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ap

검색결과 133건 처리시간 0.031초

EPC 플랜트 프로젝트의 초기 공정계획을 위한 통합 데이터 활용 방안 (Data-driven Interactive Planning Methodology for EPC Plant Projects)

  • 왕한겸;최재현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
    • 제20권2호
    • /
    • pp.95-104
    • /
    • 2019
  • EPC 플랜트 프로젝트는 규모와 복잡성 측면에서 시공 이전 단계의 계획 업무가 프로젝트 성패에 큰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프로젝트에 참여하는 주체간의 긴밀한 협력과 의사소통이 필수적이다. 본 연구는 이러한 필요성을 기반으로 플랜트 프로젝트에서 자산데이터를 활용하여 공정계획의 요소정보를 추출하고, 이를 패키지로 구성하여 초기 공정계획을 수행하는 방법론을 상호계획 (IAP, Interactive Planning)의 개념을 통해 제시한다. 프로젝트 초기단계에서 효과적인 IAP를 수행하기 위하여 자산 데이터로부터 공정요소정보를 추출하고 작업 패키지 단위의 공정 계획을 작성하며 작성된 공정계획을 평가하는 세 가지 단계를 제시하였으며 이를 샘플 프로젝트 사례에 적용하였다. 제시된 IAP 방법론을 통해 자산 데이터 활용성 증진과 공정 리스크 사전식별 및 대응책 개발을 도모할 수 있으며 이는 프로젝트를 성공적으로 완료하기 위한 공정 전략 수립의 기반이 될 수 있다.

복강 내압 항진증이 내과계 중환자의 예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Intra-Abdominal Hypertension on the Prognosis of Critically Ill Patients in the Intensive Care Unit (ICU))

  • 김세중;서정수;손명희;김수연;정기환;강은해;이승룡;이상엽;김제형;신철;심재정;인광호;유세화;강경호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61권1호
    • /
    • pp.46-53
    • /
    • 2006
  • 연구배경: IAP의 증가는 혈류량을 감소시켜 여러 장기에 영향을 준다. IAH는 IAP가 12 mmHg 이상 또는 APP가 60 mmHg 이하로, ACS는 IAP가 20 mmHg 이상이면서 동시에 하나 이상의 장기 손상이 있는 경우로 각각 정의한다. 저자들은 중환자에서 IAH 및 ACS의 유병률과 이들이 환자의 예후에 미치는 영향을 고찰하고자 하였다. 방 법: 고려대학교 의료원 중환자실에 입원하는 내과계 환자를 대상으로 하여, APACHE II 및 III 점수, SAPS II 점수를 기록하였다. IAP는 삼중관 요도관을 통하여, 입원 7일째까지 매일 3회 측정하였고, 환자가 사망하거나 일반 병실로 전실 또는 요도관을 제거할 때까지 계속하였다. 환자의 예후는 28일을 기준으로 판단하였다. 결 과: 총 111명 대상 환자들의 입원 1일 IAH 및 ACS의 유병률은 각각 47.7%, 15.3%였다. 사망군과 생존군 사이에 IAH의 유병률은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ACS는 사망군에서 더 높았다 (p=0.004). 사망군에서 IAP는 더 높았고 (p=0.012), APP는 유의하게 낮았다 (p<0.001). 결 론: 중환자에서 입원 1일에 측정한 IAP의 증가, APP의 감소 및 ACS 발생은 환자의 사망과 연관이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Okadaic Acid에 의한 FRTL-5 갑상선 세포주의 Apoptosis 유도 (Induction of Apoptosis in FRTL-5 Thyroid Cells by Okadaic Acid)

  • 조지형;정기용;박종욱
    • 대한두경부종양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142-149
    • /
    • 2002
  • 본 연구에서는 FRTL-5 갑상선세포에서 Protein phosphatase type 1(PP-1)과 type 2A(PP-2A) 효소의 억제제인 okadaic acid에 의한 apoptosis 유도 기전에 대하여 이해하고자 하였다. FRTL-5 갑상선세포에 다양한 농도($10{\sim}80nmol$)의 okadaic acid를 처리 한 후 caspase 3와 $PLC-{\gamma}1$ 분절을 확인 한 결과 40nmol 농도에서부터 caspase 3활성과 $PLC-{\gamma}1$ 분절이 나타남을 확인하였다. Okadaic acid에 의한 apoptosis 유도 기전을 조사한 결과 anti-apoptotic 기능이 있는 Bcl-2 단백질 발현은 미약하게 감소하였으나 Bcl-xL은 농도 의존적으로 급격한 감소를 보였다. Caspase 3 효소활성을 저해하는 IAP 단백질 중 cIAP2는 okadaic acid에 영향을 받지 않았으나 cIAP1과 XIAP 단백질 발현은 농도 의존적으로 감소하였다. Okadaic acid에 의한 apoptosis 유도는 caspase 3 의존적인 기전을 보였다. Caspase 3 특이억제제를 okadaic acid와 동시에 처리 시 apoptosis가 억제되었으며 $PLC-{\gamma}1$ 단백질의 절단 현상도 방지되었다. Caspase 3의 활성을 유도하는 cytochrome c의 유리는 okadaic acid처리 농도에 의존적으로 유리하였다. 결론적으로, okadaic acid에 의한 apoptosis 유도는 caspase 3 의존적이며, Bcl-2와 IAP family 단백질 감소현상에 의하여 야기되는 것으로 생각된다.

감의 연화와 관련된 세포벽다당류의 변화 (Softening Related Changes in Cell Wall Polysaccharides of Persimmon)

  • 김순동;박남숙;강명수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158-162
    • /
    • 1986
  • 감의 연화에 따른 세포벽다당류의 조성과 함량 및 gel여과를 통한 개략적인 분자량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조세포벽의 함량은 연화된 감에서 현저히 감소되었는데 구체적으로 ionically associated pectin (IAP )은 59%, covalently bounded pectin (CBP)은 60%, $0{\sim}3N$ KOH soluble hemicellulosic fraction($HF_2$)은 74%가 감소된 반면 4N KOH soluble hemicellulosic fraction($HF_2$)과 cellulosic fraction(CF)은 큰 변화가 없었다. 신선한 감과 연화된 감의 IAP와 CBP 구성다당류의 조성은 uronic acid외에 hemicellulose에 유래한 Pentose와 hexose가 함유되어 있었고 연화에 따라 IAP에서는 pentose가 CBP에서는 hexose가 감소되었다. 개략적인 분자량은 IAP의 400만과 25만의 Peak이 130만과 6만으로, CBP의 경우는 400만이상의 Peak이 60만과 20만으로 CBP에서의 저분자화 정도가 현저하였다. $HF_1$$HF_2$ 역시 polyuronide의 함유율이 높았는데, $HF_2$가 현저하였다. 또 연화에 따라 $HF_1$은 pentose가 $HF_2는$ uronic acid와 hexose의 손실율이 높았다. $HF_1$의 연화에 따른 재략적인 분자량은 200만의 peak이 2개로 분리 되었고 $HF_2$는 수백만 단위의 거대분자가 만단위까지 저분자화 하였다. 이상의 결과에서 감의 연화는 CBP에 인결된 hemiceldlose중 특히 $HF_2$의 저분자화와 CBP자체의 분해 내지가용화 현상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 PDF

복부개방(Open abdomen) 환자에서 인공막(Artificial Mesh)를 이용한 근막봉합술 (Abdominal Wall Closure Using Artificial Mesh for Patients with an Open Abdomen)

  • 차성환;심홍진;장지영;이재길
    • Journal of Trauma and Injury
    • /
    • 제25권4호
    • /
    • pp.172-177
    • /
    • 2012
  • Purpose: After damage control surgery, abdominal wall closure may be impossible due to increased intra-abdominal pressure (IAP), and primary closure may induce abdominal compartment syndrom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changes in the IAP and the feasibility of abdominal wall closure using artificial mesh. Methods: From July 2010 to July 2011, 8 patients with intra-abdominal hypertension underwent abdominal wall closure using artificial mesh. Medical data such as demographics, diagnosis, operation, IAP, postoperative complications, mortality and length of hospital stays were collected and reviewed, retrospectively. One patient was excluded because of inadequate measurement of the IAP. Results: Seven patients, 4 males and 3 females, were enrolled, and the mean age was 54.1 years old. Causes of operations were six traumatic abdominal injuries and one intra-abdominal infection. The IAP was reduced from $21.9{\pm}6.6mmHg$ before opening the abdomen to $15.1{\pm}7.1mmHg$ after fascial closure. Fascial closure was done on $14.9{\pm}17.5$ days after the first operation. The mean lengths of the hospital and the intensive care unit (ICU) stays were 49.6 days and 29.7 days respectively. Operations were performed $3.1{\pm}1.5$ times in all patients. Two patients expired, and one was transferred in a moribund state. Three patients suffered from complications, such as retroperitoneal abscesses, enterocutaneous fistulas, and bleeding that was related to the negative pressure wound therapy. Conclusion: After abdominal wall closure using artificial mesh, intra-abdominal pressure was well controlled, and abdominal compartment syndrome does not occur. When the abdominal wall in patients who have intra-abdominal hypertension is closed, artificial mesh may be useful for maintaining a lower abdominal pressure. However, when negative pressure wound therapy is used, the possibility of serious complications must be kept in mind.

산화질소와 IAP 조절을 통한 감귤 미성숙과의 cisplatin-유발 흑색종 A375 세포의 자연사멸 증강 효과 (Immature Citrus Fruit Extracts Enhance the Apoptosis Inducing Potential of Cisplatin in Human Malignant Melanoma A375 Cells via Regulation of Nitric Oxide and Inhibitor of Apoptosis Family (IAP))

  • 김지혜;김민영
    • 생명과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454-460
    • /
    • 2014
  • 선행연구에서 감귤 미성숙과 메탄올 추출물이 다량의 생리활성 물질을 함유하고 있다는 것을 보고한 이래, 본 연구에서 감귤 미성숙과를 cisplatin과 병용 시 인간 흑색종 A375 세포를 대상으로 강력한 자연사멸능을 유도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감귤 미성숙과가 cisplatin에 의한 자연사멸능 증가에 관한 메커니즘을 조사한 결과, 산화질소 합성효소(NOS)의 활성증가로 인한 산화질소 발생량 증가와 더불어 항자연사멸 신호인자인 IAP의 발현을 감소시킴으로 인간 흑색종 세포의 자연사멸을 촉진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는 감귤 미성숙과와 cisplatin의 병용 요법이 흑색종 치료 효율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며 이러한 효과를 입증하기 위한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이라 사료된다.

Sequence Analysis of iap Gene PCR Products using Listeria monocytogenes Serotypes

  • Kang Sun-Mo;Kang Ji-Hee;Lee Myung-Suk
    •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 /
    • 제5권1호
    • /
    • pp.54-58
    • /
    • 2002
  • The polymerase chain reaction (PCR) amplification technique was used for comparison of Listeria monocytogenes serotypes. PCR primers for the fragment of invasion-associated protein (iap) gene were highly specific for all the serotypes of L. monocytogenes. Other Listeria spp., such as Listeria ivanovii and Listeria innocua were not produced the PCR fragments by above primer set. The nucleotide sequences of PCR products showed high homologies in comparison of all the isolated serotypes except unknown type II-2. The deduced amino acid sequences of the PCR products also showed similar to one another. The various region of the PCR products, called a Thr-Asn repeat region was presented. All of isolated L. monocytogenes serotypes possessed 16 to 20 Thr-Asn repeats.

인체 전립선 상피세포에서 HDAC 저해제 trichostatin A의 caspase 및 NF-κB의 활성화를 통한 apoptosis 유도 (Induction of Apoptosis by HDAC Inhibitor Trichostatin A through Activation of Caspases and NF-κB in Human Prostate Epithelial Cells.)

  • 박철;김성윤;최병태;이원호;최영현
    • 생명과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336-343
    • /
    • 2008
  • 본 연구에서는 인체전립선 상피세포인 267B1 세포에서 HDAC 저해제인 TSA에 의한 증식억제가 apoptosis 유도에 의한 것임을 제시하였다. 이러한 TSA에 의한 267B1 세포의 apoptosis에는 c-IAP-1 및 c-IAP-2와 같은 IAP family의 발현감소가 동반되었으나 Bax 및 Bcl-2와 같은 Bcl-2 family의 발현에는 큰 변화가 없었다. 그리고 TSA에 의한 267Bl 세포의 apoptosis는 caspase의 활성에 의한 표적 단백질들의 분해와 연관성이 있었다. 또한 TSA에 의한 apoptosis 유도에서 $NF-{\kappa}B$의 활성이 증가된다는 것을 세포질에서 $NF-{\kappa}B$의 핵 내로의 이동에 따른 전사활성의 증가 현상에 의한 것임을 다양한 방법으로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TSA와 같은 HDAC 저해제에 의한 apoptosis 유도에는 $NF-{\kappa}B$의 활성 증가가 동반될 수 있음을 보여주는 결과로서 HDAC 저해제의 항암활성에 대한 $NF-{\kappa}B$의 새로운 역할 가능성을 제시하여 주는 것으로서 이에 관한 추가적인 연구의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Bcl-2 및 IAP family의 발현 변화와 caspase 활성을 통한 봉독의 인체폐암세포 apoptosis 유도 (Induction of Apoptosis by Bee Venom in A549 Human Lung Epithelial Cancer Cells through Modulation of Bcl-2 and IAP Family and Activation of Caspases)

  • 우현주;김현중;홍수현;홍상훈;최병태;이용태;박동일;최영현
    • 생명과학회지
    • /
    • 제17권11호
    • /
    • pp.1596-1600
    • /
    • 2007
  • 본 연구에서 봉독의 apoptosis 유도에 의한 항암기전 효능을 A549 인체폐암세포를 대상으로 조사하였으며, apoptosis 유발에 관여할 것으로 예상되는 중요한 유전자들의 발현 및 활성에 미치는 봉독의 영향을 조사하였다. A549 세포의 생존율은 봉독의 처리 농도 증가에 따라 강력하게 억제되었으며, 이는 염색질 응축 현상을 동반한 apoptosis 유발에 의한 것임을 알 수 있었다. 봉독 처리에 의한 apoptosis 유발은 Bax 및 Bcl-xL의 발현 변화 없이 Bcl-2의 발현 감소에 따른 상대적인 Bax의 발현 증가와 IAP family에 속하는 인자들의 발현 감소 및 caspase의 활성화와 연관성이 있었다.

영지 약침액이 인체 위암 세포 성장억제 및 세포사멸 유발에 미치는 영향 (Induction of Apoptosis in AGS Human Gastric Cancer Cell by Ethanol Extract of Ganoderma lucidum)

  • 이병훈;김홍기;김철홍;윤현민;송춘호;장경전
    • Korean Journal of Acupuncture
    • /
    • 제29권2호
    • /
    • pp.271-289
    • /
    • 2012
  • Objectives : Ganoderma lucidum(Ganoderma or lingzhi, 靈芝) is a well-known oriental medical mushroom containing many bioactive compounds. The possible mechanisms involved in its effects on cancer cells remain to be elucidated. In the present study, the anti-proliferative and apoptotic activities of the G. lucidum ethanol extract(GEE), in AGS human gastric cancer cells were investigated. Methods : It was found that exposure of AGS cells to GEE resulted in the growth inhibition in a dose and time dependent manner as measured by trypan blue count and MTT assay. The anti-proliferative effect of GEE treatment in AGS cells was associated with morphological changes and formation of apoptotic bodies, and the flow cytometry analysis confirmed that GEE treatment increased the populations of apoptotic-sub G1 phase. Growth inhibition and apoptosis of AGS cells by GEE were connected with a concentration and time-dependent up-regulation of tumour necrosis factor-related apoptosis-inducing ligand(TRAIL) expression. Results : The levels of XIAP and survivin expression, members of IAP family proteins, were gradually down-regulated by GEE treatment. However other members of IAP family proteins such as cIAP-1 and cIAP-2 remained unchanged in GEE-treated AGS cells. GEE treatment also induced the proteolytic activation of caspase-3, caspase-8 and caspase-9 and a concomitant degradation of poly(ADP-ribose) polymerase(PARP) protein, a caspase-3 substrate protein. Additionally, GEE-induced apoptosis was associated with the inhibition of Akt activation in a concentration and time-dependent manner, and pre-treatment with LY294002, a phosphoinositide 3-kinase(PI3K)/Akt inhibitor, significantly increased GEE-induced growth inhibition and apoptosis. Conclusions : Therefore, G. lucidum has a strong potential as a therapeutic agent for preventing cancers such as gastric cancer cell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