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ypopigmentation tyrosinase

검색결과 12건 처리시간 0.014초

KHG26792 Inhibits Melanin Synthesis in Mel-Ab Cells and a Skin Equivalent Model

  • Li, Hailan;Kim, Jandi;Hahn, Hoh-Gyu;Yun, Jun;Jeong, Hyo-Soon;Yun, Hye-Young;Baek, Kwang Jin;Kwon, Nyoun Soo;Min, Young Sil;Park, Kyoung-Chan;Kim, Dong-Seok
    • The Korean Journal of Physiology and Pharmacology
    • /
    • 제18권3호
    • /
    • pp.249-254
    • /
    • 2014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haracterize the effects of KHG26792 (3-(naphthalen-2-yl(propoxy)methyl)azetidine hydrochloride), a potential skin whitening agent, on melanin synthesis and identify the underlying mechanism of action. Our data showed that KHG26792 significantly reduced melanin synthesis in a dose-dependent manner. Additionally, KHG26792 downregulated microphthalmia-associated transcription factor (MITF) and tyrosinase, the rate-limiting enzyme in melanogenesis, although tyrosinase was not inhibited directly. KHG26792 activated extracellular signal-regulated kinase (ERK), whereas an ERK pathway inhibitor, PD98059, rescued KHG26792-induced hypopigmentat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KHG26792 decreases melanin production via ERK activation. Moreover, the hypopigmentary effects of KHG26792 were confirmed in a pigmented skin equivalent model using Cervi cornus Colla (deer antler glue), in which the color of the pigmented artificial skin became lighter after treatment with KHG26792. In summary, our findings suggest that KHG26792 is a novel skin whitening agent.

B16/F10 흑색종 세포에서 S-Adenosylhomocysteine Hydrolase 의 선택적 저해제 3-Deazaneplanocin A 에 의한 (Melanogenesis Promotion by 3-Deazaneplanocin A, a Specific Inhibitor of S-Adenosylhomocysteine Hydrolase, in B16/F10 Melanoma Cells)

  • 황윤정;부용출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47권2호
    • /
    • pp.107-121
    • /
    • 2021
  • 백색증이나 백반증에서 관찰되는 피부 저색소침착은 유전적 요인, 후성유전적 요인 및 기타 요인에 의해 멜라닌 합성이 감소할 때 발생한다. 세포에서 멜라닌 합성을 촉진 할 수 있는 약물 후보를 확인하기 위해 141개의 세포 투과성 저분자 약물로 구성된 후성유전적 조절제 라이브러리를 스크리닝했다. B16/F10 쥐 흑색종 세포를 0.1 𝜇M에서 각 약물로 처리하고 멜라닌 합성 및 세포 생존력을 모니터링했다. 그 결과, (-)-네플라노신 A, 3-디아자네플라노신 A (DZNep) 및 DZNep 염산염이 세포 독성을 일으키지 않고 멜라닌 합성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세 가지 구조적으로 관련된 약물은 세포 멜라닌 합성 및 세포 생존력에 유사한 용량 의존적 효과를 나타내었기 때문에 DZNep을 추가 실험을 위한 대표 약물로 선택하였다. DZNep는 세포내 멜라닌 함량과 티로시나제(TYR) 활성을 증가 시켰다. DZNep은 또한 mRNA와 단백질 수준에서 TYR, 티로시나제 관련 단백질 1 (TYRP1) 및 도파크롬 토토머라제 (DCT)의 발현을 유도했다. DZNep는 또한 멜라닌 합성의 주요 조절자인 소안구증 관련 전사 인자(MITF)의 mRNA와 단백질 발현을 유도했다. DZNep은 S-아데노실 호모시스테인 가수분해효소의 선택적 억제제이며 히스톤 메틸화효소를 저해하는 S-아데노실 호모시스테인의 세포내 축적을 유발하였다. 이 연구는 특정 세포 상황에서 S-아데노실 호모시스테인 가수분해효소를 표적함으로써 멜라닌 생성이 조절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