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mmersion technique

검색결과 170건 처리시간 0.035초

듀얼 가변형 모델 동기화를 위한 적응성 질량-스프링 기법 (Adaptive Mass-Spring Method for the Synchronization of Dual Deformable Model)

  • 조재환;박진아
    • 한국컴퓨터그래픽스학회논문지
    • /
    • 제15권3호
    • /
    • pp.1-9
    • /
    • 2009
  • 최근 역감, 촉감 피드백을 생성할 수 있고 3 차원 상호작용이 가능한 컴퓨터 인터페이스 기술이 발전하면서 기존의 입출력 장치에 의존하던 컴퓨터 시뮬레이션의 한계가 줄어들어 그 종류가 다양해지고 있다. 특히, 가상현실 기반 수술 시뮬레이터의 수요가 증가 하면서 사실적인 가상환경을 제공하는 방법에 관련된 연구가 활발히 진행 되고 있으며 그 중에서 가상 장기 모델의 사실적인 표현 기술은 사용자의 몰입감을 높여주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기 때문에 반드시 필요한 분야이다. 가상 장기 모델의 사실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사용자의 상호작용에 따라 변형되는 시각적 피드백과 알맞은 햅틱 피드백을 전달해야한다. 본 연구에서는 이 두 가지 피드백은 사람이 인지하는 방법과 시스템의 요구 사항이 다르기 때문에 보다 효과적인 시뮬레이션을 하기 위하여 서로 다른 두 모델을 구현하고 두 모델간의 동기화를 위한 기술로써 적응성 질량-스프링 모델 기법을 제안한다. 또한, 유연체 변형에 대하여 표면의 세부 형태를 보여주는 시각모델과 사용자의 상호작용에 따른 햅틱 피드백을 전달하는 햅틱 모델, 그리고 이 두개의 모델을 연동시키는 동기화 모델을 통하여 유연체의 거동을 실시간, 사실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가변형 모델 시뮬레이션 프레임워크를 설계한다.

  • PDF

Annealing control primer system을 이용한 어류 재조합 myostatin prodomain 단백질에 의해 성장이 증가된 무지개송어의 특이적 발현 유전자 탐색 (Identification of Differentially Expressed Genes in Improved Rainbow Trout Growth by Treatment with a Fish Myostatin Prodomain Using the Annealing Control Primer System)

  • 이상범;진형주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118-124
    • /
    • 2012
  • 이전 연구에서 넙치유래 재조합 마이오스타틴 프로도메인을 무지개송어에 한달간 침지법을 통하여 처리한 결과 대조군에 비하여 무게가 최대 약 42% 증가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재조합 마이오스타틴 프로도메인을 침지법에 의해 처리된 무지개송어와 대조군의 근육으로부터 발현되는 cDNA를 제작하여 마이오스타틴 프로도메인에 의해서 유도된 특정유전자를 선발하기 위하여 ACP (annealing control primer)를 이용한 DDRT법을 통하여 분석하였다. 총 20가지의 ACP를 이용한 결과 2개의 특정 유전자를 분석하였으며, NCBI BLAST 분석결과 Cytochrome P450 mono oxygenase와 Profilin으로 판명되었다. 이 중 Cytochrome P450 mono oxygenase는 대조군보다 발현량이 증가하였으며, Profilin는 대조군에 비해서 발현량이 감소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재확인하기 위하여 두 유전자의 primer를 각각 제작하여 semi-quantitative RT-PCR를 시행한 결과 DDRT법에 의한 분석과 동일하였다. 본 결과는 어류의 성장에서 마이오스타틴 프로도메인의 기능 및 메카니즘에 대한 연구에 유용한 자료가 될 것으로 사료된다.

동물교감치유 경험 기관의 서비스 인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Service Awareness Perceived by Group Using Animal-Assisted Intervention)

  • 유지현;신정섭;김수미;진현주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0권12호
    • /
    • pp.372-379
    • /
    • 2019
  • 본 연구는 동물교감치유를 경험한 기관의 서비스 인식을 알아보고자 25개 기관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설문지를 활용하여 개별 전화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동물교감치유 효과에 대한 변수를 분석하기 위해 SPSS Win 25.0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범주형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로 첫째, 동물교감치유 효과가 높다고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동물교감치유를 처음 도입할 때 기대하는 목적과 경험 후 체감하는 효과 모두 심리적인 효과가 가장 높았다. 둘째, 동물교감치유에 대해 전반적으로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참여자 몰입도와 차별화된 서비스 부분에서 만족도가 높게 나타났다. 셋째, 동물교감치유 비용은 동물과 함께하는 활동, 참여자의 만족도 등을 고려하면 대체적으로 적절하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다만, 타 프로그램에 비해 다소 비싸다는 인식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동물교감치유 가치와 대중적인 확대 가능성을 대체적으로 높게 평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동물교감치유 효과에 참여자의 몰입도와 전문성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동물교감치유가 심리치료 기법으로써 맞춤형 프로그램 개발과 효과성 검증에 대한 연구가 필요함을 시사하며, 동물교감치유를 양질의 서비스로 정착시키고 발전시키기 위한 기초자료로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여겨진다.

Si 및 Mg 이온이 교환된 biphasic calcium phosphate 분말의 생체활성 거동 (Bioactivity behavior of Si and Mg ion-substituted biphasic calcium phosphate powders)

  • 김태완;김동현;진형호;이헌수;박홍채;윤석영
    • 한국결정성장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92-98
    • /
    • 2012
  • 이온이 첨가된 BCP(biphasic calcium phosphate) 분말을 제조하기 위하여 $Ca(NO_3)_2{\cdot}4H_2O$, $(NH_4)_2HPO_4$를 출발 물질로 공침법(co-precipitation process)을 이용하여 합성하였다. Si-BCP 합성을 위하여 TEOS를 Mg-BCP 합성을 위해서는 $Mg(NO_3)_2{\cdot}6H_2O$를 사용하였다. 합성된 분말의 열처리 후 결정상을 분석한 결과 HAp와 ${\beta}$-TCP가 혼재된 상을 관찰할 수 있었다. 분광학적 분석에서도 인산칼슘의 $PO^{3-}_4$$OH^-$ 그룹에 해당하는 밴드도 관찰되었다. 이온이 첨가된 BCP 분말의 생체활성 거동을 평가하기 위하여 Hanks' Balanced Salt Solution(HBSS)에 침적시켜 시간에 따라 형상의 변화 및 결정상을 분석한 결과, 두 샘플 모두에서 빠른 표면 활성을 나타내었다. 세포 성장률 평가에서도 대조군에 비하여 세포성장률이 우수함을 관찰하였다.

최소침습적 복합레진 수복을 위한 레진침투법의 활용 (Utilization of Resin Infiltration for the Minimally Invasive Composite Restoration)

  • 김형준;박소영;정태성;김신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46권4호
    • /
    • pp.382-391
    • /
    • 2019
  • 와동 형성이 시작된 우식병소에는 병소 본체 주변으로 탈회가 진행 중인 초기 병소가 혼재한다. 이 연구에서는 법랑질에 국한된 우식 와동을 복합레진으로 수복 시 레진침투법을 병행하는 기법이 치질 보존 측면에서 의미를 갖는지를 평가하고자 하였다. 인접면 우식병소가 있는 탈락된 유구치를 이용, 레진침투(I, Infiltration), 치아삭제(P, preparation), 복합레진 수복(F, filling)의 적용 순서를 달리하여 IPF군과 PFI군으로 나누었다. 수복 범위, 레진침투 양상, 변연부 미세누출의 관점에서 수복물을 평가하였다. 치질 삭제범위는 수복 전후에 micro-CT를 이용하여 평가하였고, 두 실험군 모두에서 치료 전 병소의 크기보다 복합레진 수복물의 크기가 작았다. 공초점 레이저 주사현미경을 이용한 레진침투 양상 평가 결과 두 실험군 모두 복합레진 수복물 주변에서 침투레진이 확인되었으며, 인공 탈회 유발 후에도 침투레진은 대부분 유지되었다. 수복물 변연부 미세누출은 micro-CT로 확인하였고, PFI군에서 더 빈번하게 확인되었다. 복합레진 수복과 레진침투법의 병용은 치질 보존 측면에서 의미를 가지며, 접착 향상을 위하여 레진침투-와동 형성-복합레진 수복의 순으로 진행하는 것이 추천된다.

탄소재료의 소수성 향상 방법 및 측정 방법에 대한 고찰 (Reviews on an Improvement and Measurement of the Hydrophobicity for Carbon Materials)

  • 강유진;김유진;장민혁;조형근;윤성진;한경재;조혜령;서동진;박주일
    • 유기물자원화
    • /
    • 제30권4호
    • /
    • pp.41-50
    • /
    • 2022
  • 최근 실 내·외 공기 질 등 환경 개선에 대한 관심으로 탄소흡착제의 연구가 활발하다. 기본적으로 공기질을 악화시키는 원인 물질이 대부분 휘발성유기화합물인 것을 감안한다면, 탄소재료의 소수성을 개선하여 더 우수한 제거 효율을 확보하는 것이 중요하다. 본 논고는 탄소의 소수성 향상 방법과 소수성 측정 방법을 고찰하고자 한다. 일반적으로, 탄소재료의 소수성을 향상시키는 방법으로 열처리, 산 및 알카리 처리, 소수성 물질들을 이용한 코팅 및 침지 등이 알려져있다. 이러한 방법들을 통해 탄소재료의 소수성 향상은 가능하나, 탄소재료(특히 활성탄)의 기공 구조를 붕괴시키거나 흡착능력을 감소시키는 등의 한계점이 있다. 따라서, 본 논고에서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탄소재료의 소수성 향상방법에 더하여 재료의 전구체 변환 방법에 대해서도 간단히 소개하고자 한다. 더불어, 소수성개질의 여부를 판단하기위해 사용하고 있는 분석 기법들을 본 논고에 소개하며, 탄소재료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자 한다.

6DoF 몰입형 비디오 스트리밍을 위한 그룹 분할 기반 적응적 렌더링 기법 (Group-based Adaptive Rendering for 6DoF Immersive Video Streaming)

  • 이순빈;정종범;류은석
    • 방송공학회논문지
    • /
    • 제27권2호
    • /
    • pp.216-227
    • /
    • 2022
  • MPEG-I (Immersive) 그룹에서는 6자유도(DoF: degrees of freedom)를 제공하는 몰입형 비디오의 표준화 프로젝트를 진행 중에 있다. MPEG Immersive Video (MIV) 표준화 기술에서는 사용자에게 움직임 시차(parallax)를 제공하기 위해 취득한 다수의 영상을 깊이 맵 기반 이미지 렌더링(depth map-based image rendering, DIBR)을 바탕으로 임의의 사용자 시점의 뷰를 렌더링하게 된다. 현재 MIV에서는 효율적인 부호화를 위한 기술들이 많이 논의된 바 있지만, 전송 측면에 대해서는 여전히 논의가 필요하다. 본 논문은 사용자 시점에 적응적인 몰입형 비디오 스트리밍을 위한 품질 할당 기법을 제안한다. 현재 MIV에서 지원하고 있는 그룹 분할 기법을 통하여 독립적으로 전송, 복원이 가능한 시점 그룹 단위를 생성하여 이를 사용자 시점에 기반한 품질 할당 기법을 통해 효율적인 전송이 가능하도록 한다. 제안하는 적응적 전송 기법은 Test Model for Immersive Video (TMIV) 시험모델을 통해 구현되었으며, 주어진 합성 시점 위치에 따라 렌더링 과정에서의 기여도를 그룹별로 계산하고 우선 시점 그룹을 판단하여 고품질로 전송한다. 사용자 시점에 대한 렌더링 비교 결과를 통해 제안하는 기법이 기존 TMIV 대비 PSNR 지표에서 평균 17.0%, IV-PSNR 지표에서 14.6%의 BD-rate 감소율을 보여 효율적인 전송이 가능함을 보였다.

생체판의 제작 및 실험 (A Study on the Manufacture of the Artificial Cardiac Tissue Valve)

  • 김형묵;송요준;손광현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12권4호
    • /
    • pp.383-394
    • /
    • 1979
  • Treatment of valvular heart disease with valve replacement has been one of the most popular procedures in cardiac surgery recently. Although, first effort was directed toward the prosthetic valve, it soon became popular that bioprosthesis, the valvular xenograft, was prefered in the majority cases. Valvular xenograft has some superiority to the artificial prosthetic valve in some points of thromboembolism and hemolytic anemia, and it also has some inferiority of durability, immunologic reaction and resistance to Infection. Tremendous efforts were made to cover the inferiority with several methods of collection, preservation, and valve mounting of the porcine valve or pericardium of the calf, and also with surgical technique of the valvular xenograft replacement. Auther has collected 320 porcine aortic valves immediately after slaughter, and aortic cusps were coapted with cotton balls in the Valsalva sinuses to protect valve deformity after immersion in the Hanks' solution, and oxidation, cross-linking and reduction procedures were completed after the proposal of Carpentier in 1972. Well preserved aortic valves were suture mounted in the hand-made tissue valve frame of 19, 21, and 23 mm J.d., and also in the prosthetic vascular segment of 19 mm Ld. with 4-0 nylon sutures after careful trimming of the aortic valves. Completed valves were evaluated with bacteriologic culture, pressure tolerance test with tolerane gauge, valve durability test in the saline glycerine mixed solution with tolerance test machine in the speed of 300 rpm, and again with pathologic changes to obtain following results: 1. Bacteriologic culture of the valve tissue in five different preservation method for two weeks revealed excellent and satisfactory result in view of sterilization including 0.65% glutaraldehyde preservation group for one week bacteriologic culture except one tissue with Citobacter freundii in 75% ethanol preserved group. 2. Pressure tolerance test was done with an apparatus composed of V-connected manometer and pressure applicator. Tolerable limit of pressure was recorded when central leaking jet of saline was observed. Average pressure tolerated in each group was 168 mmHg in glutaraldehyde, 128 mmHg in formaldehyde, 92 mmHg in Dakin's solution, 48 mmHg in ethylene oxide gas, and 26 mmHg in ethanol preserved group in relation to the control group of Ringer's 90 mmHg respectively. 3. Prolonged durability test was performed in the group of frame mounted xenograft tissue valve with 300 up-and-down motion tolerance test machine/min. There were no specific valve deformity or wearing in both 19, 21, and 23 mm valves at the end of 3 months (actually 15 months), and another 3 months durability test revealed minimal valve leakage during pressure tolerance test due to contraction deformity of the non-coronary cusp at the end of 6 months (actually 30 months) in the largest 23 mm group. 4. Histopathologic observation was focussed in three view points, endothelial cell lining, collagen and elastic fiber destructions in each preservation methods and long durable valvular tolerance test group. Endothel ial cell lining and collagen fiber were well preserved in the glutaraldehyde and formaldehyde treated group with minimal destruction of elastic fiber. In long durable tolerance test group revealed complete destruction of the endothelial cell lining with minimal destruction of the collagen and elastic fiber in 3 month and 6 month group in relation to the time and severity. In conclusion, porcine xenograft treated after the proposal of Carpentier in 1972 and preserved in the glutaraldehyde solution was the best method of collection, preservation and valve mounting. Pressure tolerance and valve motion tolerance test, also, revealed most satisfactory results in the glutaraldehyde preserved group.

  • PDF

Flip Chip의 Solder Bump 형성을 위한 Ni/Au 무전해 도금 공정 연구 (Ni/Au Electroless Plating for Solder Bump Formation in Flip Chip)

  • 조민교;오무형;이원해;박종완
    • 한국재료학회지
    • /
    • 제6권7호
    • /
    • pp.700-708
    • /
    • 1996
  • Flip chip bonding에 무전해도금기술을 적용하여 solder bumper형성의 최적 조건을 규명하였다. 시편은 AI 패턴된 4 inch Si 웨이퍼를 사용하고, 활성화 처리시 zincate 용액을 사용하였으며, 무전해 도금은 Ni-P 도금액고 Au immersion 용액을 사용하였다. 활성화 물질의 AI 침식정도 및 Zn 석출 정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EDS측정을 하였고, 각 공전에서의 표면형상을 알아보기 위해 SEM 분석을 하였다. 열처리 후 금도금층의 주 결정성장 방향은 XRD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산처리에서 질산과 황산 중 질산에 의한 산화막제거 정도가 더 우수하게 나타났다. 활성화 처리시 zincate 용액을 희석시킬수록 입자 크기가 미세해 지고, 활성화 물질은 pH 13-13.5, 상온, 농도 15-25%의조건에서 크기가 작은 Zn 활성화 물질이 균일하게 분포하였다. Ni과 Auan전해도금 속도는 온도와 pH가 증가할수록 증가하였다. Ni 무전해 도금 조건은 pH 4.5, 온도 $90^{\circ}C$, 시간 20분이며, Au 무전해 도금조건은 pH7, 온도 $80^{\circ}C$, 시간 10분이었다. 상온에서 $400^{\circ}C$까지 30분동안 열처리 한 후 금도금막의 결정 방향은 pH 7, 온도 $80^{\circ}C$, 시간 10분이었다. 상온에서 $400^{\circ}C$까지 30분 동안 열처리 한 후 금도금막의 결정 방향은 pH 7에서 (111), pH 9에서는 (200)과 (111)이 주 peak로 나타났으며, 열처리에 의한 결정 방향의 변화는 없었다. 전체 공정에서 최종적인 표면 형상에 영향을 주는 단계는 활성화 처리로서 flip chip의 bonding layer형성에 가장 중요한 요소임을 알 수 있었다.보다 자생지(自生地)에서 높은 함량(含量)을 보였다. 5. 무기성분함양(無機成分含量)의 차이(差異)는 K의 경우(境遇) 자생지(自生地)에서 보다 재배지(栽培地)에서 평균적(平均的)으로 10배이상(倍以上) 정도(程度) 높은 함량(含量)의 차이(差異)를 보였으나 Mn, Zn, Na, Cu 등(等)은 일정(一定)한 경향(傾向)을 보이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6. 유리(遊離) 아미노산(酸)의 함량(含量)은 자생지(自生地은)보다 재배지(栽培地)에서 전반적(全般的)으로 높은 함량(含量)을 나타내었고, 특(特)히 Arginine은 다른 성분(成分)들과 비교(比較)해 볼 때 가장 높은 조성(組成)의 차이(差異)를 나타내었다. 7. 야생(野生)더덕과 재배(栽培)더덕의 정유성분수율(精油成分收率)은 자생지재배(自生地栽培)에서는 모두 0.004% 였고 재배지(栽培地)에서는 야생(野生)더덕이 0.005%였다. 8. 더덕의 재배장소(栽培場所)에 따른 향기성분(香氣成分)은 총(總) 21종(種)이었으며 自生地(自生地)에서 야생(野生)더덕은 16종(種), 재배(栽培)더덕은 18종(種)이었고, 재배지(栽培地)에서 야생(野生) 더덕은 14종(種), 재배(栽培)더덕은 20(種)이었다. 9. Trans-2-hexanol은 야생(野生)더덕의 자생지(自生地) 재배(栽培)에서 피이크 면적(面積) 당(當) 50.3%, 재배지(栽培地)에서 피이크 면적(面積) 당(當) 43.3%를 보였으며 amylalcohol, furfuryl acetate, 2-methoxy-4-vinyl phenol(MVP)는 재배(栽培)더덕에서만 확인(確認)되었다.는 KI, BMI와 유의적인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고 (p<0.01), HCL-C은 비체중, BMI, LBM, TBM와 유의적인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p<0.01), KI, SBP와도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p<0.05), LCL-C는 KI와 유의적이인 양의

  • PDF

도말층이 가온 수직가업 근관 충전후 치근단 누출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SMEAR LAYER ON THE APICAL LEAKAGE OF WARM VERTICAL CANAL FILLING)

  • 권태경;김성교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23권2호
    • /
    • pp.561-574
    • /
    • 1998
  • 본 연구는 근관형성시 생성되는 도말층의 존재가 System-B를 이용한 가온 수직가압충전 후의 미세누출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하고자 시행되었다. 최근에 발거된 20개의 상악전치를 이용하여 Ni-Ti 전동화일의 한 종류인 Quantec series 2000$^{TM}$(Tycom, USA) 과 수통 K-화일로 근관형성시 생성되는 도말층의 차이와 EDTA 용액 및 EDTA/차아염소산나트륨 용액의 2종 세척액에 따른 도말층의 제거양상을 주사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하였다. 44개의 상악전치를 이용하여 System-B를 이용한 가온 수직가압충전후의 미세누출의 정도를 근관형성시 생성되는 도말층의 존재유무에 따라 색소침투법과 치아투명화법을 이용하여 비교한 결과 다음과 같다. ${\cdot}$ 수동 K-화일이나 전동 Ni-Ti 화일로 근관형성한 군 모두에서 EDTA 용액을 사용한 군은 도말층이 완전히 제거되어 상아세관이 깨끗하게 개방되었지만, 차아염소산나트륨 용액만 사용한 군은 근관의 대부분이 도말층으로 덮혀 있었고 개방된 상아세관은 발견할 수 없었다. ${\cdot}$ 수동 K-화일 군과 전동 Ni-Ti 화일 군 사이에는 생성된 도말층의 차이를 관찰할 수 없었다. ${\cdot}$ EDTA 용액을 이용하여 도말층을 제거한 경우와 차아염소산나트륨 용액만을 사용한 경우간의 비교에서는, sealer를 사용했을 때에는 도말층을 제거한 경우가 유의하게 적은 색소 침투를 나타냈으며(p<0.01), sealer를 사용하지 않았을 때에는 EDTA 용액과 차아염소산나트륨 용액으로 세척한 경우가 다소 적은 색소 침투를 나타냈으나 통계적 유의성은 없었다(p>0.05). ${\cdot}$ EDTA 용액를 이용하여 도말층을 제거한 후 sealer사용 유무에 따른 비교에서는 sealer를 사용한 경우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적은 색소침투를 나타냈다(p<0.01). ${\cdot}$ EDTA 용액을 사용하지 않고 차아염소산나트륨 용액만으로 근관형성한 후 sealer사용 유무에 따른 비교에서는 sealer를 사용한 경우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적은 색소 침투를 보였다(p<0.01).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