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ypocotyl elongation

검색결과 48건 처리시간 0.027초

생장조절물질(生長調節物質) 처리(處理)가 콩나물의 생육(生育) 및 세근발생(細根發生)에 미치는 영향(影響) - I. 생장조절물질(生長調節物質)의 단용(單用) 및 혼용처리(混用處理)가 콩나물의 생육(生育)에 미치는 효과(效果) (Effect of Plant Growth Regulator Treatments on the Growth and Lateral Root Formation in Soybean Sprouts - I. Effect of Plant Growth Regulator Treatments on the Growth in Soybean Sprouts)

  • 강충길;이정명;판제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9권1호
    • /
    • pp.56-68
    • /
    • 1989
  • 콩나물의 생육(生育) 및 세근발생(細根發生)에 미치는 생장조절물질(生長調節物質)의 처리효과(處理效果)에 관(關)하여 연구(硏究)한 중요(重要)한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콩나물 신장(伸長)의 경시적(經時的) 변화(變化)를 보면 침종(浸種) 3일후(日後)부터 활발(活發)히 이루어져 이후(以後) 9일(日) 까지는 일평균(日平均) 3.8cm씩 거의 직선적(直線的)으로 증가(增加)하였다. 또한 부위별(部位別)로는 침종(浸種) 7일(日) 이후(以後)부터는 하배축(下胚軸)의 신장(伸長)이 둔화(鈍化)되고, 뿌리신장(伸長)은 오히려 더 촉진(促進)되었다. 세근(細根)은 침종(浸種) 5 일후(日後)부터 발생(發生)하기 시작(始作)하여 9일(日)까지 매일(每日) 4.4개(個) 정도(程度)의 증가(增加)를 보였다. 2. auxin 류(類)는 고농도(高濃度)로 처리(處理)되었올 때는 콩나물의 하배축(下胚軸) 신농(伸農)과 세근발생(細根發生)을 억제(抑制)하고 비대(肥大)를 촉진(促進)하였으나 근장(根長), hook 비대(肥大) 등(等)에는 뚜렷한 효과(效果)를 보이지 않았으며, 자엽중(子葉重)은 약간 증가(增加)시키는 경향(傾向)이었다. auxin 류(類)(IAA, IBA, NAA, 2,4-D) 중(中)에서는 2,4-D가 가장 강(强)한 하배축(下胚軸) 비대촉진(肥大促進) 및 세근발생(細根發生) 억제효과(抑制效果)를 보였다. 3. cytokinin 류(類)인 kinetin, BA, 4PU-30, zeatin, zeatin riboside의 효과(效果)를 동일처리농도(同一處理濃度)에서 비교(比較)하면 4PU-30이 신장억제(伸長抑制), 비대촉진(肥大促進), 세근발생(細根發生) 억제효과(抑制效果)가 가장 현저(顯著)하였으며, 다음이 BA였고, kinetin 등(等)은 그 효과(效果)가 매우 낮았다. 4PU-30 처리(處理)는 자엽(子葉)이 틀어지는 등(等)의 약해(藥害)를 보였다. 4. auxin과 cytokinin의 처리효과(處理效果)를 비교(比較)할 때 하배축(下胚軸)의 비대(肥大)에는 auxin 류(類)인 2,4-D가 가장 효과적(效果的)인데 비(比)해 발근억제(發根抑制)에는 cytokinin의 효과(效果)가 현저(顯著)하였는데 특(特)히 4PU-30이 가장 효과적(效果的)이었다. 5. BA의 처리농도별(處理濃度別)(5, 10, 12.5, 15, 20, 25ppm) 효과중(效果中) 세근발생(細根發生)이 효과적(效果的)으로 억제(抑制)될 수 있는 최저농도(最低濃度)는 12.5ppm 이었다. 콩나물의 생산(生産)에는 BA가 가장 효과적(效果的)이며 그 농도(濃度)는 12.5ppm 이나 15ppm이 적당(適當)할 것으로 생각되며, BA 단용처리(單用處理)로서 인돌비의 효과(效果)를 가져올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6. abscisic acid는 콩나물의 비대(肥大) 및 신장(伸長)에 뚜렷한 영향(影響)을 주지는 못하였으나 고농도(高濃度) 처리(處理)에서만 세근발생(細根發生)이 약간 억제(抑制)되었다. 7. ethephon 처리(處理)는 콩나물의 전장(全長), 하배신장(下胚伸長), 근장(根長)의 신장(伸長)을 억제(抑制)하고 하배축(下胚軸)의 비대(肥大)를 촉진(促進)하였는데, 처리농도(處理濃度)가 높을수록 그 효과(效果)가 현저(顯著)하였다. 8. cytokinin과 ethephon의 혼용처리(混用處理)는 cytokinin의 단용처리(單用處理) 효과(效果)와 유사(類似)하였으나 ethephon의 처리농도(處理濃度)가 높을수록 최대직경(最大直徑)과 자엽중(子葉重)은 증가(增加)하고 근중(根重)은 오히려 억제(抑制)되는 경향(傾向)을 보였다.

  • PDF

Brassica속 작물 유묘에서 생장억제제 Uniconazole 처리에 따른 생화학적 변화 (Biochemical Changes in Brassica Seedlings Due to Uniconazole Treatment)

  • 박우철;남민희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38권3호
    • /
    • pp.202-206
    • /
    • 1995
  • 작물 내한성 기작구명을 위한 기초자료를 얻고자 우선 Brassica속 작물의 발아초기단계에서 생장억제제인 Uniconazole 처리에 따른 생화학적 변화를 분석해 본 결과, 발아초기의 peroxidase 활성도는 뿌리부위가 배축부위에 비해 $3{\sim}4$배 정도 더 높았으며 특히 내한성이 강한 산동채가 내한성이 약한 유채보다 모든 부위에서 2배 정도 더 높은 효소 활성도를 보였다. 그러나, catalase 활성도는 뿌리보다 배축부위가 $3{\sim}4$배 정도 더 높아 peroxidase와는 상반된 결과를 보였으며 $H_2O_2$ 함량은 catalase 활성도에 거의 반비례하여 매축보다 뿌리부위가 더 높았고, 배축장은 내한성이 약한 유채가 산동채 보다 훨씬 더 길었다. 한편, 유채 3일유묘에 $0.3{\sim}1.0ppm$의 Uniconazole처리는 처리 3일후의 배축장을 약 $43{\sim}46%$ 억제시켜 배축부위의 peroxidase 활성도를 $65{\sim}73%$ 증가시켰고, Uniconazole 처리농도에 따른 배축장 단축율과 배축부위의 peroxidase 활성도 증가율과는 정의 유의상관을 보였다. 그러나, superoxide dismutase의 활성화는 관찰할 수 없었고, 단지 활성도가 자엽>뿌리>배축의 순서를 보이며 3개의 동위효소가 존재함을 확인하였다.

  • PDF

청정 땅콩나물 생산을 위한 종자처리기술 확립 (Establishment of Seed Treatment for Healthy Production of Peanut Sprout)

  • 박은지;이규빈;허유;손병구;최영환;이용재;박영훈;서정민;강점순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24권6호
    • /
    • pp.755-762
    • /
    • 2015
  • The present study was conducted to develop seed treatment for the production of healthy and clean peanut sprout. Dry heat treatment of peanut seeds reduced the incidence of the rot. The seed treatment condition at $52^{\circ}C$ for 10 h. was the most efficient without inhibiting seed viability significantly. Seeds were dark cultured at $27^{\circ}C$ for up to 9 days. The treatment of Indole-B and gibberellic acid influenced germination, T50, fresh, dry weight, hypocotyl length, hypocotyl length diameter, root length, number of lateral root and epicotyl of peanut sprout.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the germinability of peanut seeds between gibberellic acid treatment methods but higher fresh weight was observed in the GA3 solution spray after 2 hour water soaking. The general growth and lateral root development of peanut sprouts were suppressed by Indole-B which is used for inhibiting root formation and promoting hypocotyls. The treatment of gibberellic acid promoted hypocotyl elongation, but it did not influence on the growth of hypocotyls and root system.

파속 식물의 조추출물이 몇가지 작물의 유묘생육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Crude Extracts from Allium spp. on Growth of Several Crop Seedling)

  • 최상태;안형근;장영득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1권5호
    • /
    • pp.526-534
    • /
    • 1996
  • 파속 작물인 대파, 양파, 부추 및 마늘의 조추출물이 각종 작물의 유묘생육에 미치는 영향은 다음과 같다. 1. 파속 식물의 조추출물은 국화와 상추의 유묘생육을 저농도부터 억제하기 시작하여 농도가 높아짐에 따라 억제효과가 증가하였으며, 특히 상추는 하배축에 비해 근의 신장억제 효과가 컸다. 2. 벼의 유묘생육은 국화과 작물과는 달리 대파와 부추의 근추출물은 300에서 700ppm까지, 대파, 마늘, 및 부추의 경엽추출물에서는 500에서 1,000ppm까지 근의 신장을 현저히 촉진시켰다 그러나 지상부의 생육은 저농도에서 촉진되었다. 3. 마늘과 양파의 경엽추출물은 2,000혹은 3,000ppm의 고농도까지 각각 배추의 근 및 하배축을, 모든 파속 식물의 근추출물은 300에서 700ppm까지 근의 신장을 각각 촉진시켰으나 하배축 신장에는 큰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4. 무의 유묘생육은 양파, 마늘 및 부추추출물에서 저농도에서는 촉진효과가 현저히 나타났으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였으며 부추의 근추출물은 고농도에서도 근의 신장이 촉진되었다. 대파 추출물은 뚜렷한 활성이 나타나지 않았다. 5. 고추의 유묘생육은 양파와 마늘의 경엽추출물에서만 5,000ppm의 고농도까지 하배축의 신장촉진효과가 나타났을 뿐 타처리구에서는 뚜렷한 촉진효과가 인정되지 않았다. 6. 오이의 유묘생육은 모든 파속 식물의 추출물에서 주근, 측근 및 하배축의 신장이 현저히 촉진되었으며 특히 양파와 마늘추출물에서 측근의 신장촉진이 두드러졌다. 7. 참외의 유묘생육은 오이와는 달리 저농도에서 약간의 촉진효과가 나타났으나 고농도에서는 억제되는 경향을 보였다.

  • PDF

Influence of Illumination with Xenon or Sulfur Lamp on Growth of Tomato Seedlings

  • Chen, Qilin;Yu, Xinjian;Weng, Jun;Chen, Jinxing;Liu, Yuequn;Gao, Jinpeng;Xu, Chunhe
    • Journal of Photoscience
    • /
    • 제9권2호
    • /
    • pp.391-393
    • /
    • 2002
  • Effects of illumination with xenon or sulfur lamp on growth of tomato seedlings were studied. Results showed no obvious differences in net photosynthetic rate and apparent quantum efficiency. In comparison with xenon lamp, illumination with sulfur lamp slightly reduced ChI a and ChI b content in leaves, relatively shortened epicotyl and hypocotyl length, but significantly increased anthocyanin content of leaves and promoted root growth of tomato seedling plants.

  • PDF

해바라기 하배축의 오옥신 유도 신장에서 RNA 및 단백질의 합성과 세포벽 산성화의 관계 (Relationship between RNA- and Protein-Synthesis and Cell Wall Acidification in Auxin-Mediated Elongation of Sunflower Hypocotyls)

  • 조형택
    • Journal of Plant Biology
    • /
    • 제35권2호
    • /
    • pp.107-116
    • /
    • 1992
  • 큐티클리층이 제거된 해바라기(Helianthus annuus L.) 하배축 절편의 오옥신(IAA, $10\;\mu\textrm{M}$) 유도 신장 반응에 있어서 RNA, 단백질 합성 및 세포벽으로의 $H^{+}$ 방출과의 관계에 대해 조사하였다. 하배축의 표피조직 바깥에 있는 큐티클층은 실험에 사용하는 여러 가지 대사억제제에 대해 어느 정도 불투과성 장벽으로 작용하여 억제제의 효과를 저하시키지만, 곱게 간 석영사로 하배축 절편을 문질러서 큐티클리층을 제거하였을 때 억제제들의 효과는 현저하게 증가하였다. 단백질 합성 억제제인 cycloheximide (CHI, $10\;\mu\textrm{M}$)는 5분 정도의 지연시간 뒤에 IAA유도 신장반응을 억제하기 시작하였으며, 신장 반응 4-5분 전(IAA처리 10분 뒤)에 처리하였을 때 IAA에 의한 신장반응을 완벽하게 억제하였다. 그러나 신장률이 정상상태를 유지하고 있는 IAA처리 60분 뒤에 CHI를 처리하였을 때는 신장률이 0에 이르기까지 60분 이상이 걸렸다. RNA합성 억제제인 cordycepin(COR, $200\;\mu\textrm{M}$)은 IAA보다 5분 먼저 처리하였을 때 신장반응을 완전히 억제하였으며, 정상상태의 신장을 완전히 억제하는 데는 70분 이상이 걸렸다. 원형질막 $H^{+}-ATPase$의 활성을 저해하는 vanadate(1 mM)는 IAA유도 신장과 세포벽으로의 $H^{+}$ 방출을 통한 배양액의 산성화를 모두 억제하였다. 또한 CHI는 완벽하게 COR 역시 현저하게 IAA에 의한 $H^{+}$ 방출을 억제하였다. 그러나 산성용액속에서, CHI에 의한 IAA 유도 신장의 억제가 다시 회복되지 않는 것으로 보아 CHI가 단순히 세포벽의 산성화를 억제하여 신장을 저지하는 것 같지는 않다. 이상의 결과에서 해바라기 하배축의 IAA유도 신장 반응의 시작과 세포벽으로의 $H^{+}$ 방출에는 단백질(생장제한 단백질)의 합성이 필요하며 이 단백질은 신장이 시작하기 전에는 존재하지 않고 IAA에 의한 신장 반응 및 분전에 새로 합성됨을 추측할 수 있다. 그리고 COR이 IAA 유도 신장을 억제한다는 것은 IAA에 의한 생장제한 단백질의 합성이 RNA합성 수준에서 이루어진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신장 반응에는 세포벽으로의 $H^{+}$ 방출이 필요하나 이는 단순히 세포벽의 산성화를 통한 산성생장의 원인이 되는 것 같지는 않다.

  • PDF

파종 심도가 콩의 하배축 생장과 Hook 열림 및 Sucrose 대사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Seeding Depth on Hypocotyl Growth, Hook Opening, and Sucrose Metabolism in Soybean)

  • 윤승길;이상각;이상은;박소현;허광운;임선;김태완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36권6호
    • /
    • pp.429-436
    • /
    • 2003
  • 파종심도차이에 의한 콩의 하배축 생장동안 hook 열림 정도와 sucrose 대사의 변화를 관찰하기 위하여 황금콩을 2.5, 5.0, 7.5 및 10.0 cm의 깊이로 파종하였다. hook 열림 정도는 파종심도가 깊을수록 늦어진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또한 열림각도는 하배축생장과 1% 수준에서 고도의 부(-)의 상관을 나타냈다. 또한 파종심도는 하배축 생장과 고도의 정(+)의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이는 파종심도가 깊을수록 하배축생장이 촉진된다는 것을 의미하였 다. 더 나아가 하배축에서의 fructose와 glucose 함량이 자엽보다 다량 존재한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하배축에서 fructose와 glucose는 지상부 출현 직전에 가장 높았으며 출현 후 급격히 감소하는 경향이었다. 총 가용 당의 함량은 파종심도가 얄은 2.5 cm와 5.0 cm로 파종한 콩 종자에서는 출현 후 까지 지속적으로 유지되는 반면 파종심도가 깊은 종자에서는 현저히 낮았다. 이러한 결과는 파종심도가 갚은 종자에서 하배축의 과도한 생장동안 세포벽 등의 생성을 위해 당이 모두 소진되었기 때문이었다. 이런 현상은 hook 열림이 출현 후 광 signal과 밀접한 관계가 있음을 말해 주는 것이었다. 깊은 파종심도에서 hook 열림의 지연은 하배축 생장이 암상태에서 진행되기 때문이었다. 이는 정단부 hook 열림 현상이 광과 관계한 sucrose 분해대사와 함께 진행한다는 것을 의미하였다.

Brassinolide와 Auxin과의 상호작용의 생물검정에 의한 평가 (Interaction between Brassinolide and Auxins on Bioassays)

  • 최충돈;김순철;이수관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5권1호
    • /
    • pp.58-64
    • /
    • 1990
  • 최근 국내에서 연구가 시작되고 있는 신규 식물생장조정제인 brassinolide류와 기존의 auxin류를 혼용하였을 경우 상호작용성을 구명하여 농업적 이용의 기초자료를 얻고자 몇가지 생물검정법을 이용하여 상호작용의 결과를 분석해 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간다. 1. 벼 엽신기부굴절검정에서는 두 화합물의 저농도 혼용조합에서 길항적인 반응을 보였으나, 대부분의 조합에서는 상가 또는 상승작용을 하였으며, 고농도의 혼용일수록 상승효과가 높았고, IAA가 2, 4-D에 비해 다소 혼용효과가 높았다. 2. 귀리 자엽소신장검정에서는 HBR의 농도에 관계없이 IAA 0.1ppm 이하에서는 상승작용을 하였으나 0.3ppm 이상의 혼용에서는 상가적인 반응을 나타내었다. 3. 무 하배축신장검정에서는 자엽의 유무에 의해 반응이 다르게 나타났는데, 자엽을 제거한 절편에서는 IAA 3ppm과 HBR과의 혼용조합을 제외하고는 대부분의 혼용조합이 길항적인 반응을 보였다. 4. 이상에서와 같이 검정방법간 혼용효과가 뚜렷한 차이가 있었으며, 공시재료에 따라 상호작용의 효과가 다르게 나타났는데 auxin의 함량이 비교적 높은 생장점을 가진 절편에서는 대체로 길항작용을 보인 반면, 선단부를 제거하여 내생호르몬이 불안정한 절편에서는 상가 또는 상승작용을 보였다.

  • PDF

콩 종실크기 및 종피색에 따른 침종후 수분흡수특성, 자엽손상 및 배축 신장력의 차이 (Water Uptake, Cotyledon Damage after Imbibition and Hypocotyl Elongation in Soybean with Different Seed Size and Color)

  • 박금룡;김석동;류용환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9권4호
    • /
    • pp.331-338
    • /
    • 1994
  • 콩의 종실크기 및 종피색에 따른 침종후 수분흡수, 자엽손상 및 배축신장의 차이를 구명하고자, 황색 및 흑색 대소립종 각각 4품종씩을 공시하여 경시적인 수분 흡수및 발아양상을 조사하고 나아가서, 침종후 자엽손상률과 발아과정중의 배축신장력을 상호비교하였던바, 다음과 같은 몇가지 결과를 얻었다. 1. 유근의 중양은 대립종이 높았으나, 종실에 대한 유근의 비율에 있어서는 대립종이 1.8%, 소립종 2.9%로 소립종이 현저히 높았고, 종피색간에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종피율은 대립종 6.6%에 비하여 소립종은 9.2%로 뚜렷히 높았고, 흑색종은 황색종에 비하여 높은 종피율을 보여 흑색종의 종피가 두껍다는 것을 알 수있었다. 2. $25^{\circ}C$에서의 수분흡수를 보면 소립종이 초기 수분흡수력이 높았으나, 수분평형상태에 도달한 24시간에는 대립종의 수분흡수율이 다소 높았고, 흑색종피종은 침종후 3시간까지는 수분흡수가 황색종에 비해 크게 지연되었으나, 침종 24시간에는 오히려 높은 수분흡수율을 보였다 3. 종실의 경도는 대소립종 및 종피색간 차이가 없었고, 침종후 24시간에 조사한 자엽손상률은 대립종이 78%를 보인 반면, 소립종은 자엽손상이 전혀 발생되지 않았으며, 흑색종은 황색종에 비하여 자엽 손상률이 낮은 경향을 보였다. 4. 최종 발아율 및 발아속도는 소립종이 높았으며, 무색종은 발아속도는 느렸으나, 최종 발아율은 황색종과 차이가 없었다. 5. 발아기간중 조사한 배축장은 대체적으로 소립종이 큰 경향을 보였고, 자엽에 대한 배축의 생체중 비율도 소립중이 뚜렷히 높았으나, 배축 두께는 대립종이 더 두꺼웠다. 6. 100입중과 종피율, 배의 비율 간은 부의 상관이 인정되었고, 자엽손상률과 정의 상관을 나타내었으며, 침종후 3시간의 수분흡수율과는 부의 상관을 보였으나 수분흡수 평형상태에 도달한 침종후 24시간의 수분흡수율과는 정의 상관을 보였다.

  • PDF

SMP 처리에 의한 수박종자의 발아촉진 (Germination Promotion of Watermelon Seeds Using Solid Matrix Priming(SMP) Treatment)

  • 김성은;송지은;정희;이정명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16권3호
    • /
    • pp.344-346
    • /
    • 1998
  • SMP(solid matrix priming) 처리는 수박종자의 발아세를 높였으나, 최종출현율에서는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SMP 혼합 또는 조성에 있어서 종자 : Micro-Cel E : 물의 비율을 10:1:5 또는 10:1:6으로 한 처리가 묘출현촉진에 가장 효과적이었다. 또한 묘의 생장에서는 SMP 처리에 의해 하배축신장은 다소 촉진되었으나, 하배축경에서는 유의차를 보이지 않았다. 수박품종에 따라서 SMP 처리효과는 다소 다르게 나타났는데, '하우스일품'과 '수로왕'에서 가장 뚜렷한 효과를 보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