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mmigrant wife

검색결과 14건 처리시간 0.02초

결혼이민자 남편의 부부관계향상 프로그램 효과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Improvement of Marital Relationship Program for Immigrant Women's Husbands)

  • 김오남;김경신;이정화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26권1호
    • /
    • pp.69-84
    • /
    • 2008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d evaulate improvement of marital relationship for immigrant women's husbands. They who play important role have much more resources than wifes in Korean society and establish a happier home through trying to adapt marital relationship. It needs to escape focusing on only immigrant education and program and have to extend to immigrants' family members including husband. The program procedure was implemented for 14 immigrant women's husbands every Friday for 2 hours from Feb, 2007 to Mar, 2007. To evaluating effects of program the pre test and post test was analyzed. The program was operated by researcher, center worker and volunteer who have much practiticing experiences about immigrants. The program of sessions is perception of intermarriage, understanding of wife's country culture, open communication, conflict resolution and child rearing attitude. A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of the increases in the area of perception of intermarriage, open communication and child rearing attitude. Finally, this study suggests that understanding of wife's country culture and conflict resolution of the program be modified by future social work practitioners and researchers in order to make the program more effective.

결혼이민여성의 학대와 관련요인연구 (Study on the Factors Relating and the Abuse of Immigrant Women)

  • 김민경
    • 한국생활과학회지
    • /
    • 제18권6호
    • /
    • pp.1181-1198
    • /
    • 2009
  •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find the general trends of individuals, marital relation, migrated-cultural variables and abuse, and to analyze the effects of the individual, marital relation, and migrated-cultural variables on the abuse. The subjects were 174 immigrant women. The data was analyzed with frequency, t-test, ANOVA and multiple regression by SPSS. The major findings were as follows; Physical abuse amongst immigrant women was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residence and income factors, psychological abuse was dependent on residence and native country, sexual abuse was dependent on education level, and total abuse was dependent on residence and native country. The level of abuse (range 1-4) was 2.07, Psychological abuse was the highest with 2.23, physical abuse was next with 1.92 and sexual abuse was 1.78. All the abuse types were influenced by the husband's alcohol behavior, communication efficiency, marital conflict, and knowledge of Korean culture. In conclusion, it is important to protect immigrant women who have been abused. So understanding, reasonable coping, prevention programs and counseling of abuse victims were provided to immigrant women.

남편의 성역할 고정관념, 다문화 감수성 및 아내문화수용이 결혼이주여성의 문화적응, 결혼 및 삶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 대구경북지역 다문화 가정 (The Influence of Husbands' Sex Role Stereotype, Intercultural Sensitivity, and the Acceptance of Their Wives' Culture on Their Wives' Acculturation and Marital and Life Satisfaction in Multicultural Family: Daegu and Gyeongbuk Area)

  • 성현란
    •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
    • /
    • 제17권2호
    • /
    • pp.219-239
    • /
    • 2011
  • 본 연구에서 다문화 가정에 있어서 남편의 성역할 고정관념, 다문화 감수성, 그리고 아내문화수용이 결혼이주여성의 문화적응과 결혼 및 삶의 만족에 대해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은 대구경북지역의 다문화가정의 부부 100쌍이었으며 남편 평균 연령은 41.6세, 아내 평균 연령은 29.6세이었다. 결혼이주여성의 국적은 주로 베트남과 중국이었다. 주요 결과를 보면, 첫째, 남편의 성역할 고정관념, 다문화 감수성, 아내문화수용의 세 변인은 아내의 문화적응의 네 하위 요인(통합, 동화, 분리, 주변화) 중 주변화에 대해서만 유의하게 설명하였다. 둘째, 남편의 이들 세 변인 중 아내문화수용만 아내의 결혼만족과 삶의 만족을 각각 유의하게 설명하였다. 셋째, 아내 문화적응의 네 하위유형 중 주변화는 아내의 결혼 및 삶의 만족을 유의하게 설명하였고, 통합은 삶의 만족만 유의하게 설명하였다. 남편의 성역할고정관념은 아내문화수용 및 다문화감수성과 부적 상관을 보였다. 아내의 문화적응 중 동화는 통합과 약한 정적 상관, 주변화와는 중간정도의 부적 상관을 보였다. 본 연구의 의의는 결혼이주여성의 결혼 만족 및 삶의 만족은 남편의 이문화 이해를 비롯한 남편관련 변인에 의한 문화적응의 영향을 받는다는 것을 밝힘으로써 개인의 문제가 아닌 다문화적 관점에서 접근해야 할 문제임을 인식시켜주었다는 점이다.

  • PDF

결혼이민자 자녀들의 성장 발달과 언어 문제 (Development and language problems in children of immigrant marriages)

  • 임재우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52권4호
    • /
    • pp.417-421
    • /
    • 2009
  • The number of international marriages in South Korea has drastically increased since the year 2000, and among these, the proportion of couples with a Korean husband and foreign wife accounts for more than 70%. At the same time, the number of children resulting from an international marriage has also risen dramatically; this tendency is especially evident in preschool children below 6 years of age. This review article shows some of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children from international marriages and those from non-international households with respect to their growth, development and language skills.

다문화가족의 적응과정에 대한 연구 (A Qualitative Study on the Adaptation Process of Multicultural Families)

  • 공수연;양성은
    • 한국생활과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101-117
    • /
    • 2011
  • This research is intended to explore the adaptation process for immigrant women and their Korean spouses through a qualitative method. It is aimed at understanding how immigrant women and their Korean spouses have adjusted to their lives in Korea over the last 10 years and how they have dealt with difficulties in the adaptation process. The participants were 15 intermarried couples consisting of a Southeast Asian wife and a Korean husband. They got married through matchmakers and have children between the ages of 8 and 13. The study carried out in-depth interviews. To analyze the interview data, the qualitative software program Nvivo8 was used. The results showed that immigrant women and their Korean spouses experienced confusion at first. They struggled adapting to each other's lifestyles and made efforts to establish harmony. In the end, they made their own family identity as a multicultural family. The study widens the understanding of multicultural families by focusing on both wives and husbands. Also, the use of the Nvivo8 software strengthens the reliability of the data analysis. The results will contribute to providing interracial couples with the adaptive strategies.

노년기 남편을 둔 결혼이주여성의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요인 : 인적지지와 사회서비스를 중심으로 (The Effect on the Marital Satisfaction to marriage immigrant wives whose spouse of in an old age : Focusing on Social service and Human support)

  • 이명화;이윤정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2권9호
    • /
    • pp.47-62
    • /
    • 2014
  • 본 연구는 한국의 인구 고령화현상과 다문화가족 증가추세에 주목하여 남편이 노년기에 진입한 '노년기 다문화가족' 결혼이주여성의 결혼만족 정도를 파악하고, 인적 지지와 사회 서비스의 결혼만족도 영향력 검증을 위해 시행되었다. 분석에는 2009년 실시된 '전국 다문화 가족 실태조사' 자료에서 2009년 현재 남편의 나이가 만 65세 이상인 여성결혼이민자 236케이스를 사용하여 기초통계,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의 결과, 노년기 남편을 둔 결혼이주여성의 결혼만족도는 5점 만점에 3.9점이며, 어려울 때 의논상대는 모국인형이 36.6%로 가장 많으며, 모국가족과는 '주 1~2회 이상' 연락하는 경우가 44%로 가장 많았으며, 한국어교육을 가장 많이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결혼만족도 영향변인으로는 차별경험이 없을 때, 건강상태가 좋을 때, 어려울 때 의논상대가 한국인 일 경우, 모국가족과 '년 1~3회' 연락할 경우, 사회적응교육을 받았을 때 결혼만족도가 향상되는 것으로 밝혀졌다.

결혼이주 여성과 한국인 여성의 결혼만족도 비교연구 (Comparison of Marital Satisfaction between Immigrant Wives and Korean Wives of Korean Men)

  • 그레이스정;임지영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49권5호
    • /
    • pp.33-48
    • /
    • 2011
  • 본 연구의 목적은 결혼이주여성과 한국인 여성의 결혼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규명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현재 한국에 거주하고 있는 409명의 결혼 이주여성과 474명의 한국인 여성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위계적 회귀분석 결과, 평등한 의사결정방식은 결혼 이주여성들만의 결혼만족도를, 우울 수준은 한국인 여성들만의 결혼만족도를 설명하였다. 하지만 남편의 의사소통 양식은 결혼 이주 여성과 한국인 여성 두 집단 모두의 경우에 결혼만족도를 설명하는 가장 강력한 변수였다. 결혼 이주 여성의 경우 문화적 맥락(한국에서의 거주기간, 인종차별 경험) 또한 결혼만족도를 설명하는 중요한 변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결혼이주 여성과 한국인 여성의 결혼만족도를 설명하는데 있어 변수들의 상대적 영향력을 규명하고, 결혼이주 여성의 결혼만족도에 있어서 문화적 맥락 변수들의 고유한 기여점을 설명함으로써 결혼 이주 여성의 결혼만족도에 대한 이해를 돕고자 하였다.

이주여성의 주관적 안녕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Factors Influencing Subjective Well-Being of Immigrant Wives)

  • 박현우;김유영;남현우
    • 농촌지도와개발
    • /
    • 제20권2호
    • /
    • pp.451-484
    • /
    • 2013
  • 본 연구는 이주여성의 주관적 안녕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개인적, 가정적, 사회적 변인으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개인적 변인으로는 부부나이차, 입국이유, 종교유무, 결혼생활기간, 취업유무, 경제수준, 한국문화적응정도, 한국어능력, 자아탄력성으로 설정하였다. 가정적 변인으로는 결혼방식, 결혼이유, 남편의 아내모국어 이해정도, 남편의 아내모국문화이해정도, 결혼생활만족도, 자녀유무, 재산관리주체, 양육효능감으로 설정하였다. 사회적 변인으로는 복지서비스와 제도의 인지여부, 공공기관과 사회단체의 이용경험정도, 사회적 참여모임의 내용으로 설정하였다. 연구대상은 충청남도 아산시에 거주하고 있는 이주여성 256명이며 중다선형회귀 분석을 하였다. 연구결과는 개인적 변인으로는 자아탄력성, 결혼생활기간, 한국문화적응정도, 경제수준, 가정적 변인으로는 양육효능감, 결혼생활만족도, 결혼방식- 타인의 소개 없이, 사회적 변인으로는 모국여성자조모임참여, 복지서비스와 제도의 인지여부, 취미학습동아리모임참여, 친목 종교모임참여 등이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이주여성들의 주관적 안녕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찾고 내적자원과 강점을 적극적으로 지원하기 위한 사회적 방안을 마련할 수 있는 기초를 삼고자 하는 것에 그 의의를 둔다.

외국인 배우자의 지위와 사회적 자본이 출산력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Foreign Wife Status and Social Capital on Fertility)

  • 김두섭
    • 한국인구학
    • /
    • 제31권3호
    • /
    • pp.1-26
    • /
    • 2008
  • 이 연구의 주된 목적은 외국인 아내의 지위와 사회적 자본이 출산력에 미치는 영향을 중국, 베트남과 일본으로부터의 혼인이주자들을 대상으로 파악하기 위한 것이다. 소수집단의 지위와 이들이 지닌 사회적 자본이 사회경제적, 인구학적 변수들의 영향력을 통제한 후에도 출산력에 독립적 영향력을 행사한다는 주장을 검증하는데 분석의 초점이 맞추어졌다. 외국인 아내의 출산력 수준과 속도는 그들이 지닌 사회적으로 불리한 여건과 이주 후의 적응 수준을 반영하는 것으로 가정할 수 있다. 이 연구에서 한국에 거주하는 외국인 아내와 한국인 아내의 출산력을 비교분석하기 위하여 두 인구학적 조사의 원자료가 활용되었다. 이 연구의 분석결과는 한국에 거주하는 외국인 아내들이 한국인 아내들에 비해 자녀수가 적다는 것을 확인해준다. 출산간격 역시 한국인 아내보다 긴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외국인 아내의 사회적 자본이 클수록 출산행위를 촉진하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이주 후 현지 사회에의 통합과 동화의 수준이 높은 외국인 아내들 역시 상대적으로 자녀수가 많은 경향이 발견되었다.

외국인 며느리를 맞이한 시어머니의 가족적응경험에서 나타난 부담감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The Phenomenological Study on the Sense of Pressure Shown from the Family Adjustment Experience of Mothers-in-Law with Married Immigrant Women)

  • 박병금;노필순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4권1호
    • /
    • pp.250-265
    • /
    • 2014
  • 본 연구는 현상학적 방법을 적용하여 외국인 며느리를 맞이한 시어머니들의 가족적응경험에서 나타난 부담감의 의미와 본질을 탐색하고 이해함으로써 이들 시어머니들과 가족들이 함께 적응하고 살아가는 우리사회의 이해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참여자들은 5명이며, 이들을 대상으로 심층면담을 실시하여 Colaizzi의 현상학적 연구방법으로 분석하였다. 외국인 며느리를 맞이한 시어머니들의 가족적응경험에서 나타난 부담감의 경험은 7개의 범주와 31개의 주제로 분류되었다. 경험의 7가지 범주는, '아들결혼에 대한 부담감', '마뜩잖은 며느리에 대한 부담감', '서운한 며느리로 인한 부담감', '걱정스러운 아들내외와 사는 부담감', '외국인 며느리 맞이로 인한 부담감', '딸에게 기대는 사돈에 대한 부담감', '미래에 대한 부담감'으로 나타났다. 아들의 국제결혼을 통해 낯선 사회문화 환경을 배경으로 한 외국인 며느리를 맞이하게 된 시어머니들이 가족 내외부의 다양한 도전들에 대처하고 적응해 나가는 가족적응 과정을 어떻게 경험하는지 이해할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통해 가족복지 실천에 기여하고 다문화가족의 지원과 우리사회의 이해를 위한 기초자료가 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