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llumination system

검색결과 1,043건 처리시간 0.043초

조도제어를 적용한 CIS 이미지 스케닝시스템 구현에 관한 연구 (The CIS Image Scanning System Realization with Illumination Control)

  • 김영빈;이영우;류광렬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해양정보통신학회 2003년도 추계종합학술대회
    • /
    • pp.277-279
    • /
    • 2003
  • 본 논문은 단일 광원의 CIS에서 조도제어를 적용한 흑백 이미지 스케닝시스템 설계 및 구현에 관한 연구이다. 스케닝 방법은 이미지 스켄센서를 고정한 상태에서 스텝모터를 이용하여 스케닝 하고자 하는 문서를 이동하는 종이공급 방식을 사용하였다. 소형의 최적화된 시스템을 구현하기 위해 전용의 영상처리프로세서를 사용하여 시스템을 구성하였고, 센서를 통해 피딩 스텝마다 1라인의 스케닝된 입력된 데이터는 시스템 메모리에 저장된다. 스케닝을 시작하면 CIS 광원을 ON하여 스케닝하는 문서에서 반사되는 데이터를 수집하게 되는데, CIS 광원을 주기적으로 ON/OFF 하여 스케닝하고자 하는 문서의 조도를 제어하도록 하였다 스케닝 환경에 따라 조도를 제어함으로서 스케닝 이미지에서 적용전의 이미지에 비하여 PSNR이 0.3% 향상 되었다.

  • PDF

천창루버에 의한 내부공간 바닥면 조도변화와 설치방식에 관한 연구 (A study of Illumination on Floor Surface by Flat Form Louver of Top Lighting System)

  • 김미희;태원진
    • 한국태양에너지학회 논문집
    • /
    • 제31권6호
    • /
    • pp.132-138
    • /
    • 2011
  • Inducing the natural lighting into building has been commonly applied to the spaces where artistic objects are displayed to create better visual environment for the appreciation. The direct natural lighting, especially through top lighting system may, however, bring forth discoloing of highly light-sensitive materials such as paintings or demanding additional cooling load. In addition, it causes to create glare against appreciators or to yield in visual distraction due to the extreme contrast on the inner surfaces of the spaces. Shading device such as louver is capable of preventing such voidable cases with careful manipulation. This study aims to provide basic design guide-line when the flat-form louver has to be applied to top lighting system. Interaction between the daylight and louver was simulated by Reluxpro program with variation of the attachment location, the angle of the lover, surface reflectivity, to obtain the illumination of the floor surface. This study yields the louver just under the top lighting window with 90 degree angle gives the most desirable way of employment when the uniform illumination on the floor surface is required.

The illumination system design of Integrated Screen 3D Display

  • Lin, Chu-Hsun;Lin, Chun-Chuan;Lo, Hsin-Hsiang;Chung, Shuang-Chao;Chen, Tian-Yuan;Wang, Chy-Lin
    • 한국정보디스플레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디스플레이학회 2009년도 9th International Meeting on Information Display
    • /
    • pp.1379-1382
    • /
    • 2009
  • The 3D display has been used in optical projection technology to connect twenty mini- projectors with seamless image tiling. In this way, we can improve the projected resolution by reducing each project screen and increase projected area by connect several mini-projectors. In this article, the illumination system uses the LED light source, non- telecentric structure and LCOS panel, and it's total length is less than 10 centimeter. It can build a seamless large display by tiling multiple projectors.

  • PDF

딸기 전조재배 온실의 인공광 설치실태 및 조도분포 조사분석 (Current Status of Lighting System and Illumination Distribution in the Greenhouse for Light Culture of Strawberries)

  • 김태한;장익주;이경진
    • Journal of Biosystems Engineering
    • /
    • 제24권1호
    • /
    • pp.19-24
    • /
    • 1999
  • Motivated by the need for developing the more efficient lighting system for light culture of strawberries in the greenhouse, this paper aims at acquiring and suggesting more concrete and scientific foundation of illuminating position, numbers of light source by investigating the types of lighting system and illumination distribution in the greenhouse for light culture of strawberries. The results of investigation and experiment are summarized as following below: 1. The types of lighting system used in the greenhouse producing strawberries were classified as 1 line and 2 lines lighting system. 2. As for the arranging types of artificial light, 2 lines lighting system, were classified as Z-type, N-type and W-type. (Refer Fig. 3) 3. The results of illumination distribution for Z-type, N-type and W-type of 2 lines illuminating system in the greenhouse with a small size tunnel measured at the height of 1.5m from the ground with 220V, 100W lamp in 6m light gap showed that maximum illuminance are 961x, 1211x, 1251x, minimum illuminance are 4.41x, 4.71x, average illuminance are 33.71x, 43.11x, 44.51x and standard deviations are 28.31x, 35.41x, 38.31x at each types. 4. Proportion of the area below optimal illuminance to floor area at the two lines illuminating system of Z-, N-, and W-type in greenhouse were appeared as 39.4%, 26.0% and 26.3%, respectively. Also proportion of the area over optimal illuminance to floor area at the two lines illuminating system of Z-, N-, W-type in greenhouse were appeared as 16.8%, 14% and 14.7%, respectively. Thus N-type was superior to the others from the view points of optimal illumination distribution and energy saving.

  • PDF

LED 조명의 색온도에 따른 집중도 및 시각적 변별력 평가 (Evaluation of Concentration and Visual Discrimination according to the Color Temperatures of LED Illumination)

  • 지순덕;김채복
    • 교육시설 논문지
    • /
    • 제18권3호
    • /
    • pp.23-33
    • /
    • 2011
  • This study investigates the evaluation on simple comparison and seeking hidden figures works under LED illumination conditions according to three types of color temperatures (7000K, 5000K, 3000K) in the classroom, Since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 electric lighting conditions suitable for students in the classroom, the performance of concentration and visual discrimination by students under three types of LED illumination conditions were analyzed. The 4 kinds of simple tests concerning with concentration and 2 types of tests for visual discrimination were developed, and test results under natural light and LED illumination by 3 types of color temperatures were analyzed. There were differences on concentration as well as visual discrimination performance in most cases by t-test ($p{\leq}0.05$). For further analysis among three types of color temperatures and natural light, ANOVA tests were performed. The test results shows that illumination condition plays an important role when students try to concentrate on simple comparison of characters, figures or colors and seek hidden figures. The experimental results of this study might be applied to designing better luminous environment.

  • PDF

마이크로웨이브센서와 디밍제어를 활용한 조명제어시스템 설계 및 구현 (Design of Illumination Control System Using Microwave Sensors and Dimming Control)

  • 송은성;민병원;오용선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3권12호
    • /
    • pp.19-26
    • /
    • 2013
  • 본 논문에서는 지하주차장 조명방식의 효율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디밍제어와 마이크로웨이브센서기술을 접목하여 새로운 조명제어시스템을 설계 구현한다. 이를 통하여 기존 시스템에 비하여 성능과 비용 측면에서 효율적인 조명체계를 확립하고 궁극적으로 에너지 절감효과를 얻고자 한다. 기존 아파트 지하주차장의 에너지 절감방식은 대부분 설계 당시 설치된 형광등을 전부 운영하지 않고 격등으로 운영하는 방책에 의존하고 있다. 일부에서는 이와 같은 격등 운영을 원활히 하기 위하여 적외선센서를 설치하여 형광등을 점 소등하거나, 타이머를 활용한 형광등의 점등시간을 조절하고 있다. 이러한 기존의 방식은 단순히 설계된 전기사용량에 비해 소모되는 양을 감소시키는 방식으로 체계적인 에너지 절감 효과를 기대할 수 없으며, 방치되는 경우 지속적인 소모가 발생하는 등 매우 비효율적으로 운영되고 있다. 본 조명제어시스템은 마이크로웨이브센서를 통해서 사물을 감지하여 조명등의 점등 시점을 알려주고, LED 형광등의 디밍제어를 통해 환경에 따라 그 밝기를 조정함으로써, 일정한 조도로 상시 점등되는 기존의 지하주차장 조명체계를 획기적으로 개선한다. 본 논문을 통하여 설계된 조명제어시스템을 일반 지하주차장 조명체계에 적용하여 검증을 실시한 결과 최대 약 81.9%의 에너지 절감효과를 얻었다.

360 VR 기반 파노라마 영상 구성을 위한 칼라 및 밝기 보상 알고리즘 (Color and Illumination Compensation Algorithm for 360 VR Panorama Image)

  • 남다윤;한종기
    • 방송공학회논문지
    • /
    • 제24권1호
    • /
    • pp.3-24
    • /
    • 2019
  • 360 VR 기반 파노라마 영상을 제작하는 과정에서 인접한 장면을 촬영한 영상들일 지라도 촬영 각도 및 조명의 위치에 따라 영상들 간에 밝기 변화가 크고 색상값에서도 큰 차이가 발생한다. 이런 영상들을 스티칭하여 360 VR 영상을 만들면, 제작된 파노라마 영상의 품질이 저하되기 때문에 밝기 보상 기법을 전처리 과정으로 사용해야 한다. 기존의 밝기 보상 기법들은 밝기 차이가 적은 경우 또는 적은 장수의 영상들을 스티칭하는 경우에 적용되도록 설계되었기 때문에, 360 VR 서비스용 스티칭 기법에서처럼 스티칭되는 영상의 개수가 많고, 영상들 간의 밝기 차이가 클 경우에는 성능 저하가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본 논문에서는 기존의 밝기 보상 기법이 급격한 밝기 차이가 발생하는 360 VR 서비스에서도 효과적으로 이용될 수 있도록 추가의 '색상 보정' 및 '밝기 보정' 단계를 전처리 과정으로 사용함으로써, 복잡도 증가는 최소화하면서 360 VR 영상 합성의 성능을 향상시키는 것을 목표로 한다. 본 논문에서는 다양한 환경에서 촬영된 실험 영상들을 이용해서, 제안하는 기술이 기존 기술들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음을 보이고 있다.

20대 남성의 낮은 조도의 평지 보행 시 보행 패턴 변화 (Changes of Walking Pattern for Young Adults dur ing Level Walking under Low Illumination)

  • 최진승;강동원;방윤환;탁계래
    • 한국운동역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381-386
    • /
    • 2010
  • This study examined the changes in the walking pattern during level walking under low illumination conditions. Fourteen male subjects ($22.1{\pm}2.21$ years, $174{\pm}3.74\;cm$, $68.86{\pm}10.81\;kg$) with normal vision and no disabilities were enrolled in this study. All experiments were performed on a level walkway with three conditions: normal walking (preferred & low speed) and walking with low illumination. 3D motion capturing system was used for acquisition and analysis of the walking motion data with a sampling frequency of 120Hz. The walking speed, normalized jerk(NJ) at the center of mass(COM), wrist and heel, knee and elbow joint angle, ratio of the knee joint angle to elbow joint angle and the toe clearance on stance phase were used to compare the differences in walking pattern between the two illumination condition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walking speed and joint angles decreased in low illumination, whereas the NJ and toe minimum clearance increased. In low illumination, most variables were similar to effects of low speed walking, but toe clearance was different from the effects of low speed. These results can be used as primary data for examining the changes in the level walking pattern of young adults under low illumination. Further study will be needed to compare these results in young adults with those in the elderly.

영농형 태양광 발전 솔라쉐어링에 따른 하부 일사량 변화의 해석 및 분석 (Simulation and Analysis of Solar Radiation Change Resulted from Solar-sharing for Agricultural Solar Photovoltaic System)

  • 이상익;최진용;성승준;이승재;이지민;최원
    • 한국농공학회논문집
    • /
    • 제62권5호
    • /
    • pp.63-72
    • /
    • 2020
  • Solar-sharing, which is an agricultural photovoltaic system installing solar panels on the upper part of crop growing field, has especially drawn attention. Because paddy fields for cultivating crops are large flat areas, there have been various attempts to utilize solar energy for solar photovoltaic as well as growth of crops in agriculture. Solar-sharing was first proposed in Japan, and has been actively studied for optimization and practical uses. The domestic climate differs from the climate conditions in which the solar-sharing has been widely studied, therefore, it is required to develop the solar-sharing technology suitable for the domestic climate. In this study, a simulation model was developed to analyze the change of solar radiation resulted from the solar-sharing installation. Monthly solar illumination intensity and the change of illumination intensity according to the various conditions of solar panel installation were simulated. The results of monthly illumination analysis differed by altitude of the sun, which was related to season. In addition, it was analyzed that the monthly illumination decreased by up to 42% due to solar-sharing. Accordingly, it is recommended that solar-sharing should be installed as a way to maximize the efficiency of solar photovoltaic system while minimizing the decrease in solar radiation reaching the crops.

조명 변화 감지에 의한 영상 콘트라스트 개선 (Image Contrast Enhancement by Illumination Change Detection)

  • 바잉뭉흐 어드게렐;이창훈
    • 한국지능시스템학회논문지
    • /
    • 제24권2호
    • /
    • pp.155-160
    • /
    • 2014
  • 영상처리를 통한 이동 물체 인식과 화질 개선 등의 연구에서 조명 변화가 성능에 큰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조명 변환에 대한 대응은 컴퓨터 비전 응용 분야에서의 중요한 관심사 중 하나이다. 조명 변화를 감지할 수 있게 되면 변화가 있는 시점에서부터 적절한 개선 알고리즘을 적용함으로써 인식률 향상 및 화질 개선 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급격한 조명 변화를 감지함에 있어 실시간성을 얻기 위하여 지역 정보를 이요하고 퍼지 논리를 도입하여 이를 효과적으로 감지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급격한 조명 변화를 감지하는 효과적인 방법으로 모서리 영역과 가운데 영역에 대한 각각의 히스토그램의 평균과 편차, 그리고 변화 추이를 반영하기 위하여 이전 프레임의 각 영역에 대한 히스토그램의 평균과 편차와의 변화량을 입력으로 급격한 조명 변화가 있을 때 입력 값의 변화 패턴을 퍼지 규칙으로 만들어 조명 변화를 감지하도록 하였다. 또한 움직이는 물체에 가려 발생하는 변화와 구별하기 위하여 전체 영역에 대한 평균과 편차 변화량을 도입하여 논리적으로 추론하여 차이를 구별할 수 있도록 하였고 점진적으로 조명이 변화하는 것을 감지할 수 있도록 하였다. 다양한 테스트 데이터에 대해 객관적인 정확도 측정 기법을 이용하여 민감도와 특이도를 계산하여 제안한 방법의 효용성을 보였다. 적응형 뉴로-퍼지 추론시스템을 도입하여 대비제한 적응 히스토그램 평활화 (CLAHE)의 매개 변수를 자동으로 선택할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하여 급격한 조명의 변화를 감지한 결과를 바탕으로 화질을 개선할 수 있음을 보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