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ypopharynx

검색결과 125건 처리시간 0.021초

유리 피판을 이용한 인두식도 결손의 재건 (Reconstruction of Pharyngoesophageal Defects Using free Flaps)

  • 문지현;이내호;양경무
    • Archives of Reconstructive Microsurgery
    • /
    • 제8권2호
    • /
    • pp.154-162
    • /
    • 1999
  • 저자들은 1990년 12월부터 1999년 2월까지 48례의 경우에서 하인두에 발생한 악성종양을 광범위 절제한 후 유리피판 또는 근피판을 이용하여 재건하였다. 39례에서 유리공장 피판, 5례에서 유리전박 피판을 tubing 형태로 사용했으며, 2례에서는 유리전박 피판을 patch 형태로 사용하였고, 2례에서는 대흉근 근피판을 이용하여 경부식도를 재건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1. 하인두의 악성종양이 고령의 나이에 발생한다는 사실을 감안했을 때 유리전박 피판에 비해 급양공장루를 통해 조기에 영양섭취가 손쉬운 유리공장 피판이 환자의 상태를 정상으로 회복시키는데 장점이 있었다. 2. 술후 가장 흔한 합병증인 누공의 발생은 문합을 제대로 시행했을 경우 우려할 필요 없으며, 따라서 술후에 시행하는 식도조영검사는 누공의 증상이 있는 경우에만 선별적으로 실시해야 할 것이다. 3. 문합부 내경의 협착이 우려될 때는 직경이 큰 비강영양튜부(nasogastric tube)를 조기에 삽입하여 극단적인 협착을 감소시키고, 영양섭취 경로를 확보해야 한다. 4. 문합부 협착을 예방하기 위해 상하부 문합부 모두를 파형으로 도안하여 피판을 문합 봉합해야 하며, 협착이 의심스러울 때는 내시경검사를 시행하여 확진해야 한다. 5. 혈관문합은 유리전박 피판을 시행하는 경우에 있어서 수월하였으며, 유리공장 피판을 시행할 때는 술전에 정맥이식을 고려해야 한다.

  • PDF

두경부 편평세포암종의 경부 전이에 대한 F-18 FDG PET의 진단적 유용성 (Diagnostic Usefulness of FDG-PET in Cervical Metastasis of Squamous Cell Carcinoma of the Head and Neck)

  • 김찬종;김재승;강우석;남순열;최승호;김상윤
    • 대한두경부종양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142-147
    • /
    • 2003
  • Purpose: Accurate evaluation of metastatic cervical lymph nodes plays a decisive role in the treatment and prognosis of patients with squamous cell carcinoma of the head and neck.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usefulness of FDG-PET for diagnosis of cervical metastasis in the head and neck cancer by comparing with the conventional imaging study. Materials and Methods: The subjects on this study were 30 patients (24 males and 6 females, aged 39 to 76, mean 57.1) diagnosed as pathologic-proven squamous cell carcinomas of the head and neck. All patients underwent preoperative FDG-PET, CT(n=27) or MRI (n=3). Their medical records were reviewed retrospectively. Using pathologic reports as a golden standard, the results of FDG-PET were compared with conventional imaging study (CT/MRI) in the evaluation of cervical metastasis. Results: Thirty patients had five different primary sites which were tongue (11), supraglottis (10), glottis (6), hypopharynx (2) and tonsil (1). A total of 40 neck dissections were performed unilaterally in 20 patients and bilaterally in 10 patients. Of these, 16 showed pathologically positive for lymph node metastasis. The sensitivity and specificity of FDG-PET for the diagnosis of cervical metastasis was 75% and 100% respectively, compared with conventional imaging of 56.3% and 95.8%, respectively. The difference of sensitivity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p=0.453). Of 5 cases with small metastatic node (<1cm), 3 were detected on PET detected correctly but none were detected by CT. Conclusion: FDG-PET was more accurate than conventional imaging study in the diagnosis of metastatic lymph nodes in squamous cell carcinomas of the head and neck, especially detection of small metastatic node. FDG-PET might be useful adjunct to conventional image in the preoperative evaluation of head and neck squamous cell carcinoma.

후두전적출술 후 기공주변의 재발 (Stomal Recurrence after Total Laryngectomy - A Critical Analysis of Etiology and Therapeutic Problems­)

  • 최종욱;정광윤;오재훈;김용환;김병훈
    • 대한두경부종양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152-156
    • /
    • 1994
  • 최근 10년간 후두전적출술을 시행하였던 159례 중 기공주변 재발이 발생하였던 12례에 대하여 후향적으로 분석함으로써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기공주변의 재발은 1차 치료종결후 평균 8.23개월에 발견되었으며, 발생빈도는 7.55%이었다. 2) 추정 원인은 광범위한 원발병소로 인한 부적절한 절재연, 기관절개술후 근치수술의 지연, 불완전한 림프전이절의 처리 순이었다. 3) 7례는 항암화학요법(국소 또는 전신적)과 고식적 방사선요법을 시행하였으며, 5례는 구제수술을 시행한 후 고식적 방사선요법 및 항암화학요법을 시행하였으나 구제수술을 받은 제 1형 1례를 제외하고는 모두 사망하였으며, 평균 생존기간은 $7.32{\pm}5.61$개월 이었다. 이상의 성적에서 기공주변의 재발 가능성이 높은 고위험군에 대하여는 광범위한 절제 후 적극적인 추적관찰과 더불어 과감한 구제수술로 생존기간을 연장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되었다.

  • PDF

Cone-beam CT를 이용한 골격성 III급 부정교합자의 하악골 후퇴술 후 상기도 변화에 관한 연구 (Three dimensional cone-beam CT study of upper airway change after mandibular setback surgery for skeletal Class III malocclusion patients)

  • 김나리;김용일;박수병;황대석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40권3호
    • /
    • pp.145-155
    • /
    • 2010
  • 악교정 수술은 안면골격형태 뿐만 아니라 상기도 공간에도 영향을 준다. 본 연구는 골격성 III급 부정교합자 중 하악골 후퇴술을 시행 받은 환자를 대상으로 상기도 공간의 부피변화를 관찰하기 위하여 시행되었다. 기존의 연구들이 측모두부방사선사진을 중심으로 시행하였으나 본 연구에서는 3차원 cone-beam computed tomography (CBCT)를 이용하여 영상을 재구성한 뒤 분석하였다. 연구 대상은 하악골 후퇴술을 시행 받은 20명(남성 12, 여성 8)이었으며, 수술 전 평균 1.8주(Baseline), 술 후 평균 2.3개월(T1) 그리고 술 후 평균 1년(T2) 시기에 CBCT를 촬영하였다. 상기도공간은 기준평면에 따라 비인두, 구인두, 하인두로 나누어 계측하고 Baseline, T1, T2를 각각 비교하였다. 결과로 수술 후 2.3개월(T1)시기에 상기도 공간은 상당히 감소하였으며 (p < 0.001), 술 후 1년 후(T2)에도 감소된 양은 증가하지 않았다. 구인두는 상기도 공간 중 가장 많은 감소폭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로 하악골후퇴술은 상기도 공간을 장 단기간동안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강과 인후두의 악성종양 치료시 발생한 누공의 진단과 치료 (Diagnosis and Treatment of Pharyngocutaneous Fistula After Treatment of Oral Cavity and Pharyngolaryngeal Cancer)

  • 홍현준;송승용;이원재;유대현;나동균
    • Archives of Plastic Surgery
    • /
    • 제36권5호
    • /
    • pp.611-616
    • /
    • 2009
  • Purpose: The rate of fistulas occuring followed by resection of oral cavity, oropharyngeal, hypopharyngeal, and laryngeal cancer are reported to be 9 ~ 23% according to various documents. Neglected treatment of the fistula can result in a setback in proper treatment with restrictions in oral intake leading to delayed return to daily life. Furthurmore, in severe cases, it may injure important vessels and adjacent structures of the neck area. The author reviewed previously reported cases of treatment methods for fistulas recurring after diverse head and neck operations and with sharing the treatment experiments of our patients, we tried to present a treatment algorism for different fistula types. Methods: Our study was based on retrograde analysis of 64 patients who were clinically diagnosed with fistula after operation for cancer of the head and neck from 1997 to 2008 at Severance Hospital. Their primary sites of cancer were 8 oral cavity, 22 oropharynx, 25 hypopharynx, and 9 larynx. The patients were aged 45 to 75 years and the male to female ratio was 11 to 1. The patient's operation records and progress notes were evaluated for determination of degree of fistula and treatment methods. Results: Most fistulas were clinically suspected after postoperative 5 days and symptoms noted for detection of the fistula were erythema, purulent discharge, edema, tenderness, and fluctuation. The fistula was definitely diagnosed at postoperative 2 weeks with barium test and treatment method ranging from conservative management to operative procedure were applied to each patients. Total 21 patients were managed with conservative protocol. In 15 cases, direct repair of the fistula was done and more stable repair of the fistula was possible with using of TachoComb$^{(R)}$. Pharyngostoma was performed in 14 patients. Among them, 4 patients healed spontaneously, 5 patients were taken direct closure, 4 patients were taken pectoralis major musculocutaneous flap, and one patient was taken esophageal transfer. The other 14 patients were taken 11 pectoralis major musculocutaneous flaps and 3 free flaps without pharyngostoma formation. Conclusion: Fistula is a troublesome complication resulting after resection of head and neck cancer. Early detection and adequate treatment according to the period and condition of the fistula may prevent further complications and reduce the pain of the patient.

Optimal timing for salvage surgery after definitive radiotherapy in hypopharyngeal cancer

  • Chun, Seok-Joo;Keam, Bhumsuk;Heo, Dae Seog;Kim, Kwang Hyun;Sung, Myung-Whun;Chung, Eun-Jae;Kim, Ji-hoon;Jung, Kyeong Cheon;Kim, Jin Ho;Wu, Hong-Gyun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36권3호
    • /
    • pp.192-199
    • /
    • 2018
  • Purpose: Use of radiotherapy combined with chemotherapy is increasing in hypopharyngeal cancer. However, many show residual tumor after radiotherapy. Timing for treatment evaluation and salvage therapy is essential. However, optimal timing for salvage surgery has not been suggested. In this study, we tried to evaluate optimal timing for salvage surgery. Methods and Materials: Patients who were diagnosed with hypopharyngeal squamous cell carcinoma between 2006 and 2015 were retrospectively analyzed. All patients received definitive radiotherapy with or without chemotherapy. Response of all treated patients were analyzed at 1, 3, and 6 months after radiotherapy. Any patients with progression before 6 months were excluded. Results: A total of 54 patients were analyzed. Complete remission (CR) rates at 1 month (CR1), 3 months (CR3) and 6 months (CR6) were 66.7%, 81.5%, and 90.7%, respectively. Non-CR at 1 month (NCR1), 3 months (NCR3), and 6 months (NCR6) showed poor locoregional recurrence-free survival rates (1-year rates of 63.7%, 66.7%, and 0.0%, respectively) compared to CR1, CR3, and CR6 (1-year rates 94.3%, 88.0%, and 91.5%, respectively). Particularly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seen between CR6 and NCR6 (p < 0.001). Of 10 patients with NCR3, 5 showed CR at 6 months (NCR3/CR6). There was no statistical difference in locoregional recurrence-free survival between CR3 and NCR3/CR6 group (p = 0.990). Conclusion: Our data suggest half of patients who did not show CR at 3 months eventually achieved CR at 6 months. Waiting until 6 months after radiotherapy may be appropriate for avoiding additional salvage therapy.

구강암과 구인두암의 절제술 후 전완유리피판술을 이용한 재건술 (Reconstruction with Radial Forearm Free Flap after Ablative Surgery for Oral Cavity and Oropharyngeal Cancers)

  • 조광재;천병준;선동일;조승호;김민식
    • 대한두경부종양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41-46
    • /
    • 2003
  • Background and Objectives: Surgical ablation of tumors in the oral cavity and the oropharynx results in a three dimensional defect because of the needs to resect the adjacent area for the surgical margin. Although a variety of techniques are available, radial forearm free flap has been known as an effective method for this defect, which offers a thin, pliable, and relatively hairless skin and a long vascular pedicle. We report the clinical results of our 54 consecutive radial forearm free flaps used for oral cavity and oropharynx cancers. Materials and Methods: We reviewed the medical records of patients who were offered intraoral reconstruction with a radial forearm free flap after ablative surgery for oral cavity and oropharyngeal cancers from August 1994 to February 2003 and analyzed surgical methods, flap survival rate, complication, and functional results. Among these, 20 cases were examined with modified barium swallow to evaluate postoperative swallowing function and other 8 cases with articulation and resonance test for speech. We examined recovery of sensation with two-point discrimination test in 15 cases who were offered sensate flaps. Results: The primary sites were as follows : mobile tongue (18), tonsil (17), floor of mouth (4), base of tongue (2), soft palate (2), retromolar trigone (3), buccal mucosa (1), oro-hypopharynx (6), and lower lip (1). The paddles of flaps were tailored in multilobed designs from oval shape to tetralobed design and in variable size according to the defects after ablation. This procedures resulted in satisfactory flap success rate (96.3%) and showed good swallowing function and social speech. Eight of 15 cases (53.3%) who had offered sensate flap showed recovery of sensation between 1 and 6 postoperative months (average 2.6 month). Conclusion: The reconstruction with radial forearm free flap might be an excellent method for the maximal functional results after ablative surgery of oral cavity and oropharyngeal cancers that results in multidimensional defect.

두경부암의 종격동 림프절 전이: 예측인자 및 영상 소견 (Mediastinal Lymph Node Metastasis from Head and Neck Cancer: Predictive Factors and Imaging Features)

  • 고일권;윤대영;백소라;홍지현;윤은주;이인재
    • 대한영상의학회지
    • /
    • 제82권5호
    • /
    • pp.1246-1257
    • /
    • 2021
  •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두경부암의 종격동 림프절 전이의 예측인자와 영상 소견을 알아보고자 함이다. 대상과 방법 이 연구에서 저자들은 두경부암 환자 중에서 종격동 림프절 전이그룹과 비전이 그룹 사이의 임상 소견 및 질병의 특성(성별, 연령, 원발성 종양 부위, 조직학적 유형, 악성종양에 대한 이전 치료이력, T-, N- 및 M- 단계, 경부 림프절 전이) 들을 비교하였다. 또한 저자들은 전이그룹에서 종격동 림프절 분류에 따라 림프절 전이의 흉부 전산화단층촬영(전이분포와 림프절 최대직경) 및 양전자방출단층촬영/전산화단층촬영(최대 표준섭취계수)의 소견을 평가하였다. 결과 두경부암 환자 470명 중 55명(11.7%)에서 150개의 종격동 station을 포함하는 종격동 림프절 전이가 발견되었다. 하인두암, 재발한 종양, T4, N2/N3, 및 M1 단계는 종격동 림프절 전이의 의미 있는 예측인자로 평가되었다. 종격동 림프절 전이의 가장 흔한 위치는 일측 station 2 (상부기관주위 림프절, 36.4%), 일측 station 11 (엽간 림프절, 27.3%), 일측 station 10(폐문 림프절, 25.5%) 순이었다. 결론 하인두암, 재발성 종양 및 높은 TNM 단계인 경우, 두경부암의 종격동 림프절 전이 가능성을 고려하여야 한다.

두경부종양 환자에서 p53의 과발현과 방사선치료결과 (P53 Overexpression and Outcome of Radiation Therapy in Head & Neck Cancers)

  • 김인아;최일봉;강기문;장지영;김경미;박경신;김영신;강창석;조승호;김형태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17권1호
    • /
    • pp.1-8
    • /
    • 1999
  • 목적 : 실험적으로 p53 종양억제유전자는 세포의 방사선에 대한 반응을 조절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임상에서 p53의 변화와 방사선치료 후의 예후와의 상호관련성은 아직 명확하게 규명되지 않은 상태이다. 이에 두경부종양환자에서 흔히 관찰되는 p53의 변화가 방사선치료결과에 어떤 영향을 미칠 수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재료 및 방법 : 두경부종양으로 진단되어 근치적 방사선치료를 받은 55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임상결과를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각 환자의 치료전 종양조직의 paraffin section을 human p53단백질에 대한 monoclonal antibody (D-07)로 면역조직화학염색하여 labeling Index (number of labelded nuclei/total number of counted nuclei x100)를 구하여, 임상결과와 연관지어 분석하였다. 결과 : 전체환자의 67.2$\%$에서 p53의 기능이상을 시사하는 과발현 소견을 보였다. 원발병소에 따른 과발현 빈도는 oral cavity, larynx, hypopharynx, nasopharynx순으로 각각 100$\%$, 76$\%$, 67$\%$, 67$\%$, 38$\%$로 나타났다. 흡연자가 비흡연자에 비해 유의하게 높은 과발현 빈도를 보였다 (78.6$\%$, 30.8$\%$). 원발병소, 병기 및 Karnofsky peformance status가 방사선치료에 대한 반응율과 유의한 연관을 보였으며, p53의 과발현여부는 치료반응율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무병생존율 및 전체생존율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는 원발병소와 병기였고, p53의 과발현여부는 유의한 연관을 보이지 못하였다. 결론 : 근치적 방사선치료를 받은 두경부종양 환자에서, 면역조직화학염색에 의한 p53의 과발현율은 원발병소, 병기 및 흡연여부와 유관하였으며, 과발현여부가 치료반응율 및 생존율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다.

  • PDF

두경부 종양의 방사선 치료 성적 (Radical Radiotherapy of Head and Neck Cancer)

  • 반성범;김철영;최명선;서원혁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4권1호
    • /
    • pp.35-43
    • /
    • 1986
  • 1981년 3월부터 1986년 3월까지 고려대학교 의료원 혜화병원 치료방사선과에서 60명의 두경부 환자를 대상으로 방사선치료후의 임상적인 병기에 따른 생존율 및 국소종양 억제율을 후향적으로 재조사하였다. 근치적 방사선 치료전에, 이학적 검사와 방사선학적 검사로 흉부X-선, 후두촬영 및 콤퓨터 단층촬영 등을 시행하였고 AJC의 임상병기에 따라 분류하였다. 치료는 방사선 치료 단독 시, 7,200cGy를 8주에, 그리고 수술후 방사선 치료시는 6,000cGy를 7주에 각각 분할 조사하였다. 이에 저지들은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남녀의 성비는 3.6:1이었고 50대의 연령군에서 가장 높은 빈도를 보였다. 2) 방사선 치료를 받은 환자에서, 병리조직하적으로 편평상피암이 비 편평상피암에 비해 3.5배의 높은 빈도를 보였다. 3) 원발병소의 해부학적 위치는 후두가 22예, 부비동이 12예, 비인후강이 7예, 구강인두가 6예, 하인두가 3예였다. 4) AJC의 병기에 따라 분류하면 I기가 4예, II기가 7예, III기가 19예, 그리고 IV기가 27예였다. 5) 경부임파절로의 국소전이는 전체적으로 $43\%$였고 subdigastric과 submaxillary임파절이 가장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6) 방사선 치료 후 국소종양의 억제는 치료 환자의 $48\%$에서 관찰되었다. 7) 원격전치는 7예에서 관찰되었는데 그중 4예에선 폐로의 원격전이를 보였다. 8) Life-table방식에 의한 5년 생존율은 $43\%$로 나타났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