로 적용될 수 있는 잠재능이 있음을 시사한다. 한편 장기적 안전성에 대한 평가를 위해서는 좀 더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