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maging sphere

검색결과 42건 처리시간 0.04초

손실 매질내에 있는 3차원 지하공동의 Incoherent 역산란 (Incoherent Inverse Scattering of 3-Dimensional Underground Cavity in Lossy Medium)

  • 홍성용;강진섭
    • 한국전자파학회논문지
    • /
    • 제10권3호
    • /
    • pp.378-391
    • /
    • 1999
  • 시간조화 평면파가 손실 매질내에 있는 high-contrast 구형 공동에 입사되었을 때 순방향에서 입사파 진행방향에 대해 수직인 측정면에서 계산된 입사파 분극방향(co-polarized) 총전계 전력을 주파수 평균하여 incoherent shadow 전계 전력패턴을 얻었다. 공동의 incoherent 영상은 구좌표 회전측정구조에서 얻은 incoherent shadow 전계 전력패턴을 역투시하여 얻었다. 비유전율이 2이고 도전율이 0.001, 0.003S/m인 손실매질내에 있는 공기로 채워진 구형 공동의 영상재현으로 이 영상재현법의 타당성을 보였으며, 보다 좋은 영상을 얻기 위한 조건들을 조사했다.

  • PDF

양성자 치료에서 영상 획득 시간에 따른 Off Line PET의 효율성 검증 (The Effect of PET Scan Time on the Off-Line PET Image Quality in Proton Therapy)

  • 홍건철;장준영;박세준;차은선;이혁
    • 핵의학기술
    • /
    • 제21권2호
    • /
    • pp.74-79
    • /
    • 2017
  • 양성자선을 이용한 치료는 기존의 광자를 이용하였을 때 보다 병소 주위 정상 조직에 영향을 거의 주지 않고 암세포를 치료할 수 있는 정밀한 방사선 치료법이다. 양성자선 조사 시 인체 내 조직과의 상호작용으로 양전자 방출 핵종이 발생하며 양전자 방출 단층촬영은 이러한 특성을 이용하여 양성자 치료 후 그 효과를 확인하는데 이용된다. 그러나 이 때 발생하는 소멸복사선은 짧은 반감기로 인하여 영상 획득 시간에 어려움이 발생하게 된다. 본 논문에서는 양성자선 조사 후 영상 획득 시간에 따른 영상의 차이를 비교하여 그 효율성을 알아보고자 한다. 증류수를 가득 채운 2001 IEC body 모형에 37, 28, 22 mm 구체를 삽입하고 구체의 중심에 양성자선이 조사되도록 CT로 치료 계획을 수립하였다. 양성자선은 wobbling technique, gantry $0^{\circ}$, 100 MU, 구체 크기별로 범위는 각각 16.4, 14.7, 9.3 cm로 조사하였다. 조사를 마친 모형은 약 5분의 거리를 이동하여 PET/CT로 1 분씩 50 개의 영상을 획득하여 1에서 10. 11에서 21, 21에서 30, 31에서 40, 41에서 50으로 10개씩 영상을 합산하여 재구성 하였다. 합산된 영상에서 열소 부위와 배후 방사능에 ROI를 그린 후 방사능 농도 값을 산출하고 대조도 잡음비를 계산하여 영상의 질을 평가하였다. 전체 영상의 CNR은 37 mm 구체에서 0.43, 0.42, 0.40, 0.31, 0.21로 나타났으며, 28 mm 구체는 0.36, 0.32, 0.27, 0.19, 0.09로 측정되었다. 22 mm의 구체는 0.25, 0.25, 0.19, 0.11, 0.08로 측정되었다. CNR은 37 mm 구체에서는 30분 이후에 빠르게 감소하였고, 28 mm와 22 mm 에서는 20분 이후에 급격히 감소하였다. 치료 효과 확인을 위한 PET 촬영에서 양성자선 조사 후 데이터의 획득 시점과 총 획득 시간이 매우 중요하다. 실험 결과에서 병소의 크기가 22 mm 이상이라고 가정한다면 영상 획득은 조사 후 25분 내에 완료될 수 있도록 진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종양의 크기가 작거나 저 선량이 조사될 경우에는 보다 긴 영상 획득 시간을 적용한다면 도움을 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The Effective Cross-sections of a Lensing galaxy: Singular Isothermal Sphere with External Shear

  • Lee, Dong-Wook;Kim, Sang-Joon
    • 천문학회보
    • /
    • 제40권1호
    • /
    • pp.77.1-77.1
    • /
    • 2015
  • We present our recent work published in the MNRAS (Lee and Kim, 2014). Numerical studies of the imaging and caustic properties of the singular isothermal sphere (SIS) under a wide range of external shear (from 0.0 to 2.0) are presented. Using a direct inverse mapping formula for this lensing system, we investigate various lensing properties for both low-shear (i.e. ${\gamma}$<1.0) and high-shear (i.e. ${\gamma}$ >1.0) cases. We systematically analyse the effective lensing cross-sections of double-lensing and quadruple-lensing systems, based on the radio luminosity function obtained by the Jodrell-VLA Astrometric Survey (JVAS) and the Cosmic Lens All-Sky Survey (CLASS). We find that the limit of a survey selection bias (i.e. between brighter and fainter images) preferentially reduces the effective lensing cross-sections of two-image lensing systems. By considering the effects of survey selection bias, we demonstrate that the long-standing anomaly over the high quads-to-doubles ratios (i.e. 50~70 % for JVAS and CLASS) can be explained by the moderate effective shear of 0.16~0.18, which is half that of previous estimates. The derived inverse-mapping formula could make the SIS + shear lensing model useful for galaxy-lensing simulations.

  • PDF

Visibility of Internal Target Volume of Dynamic Tumors in Free-breathing Cone-beam Computed Tomography for Image Guided Radiation Therapy

  • Kauweloa, Kevin I.;Park, Justin C.;Sandhu, Ajay;Pawlicki, Todd;Song, Bongyong;Song, William Y.
    • 한국의학물리학회지:의학물리
    • /
    • 제24권4호
    • /
    • pp.220-229
    • /
    • 2013
  • Respiratory-induced dynamic tumors render free-breathing cone-beam computed tomography (FBCBCT) images with motion artifacts complicating the task of quantifying the internal target volume (ITV).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tudy the visibility of the revealed ITV when the imaging dose parameters, such as the kVp and mAs, are varied. The $Trilogy^{TM}$ linear accelerator with an On-Board Imaging ($OBI^{TM}$) system was used to acquire low-imaging-dose-mode (LIDM: 110 kVp, 20 mA, 20 ms/frame) and high-imaging-dose-mode (HIDM: 125 kVp, 80 mA, 25 ms/frame) FBCBCT images of a 3-cm diameter sphere (density=0.855 $g/cm^3$) moving in accordance to various sinusoidal breathing patterns, each with an unique inhalation-to-exhalation (I/E) ratio, amplitude, and period. In terms of image ITV contrast, there was a small overall average change of the ITV contrast when going from HIDM to LIDM of $6.5{\pm}5.1%$ for all breathing patterns. As for the ITV visible volume measurements, there was an in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ITV of both the LIDM- and HIDM-FBCBCT images with an average difference of $0.5{\pm}0.5%$, for all cases, despite the large difference in the imaging dose (approximately five-fold difference of ~0.8 and 4 cGy/scan). That indicates that the ITV visibility is not very sensitive to changes in imaging dose. However, both of the FBCBCT consistently underestimated the true ITV dimensions by up to 34.8% irrespective of the imaging dose mode due to significant motion artifacts, and thus, this imaging technique is not adequate to accurately visualize the ITV for image guidance. Due to the insignificant impact of imaging dose on ITV visibility, a plausible, alternative strategy would be to acquire more X-ray projections at the LIDM setting to allow 4DCBCT imaging to better define the ITV, and at the same time, maintain a reasonable imaging dose, i.e., comparable to a single HIDM-FBCBCT scan.

감마선 분포탐지를 위한 조사구 및 차폐체에 관한 연구 (The study of collimator and radiation shield for the detection of the gamma-ray distribution)

  • 황영관;이남호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16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944-945
    • /
    • 2016
  • 감마선 영상화 장치에서 감마선을 탐지하는 검출부는 선원을 바라보는 Collimator와 Collimator 이외의 방향에서 입사되는 감마선을 차폐하기 위한 차폐체로 구성되며 검출센서는 해당 차폐체 내부에 위치하게 된다. 감마선에 대한 분포는 Collimator의 입사구를 통해 들어오는 신호와 검출부가 바라보는 방향에 대한 정보를 통해 분포를 나타낼 수 있다. 때문에 입사구에서 들어오는 신호 외에는 잡음으로 처리해야 하므로 차폐체의 역할이 중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상용 감마선 탐지장치의 보다 축소된 납 기반의 콜리메이터 및 차폐체에 대하여 구조와 물성을 변경하여 소형, 경량화 된 Collimator 및 차폐체를 제작하였다. 또한 감마선 조사시험시설을 이용하여 감마선 입사구의 측정된 신호값을 기준으로 차폐 효율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제작된 Collimator 및 차폐체가 영상화 장치구현를 구현하는데 보다 효율적임을 확인하였다.

  • PDF

3차원 표면 가시화를 위한 다각형 감소 알고리즘 (Polygon Reduction Algorithm for Three-dimensional Surface Visualization)

  • 유선국;이경상;배수현;김남현
    • 대한전기학회논문지:시스템및제어부문D
    • /
    • 제53권5호
    • /
    • pp.368-373
    • /
    • 2004
  • Surface visualization can be useful, particularly for internet-based education and simulation system. Since the mesh data size directly affects the downloading and operational performance, the problem that should be solved for efficient surface visualization is to reduce the total number of polygons, constituting the surface geometry as much as Possible. In this paper, an efficient polygon reduction algorithm based on Stokes' theorem, and topology preservation to delete several adjacent vertices simultaneously for past polygon reduction is proposed. The algorithm is irrespective of the shape of polygon, and the number of the polygon. It can also reduce the number of polygons to the minimum number at one time. The performance and the usefulness for medical imaging application was demonstrated using synthesized geometrical objects including plane. cube. cylinder. and sphere. as well as a real human data.

다양한 아이스 볼 형상에 대한 복합열전달의 수치해석 (Numerical Analysis of Conjugate Heat Transfer for Various Ice-Ball Shapes)

  • 박서원;김명수;전병진;최형권
    • 대한기계학회논문집B
    • /
    • 제40권9호
    • /
    • pp.605-612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캡슐형 빙축열시스템에 적용되는 다양한 형상들을 가지는 아이스 볼에 대한 복합열전달 해석들을 수행하였다. 형상은 구 형상과 열전달 표면적을 넓힐 수 있도록 설계한 3가지 다른 형상을 포함하여 총 4가지 형상을 고려하였다. 볼 주위의 유동은 레이놀즈 수 300의 층류 유동으로, 볼 외부와 내부의 강제대류 및 자연대류를 고려하여 시뮬레이션을 수행하였다. 상용해석 코드인 ANSYS- FLUENT를 사용하여 비정상 열유동 해석을 수행하였다. 볼의 형상이 열전달에 미치는 영향을 고찰하여, Bone, Dimple, Hole, Sphere 형태 순으로 열전달 효율이 좋음을 확인하였다. 전체해석 기간 동안에 캡슐 내부 유체의 평균온도 차이는 최대 $0.9^{\circ}C$정도였다. 대용량 시스템의 경우 축열조 내에 30만개 이상의 캡슐이 들어가므로 캡슐 형상이 시스템 효율에 미치는 영향이 중요함을 확인하였다.

The Lowest Dose for CT Attenuation Correction in PET/CT

  • Kang, Byung-Sam;Son, Jin-Hyun;Park, Hoon-Hee;Dong, Kyung-Rae
    • 대한디지털의료영상학회논문지
    • /
    • 제13권3호
    • /
    • pp.111-115
    • /
    • 2011
  • PET/CT(Positron Emission Tomography/Computed Tomography) is an examination combining morphological and functional information in one examin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e the lowest CT dose for attenuation correction in the PET/CT maintaining good image quality when considering CT scan dose to the patients. We injected $^{18}F$-FDG and water into the cylinder shaped phantom, and obtained emission images for 3 mins and transmission images(140 kVp, 8 sec, 10~200 mA for transmission images), and reconstructed the images to PET/CT images with Iterative method. Data(Maximum, Minimum, Average, Standard Deviation) were obtained by drawing a circular ROI(Region Of Interest) on each sphere in each image set with Image J program. And then described SD according to the CT and PEC/CT images as graphes. Through the graphes, we got the relationships of mA and quality of images. SDs according to CT graph were 16.25 at 10 mA, 7.26 at 50 mA, 5.5 at 100 mA, 4.29 at 150 mA, and 3.83 at 200 mA, i.e. the higer mA, the better image quality was presented. SDs according to PET/CT graph were 1823.2 at 10 mA, 1825.1 at 50 mA, 1828.4 at 100 mA, 1813.8 at 150 mA, and 1811.3 at 200 mA. Calculated SDs at PET/CT images were maintained. This means images quality is maintained having nothing to do with mA of high and low.

  • PDF

한국우주전파관측망(KVN)의 영상모의실험 (IMAGING SIMULATIONS FOR THE KOREAN VLBI NETWORK(KVN))

  • 정태현;이명현;노덕규;김현구;손봉원
    • Journal of Astronomy and Space Sciences
    • /
    • 제22권1호
    • /
    • pp.1-12
    • /
    • 2005
  • 한국우주전파관측망(Korean VLBI Network: KVN)은 우리나라 최초의 초장기선 전파간섭계로 새로운 천문우주 연구 분야 및 측지, 지구물리 등의 연구를 위하여 3기의 21m 최첨단 밀리미터파 전파 안테나를 이용하여 우주를 바라보는 새로운 영역을 개척할 예정이다. 전파간섭계의 성능은 안테나 배열 및 관측 대상 천체의 적위, 그리고 천체와 크기 및 형태에 따른 의존성이 매우 크다. 본 연구는 현재 설정되어있는 KVN관측소 및 시스템 자료를 근거로 단일 점광원, 다중 점광원, 원형광원 2개, Cygnus A의 5개 모델 영상에 대하여 가상관측을 수행하였다. 적위에 따른 KVN의 UV 궤적 분포로부터 가장 이상적이라고 여겨지는 적위 60도인 천체에 대하여 22GHz의 관측 파장으로 12시간 동안 가상관측을 수행하여 얻어진 UV데이터를 가지고 간섭계 표준 영상처리를 하였다. 그 결과 22GHz에서 예상되는 KVN의 빔 크기에 의해 분해가 되지 않는 모델들의 RMS 대비 최대밝기 강도(Jy/Beam)가 대략 점광원의 징우 l0000:1, 지름 6mas(milli arcsecond) 원형 광원의 경우 5000:1 정도로 매우 높은 반면, 빔 크기보다 큰 모델에서는 115:1 및 34:1정도로 현저하게 감소하였으며 영상의 복원 정도도 이와 같은 결과를 보였다. 이것은 KVN이 상대적으로 적은 기선의 개수로 인하여 UV평면을 충분히 채우지 못하며, 동시에 짧은 기선이 부족하여 넓은 분포를 가지는 천체들에 대한 영상화능력이 떨어지기 때문이다. 그러나 각 모델과 CLEAN 영상과의 픽셀 좌표비교에서는 12mas 원형광원을 제외하고는 정확하게 일치함을 보였다. 그러므로 KVN의 주요한 관측 대상은 콤팩트한 천체들이 적당할 것이며, 이러한 천체들에 대하여 KVN은 위치측정에 우수한 성능을 보였다.

Monte Carlo approach for calculation of mass energy absorption coefficients of some amino acids

  • Bozkurt, Ahmet;Sengul, Aycan
    • Nuclear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제53권9호
    • /
    • pp.3044-3050
    • /
    • 2021
  • This study offers a Monte Carlo alternative for computing mass energy absorption coefficients of any material through calculation of photon energy deposited per mass of the sample and the energy flux obtained inside a sample volume. This approach is applied in this study to evaluate mass energy absorption coefficients of some amino acids found in human body at twenty-eight different photon energies between 10 keV and 20 MeV. The simulations involved a pencil beam source modeled to emit a parallel beam of mono-energetic photons toward a 1 mean free path thick sample of rectangular parallelepiped geometry. All the components in the problem geometry were surrounded by a 100 cm vacuum sphere to avoid any interactions in materials other than the absorber itself. The results computed using the Monte Carlo radiation transport packages MCNP6.2 and GAMOS5.1 were checked against the theoretical values available from the tables of XMUDAT database. These comparisons indicate very good agreement and support the conclusion that Monte Carlo technique utilized in this fashion may be used as a computational tool for determining the mass energy absorption coefficients of any material whose data are not available in the literatu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