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ygrophytes

검색결과 21건 처리시간 0.027초

영산강집수역의 수생식물과 특정식물분포 (Distribution of specific plants and Hydrophytes in the wetland of Youngsan River)

  • 김하송;임병선;이점숙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12권4호
    • /
    • pp.303-311
    • /
    • 1999
  • 본 연구는 1997년 6월부터 1999년 7월까지 영산강집수역에서 수생식물과 특정식물 분포를 조사하였다. 조사된 수생식물은 정수식 19과 52종, 부유식물 5과 7종, 침수식물 7과 12종, 부엽식물 7과 15종으로 총 32과 86종이 나타났으며, 습지식물은 36과 135종으로 조사되었다. 감소추세종인 통발, 자라풀, 끈끈이주걱, 이삭귀개, 땅귀개와 멸종위기종인 순채와 가시연꽃이 확인되었다.

  • PDF

우포늪에서 수생 및 습생 관속식물의 식물상, 현존식생도 및 1차 생산 (Flora, Actual Vegetation Map, and Primary Production of the Vascular Hydrophytes and Hygrophytes in the Upo Wetland)

  • 강민정;김철수;오경환
    • 한국습지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45-55
    • /
    • 2007
  • 우포늪에서 2005년 5월부터 2006년 3월까지 수생 및 습생 관속식물을 대상으로 식물상과 생활형별 분포현황, 현존식생도 및 생활형별 분포 면적, 생활형별 연순생산성 및 1차생산을 조사하였다. 조사지역에 분포하는 수생 및 습생 관속식물은 우포 263종류, 목포 233종류, 사지포 244종류, 쪽지벌 182종류, 토평천 상류 190종류, 토평천 하류 178종류 등으로 85과 224속 287종 42변종 4품종 등 총 333 종류가 확인되었다. 관속식물을 생활형별로 구분하면 수생식물 38종류, 습생식물 108종류, 육상식물 187종류 등이고, 수생식물을 생활형별로 구분하면 정수식물 20종류 부엽식물 6종류 부수식물 5종류 침수식물 7종류 등으로 구분되었다. 우포늪의 식물군락은 27개 군락으로 구분되었으며, 현존식생도에 나타난 군락별 분포 면적은 마름-붕어마름 군락이 60.64 ha로 가장 넓고, 다음으로 생이가래-붕어마름 군락 32.91 ha, 줄 군락 30.05 ha 등의 순이었으며 생활형별로는 부수식물이 차지하는 면적이 172.6 ha(47.9%)로 가장 넓었다. 수생 및 습생 관속식물의 1차 생산량은 총 1,383.3 ton이고, 그 중 수생식물은 정수식물 564.1 ton(40.8%), 부수식물484.1 ton(34.9%), 부엽식물 146.7 ton(10.6%), 침수식물 1.3 ton(0.5%) 등의 순이었으며, 습생식물의 1차생산량은 182.1 ton(13.2%)이었다. 이들 수생 및 습생식물들은 대부분 현재의 늪 환경에 적응된 종이므로 늪의 육상화가 진행될 경우 종조성의 변화를 포함하여 생태계에 미치는 악영향이 예상되므로 늪의 보전 대책 및 보존 방안이 요망된다.

  • PDF

아산호 습지에서 관속식물의 군집 구조와 생산성 및 영양염류의 흡수 (Community Structure, Productivity, and Nutrient Uptake of the Vascular Plants in the Wetlands of the Asan-Lake)

  • 김철수;손성곤;이정환;오경환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23권3호
    • /
    • pp.201-209
    • /
    • 2000
  • 아산호 연안대의 습지에서 식물군락과 호소 환경과의 상호 관계를 규명하기 위하여 1997년 3월부터 1997년 10월까지 수생식물, 습생식물 및 중생식물의 종조성, 분포 면적, 식생 구조, 현존량, 식물체에 의한 영양염류 흡수 등을 조사하였다. 관속식물은 38과 89속 106종 14변종으로 총 120종류가 분포하였는데, 그 중 수생식물은 정수식물 14종류, 침수식물 5종류, 부수식물 4종류 등 23종류가 출현하였고, 습생식물 및 중생식물은 97종류였다. 조사 지소별 분포 종수는 4∼85종류로 조사지소별로 차이가 많았다. 우점종은 줄(Zizania latifolia)이었으며, 부들(Typha orientalis), 갈대(Phragmites communis), 개구리밥(Spirodela polyrhiza) 등의 순으로 중요치가 낮아졌다. 정수식물, 습생식물 및 중생식물의 분포 면적은 49.3 ㏊(90.5%)이고 부수식물이 5.2 ㏊(9.5%)이며, 부엽식물 및 침수식물은 분포 면적이 매우 적었다. 생활형별 연순생산량은 정수식물, 습생식물 및 중생식물이 547.9 ton D.W./yr, 그리고 부수식물이 10.5 ton D.W./yr로서 이들의 비율은 98: 2이며, 호소 전체의 연순생산량은 558.4 ton D.W./yr에 달한다. 아산호 전체에서 관속식물에 의한 질소 및 인의 연간 흡수량은 각각 7,099kg 및1,891 kg이었다.

  • PDF

강원도 인제군 원대리 자연습지의 식물상 (Flora of Natural Mashes in Wondae-ri (Inje-gun, Kangwon-do))

  • 박완근;유석인;박광서
    • Journal of Forest and Environmental Science
    • /
    • 제16권1호
    • /
    • pp.50-68
    • /
    • 2000
  • 강원도 인제군 남면 원대리 자연습지를 대상으로 1999년 4월부터 동년 10월까지 관속식물상을 조사한 결과 71과 175속 228종 1아종 33변종 3품종, 총 265종류가 분포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 가운데 갈대, 달뿌리풀, 삿갓사초, 골풀, 구릿대, 버드나무 등의 수생 및 관속식물은 19과 24속 31종 5변종 1품종, 총 37종류가 분포하고 있었다. 본 조사지역내 식생의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식물사회학적 조사를 실시한 결과 갈대군락, 갯버들-흰물봉선아군락, 조팝나무-사철쑥아군락으로 분류되었다.

  • PDF

우포늪과 토평천의 식물상 (Flora in Woopo Wetland and Topyeong Stream)

  • 오경환;김철수;이팔홍;손성곤
    • 한국습지학회지
    • /
    • 제6권3호
    • /
    • pp.107-118
    • /
    • 2004
  • 우포늪 및 우포늪과 수문학적으로 연관된 토평천을 대상으로 관속식물상과 홍수시 유량 변화에 따른 식물종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본 조사에서는 우포 256종류, 목포 242종류, 사지포 265종류, 쪽지벌 177종류, 토평천 상류 201종류, 토평천 하류 180종류 등으로서 모두 86과 232 속 302종 42변종 6품종 등 총 350종류가 확인되었는데, 수생식물 36종류, 습생식물 96종류 및 육상식물 218종류였다. 수생식물을 생활형별로 분류한 결과는 정수식물 19종류, 부엽식물 6종류, 부수식물 4종류, 침수식물 7종류 등이었다. 우포늪에 분포하는 관속식물 중 법적 보호종 및 기타 보호 가치가 있는 식물로는 가시연꽃, 자라풀, 창포, 쥐방울덩굴, 물여뀌 등이었다. 조사 지역에 분포하는 귀화식물은 우포늪 27종류, 목포 25종류, 사지포 35종류, 쪽지벌 21종류, 토평천 상류 26종류 및 토평천 하류 24종류이며, 우포늪 전체로는 43종류였는데 이는 우포늪 전체에서 출현한 관속식물의 12.3%에 해당한다. 홍수시 유량 변화에 따른 식물종의 분포 변화 양상을 예측하기 위하여 장마 전 후를 중심으로 관속식물의 분포 현황을 조사한 결과 장마 전에는 165~244종으로서 총 299 종류였고, 장마 후에는 86~212종으로서 총 299 종류로서 6개 조사 지소 모두 장마 전의 분포 종수가 장마 후보다 많았으며, 전체 분포 종수는 장마 전 및 후 모두 299 종류로 같았다. 장마 전 및 장마 후를 기준으로 관속식물의 생활형별 분포 종수를 조사한 결과 수생식물, 습생식물 및 육상식물의 장마 전 분포 종수는 33, 83 및 183종류였고, 장마 후에는 29, 83 및 187종류였다. 그리고 수생식물의 경우 생활형별 분포 종수도 장마 전과 장마 후의 분포 상황에 큰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이와 같이 장마 전과 장마 후의 전체 분포 종수 및 생활형별 분포 종수에 큰 차이가 없는 것은 조사 지역에 분포하는 수생 및 습생식물들이 대부분 늪의 수위 변동에 적응된 종들이기 때문인 것으로 추정된다. 그러나 우포늪과 토평천의 습지가 훼손될 경우 각종 악영향이 예상된다.

  • PDF

하천합류부에서 갈대매트를 이용한 하천식생대 조성에 대한 기초적 연구 (A Fundamental Study on the Effect to Build up a Vegetation Strip at Stream Confluence by Using Reed Mat)

  • 정경진;김미경;안원용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6권4호
    • /
    • pp.62-73
    • /
    • 2003
  • The study was to apply a mat style reed planting method at confluence to improve plants growth conditions by relaxing disturbed topographical base due to water flow and was intended to review the effect to build up a vegetation strip by monitoring process after the construction. First off, We've attempted to construct reed mats on selected sites as confluences of Tan and Gaehwa stream and then examined and analyzed characteristics of soil and vegetation community. As the results of the examination, the soil texture was proven to be a mix of sand and loamy sand and be 6.3 ~ 7.0 soil pH. In addition, it contained 1.0 ~ 4.6% of organic matter, 0.04 ~ 0.22% of T-N and 27.8 ~ 41.2% of water content. For its vegetation structure, the Tan stream confluence was first actually a point bar without plants prior to the construction but 8 kinds of hygrophytes including Persicaria hydropiper and 9 kinds of terrestrial plants such as Potentilla supina, Artemisia annua, and Alopecurus aequalis var. amurensis. On the other hand, the Gaehwa stream confluence contained 6 kinds of hygrophytes such as Bidens frondosa and other 11 kinds of terrestrial plants prior to the construction while it produced 7 kinds of hygrophytes including Ranunculus ternatus as well as Phragmites australis and 9 kinds of terrestrial plants such as Potentilla supina after the construction. For the Phragmites australis, almost of them was weathered away in early days just after planting because of development period passed, but on May, six months later from planting, it was investigated that its length was approximated as 65 ~ 85cm with 75% coverage and that the number of it was 437 ~ 633/$m^2$. The study was shown that reed mats can improve environmental conditions of disturbed topographical base, enabling natural growth of various riparian vegetation including the introduced plant, reed. In the meantime, it was supposedly judged that to recover or build up a vegetarian strip, supplementary materials should be prepared to help produce and grow plants because it is not probable to expect river drift by water flow at confluence and that corrosion, burying or inundation owing to changes of water lever should be considered.

본류와 폐천의 식물상과 식생분포의 비교 (Comparisons of Flora and Vegetation Distribution in Main and Abandoned Channels)

  • 조형진;홍일;여홍구;조강현
    • 한국습지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65-73
    • /
    • 2009
  • 황구지천과 청미천의 본류와 폐천에서 하도형태, 식물상 및 식생분포 특성을 분석하였다. 항공사진과 옛 지형도를 분석한 결과, 폐천은 제방축조에 의해 사행하도가 단절되어 형성된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 식물종수와 귀화식물 백분율은 본류가 폐천에 비해 높았다. 두 폐천에서 수생, 습생식물 종수의 백분율은 각각의 본류에서 보다 높았다. 주성분분석결과 폐천과 본류 사이의 식물상 구조는 황구지천이 청미천에 비해 비교적 유사하게 나타났다. 두 폐천에서 수생, 습생 식물 분포 면적비율은 각각의 본류에 비해 높았다. 두 폐천에서 우점식물은 정수식물인 줄이었다. 따라서 폐천의 식물상과 식생분포는 습생, 정수 생태계의 특성을 나타내었으며 경관수준에서 다양성을 제공하였다.

  • PDF

남강댐 상류 습지에서 수생관속식물이 호소생태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the Aquatic Vascular Plants on the Lake Ecosystem in the Upper Stream Wetlands of the Namgang-Dam)

  • 오경환;이정환;김철수;손성곤;이팔홍
    • 한국습지학회지
    • /
    • 제1권1호
    • /
    • pp.29-44
    • /
    • 1999
  • 습지생태계의 변화를 예측하고 적절한 보호 대책을 강구하기 위하여 경남 진주시 남강댐 상류의 습지에서 1997년 4월부터 1997년 11월까지 수생 및 습생 관속식물의 분포 및 군락 구조와 버들류의 생장 유형, 현존량, 양분 흡수량 등을 조사하였다. 분포하는 수생식물은 정수식물 27 종류, 부엽식물 4 종류, 부수식물 3종류, 침수식물 9종류 등으로 43종류이고, 습생식물은 241종류였다. 초본층에서 우점종은 여뀌였으며, 종다양도는 1.59~1.89이고 균등도는 0.87~0.96으로 매우 높았으며 군집유사도 지수는 0.35~0.83이었다. 관목층 및 아교목층에 분포하는 버들류(Salix spp.)는 선버들을 포함한 17종으로서, 조사지역에서 천이 초기의 개척식물로 추정되었다. 버들류의 단위면적 ($100m^2$) 당 밀도는 27.5개체이고, 수간에서 분지된 가지수가 개체당 평균 5.0개였다. DBH 분포는 2cm 미만의 유목과 함께 역J자형의 경사분포형으로서 자연적인 후계림을 기대할 수 있었다. 버들류의 단위면적 ($m^2$)당 기저면적은 $24.87cm^2$이고, 용적은 $12,008cm^3$였다. 조사지역 전체에서 버들류의 식물현존량은 12,894 ton으로서, 이는 $9,551ton/km^2$에 상당하는 양이었다. 버들류의 부위별 생물량 분포는 수간부 64.1%, 분지 및 소지 28.1%, 잎 7.8% 등으로서 수간부의 생물량이 가장 많았으며, 버들류에 흡수된 질소 및 인의 현존량은 각각 68,022 및 19,823 kg이었다. 습지대 식물군락을 이용하여 댐내 수질오염에 미치는 악영향을 감소하고 습지대 식물군락을 보존하기 위한 대책이 제시되었다.

  • PDF

농지연못습지의 수질 및 토양환경 분석 (The Analysis of Water and Soil Environment at Farm Pond Depression)

  • 손진관;강방훈;김남춘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13권3호
    • /
    • pp.46-62
    • /
    • 2010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understand the water and soil properties to propose the promotion of vegetation environment at farm pond depression. We selected 8 palustrine wetlands from agricultural area after consideration of human interference, surround land use, and size of area. Water quality analysis showed that the average SS, T-N, T-P were over the limit of agricultural water quality standard level at some sites. The cause for deterioration of water quality is supposed by the long-term stagnation of water in palustrine wetland. The recommended measures to improve water quality are as follows; improving water circulation by connecting with nearby natural water, preventing oxygen depletion by dredging deposit, lowering down T-N and T-P by removing autumn plants, preventing inflow of phosphorus in fertilizer ingredients which is the main cause for high T-P. The soil contamination of the surveyed area was about the same level of average heavy metal contents in soils from 2,010 paddy fields in Korea, which was much lower than soil contamination standards. As for soil texture, sand content was 40~90% and clay content was less than 20%. The content of silt and clay in soil from community of floating-leaved:submerged hydrophytes and community of emergent hydrophytes was higher that of soil from community of hygrophytes, and the content of sand in soil from community of hygrophytes was 10% higher than underwater soil. In terms of bulk density, the average was 0.24~0.96g/$cm^3$, which was quite low, because of high content of peat and organic matter in soil of the surveyed area. As for the average content of organic matter, community of floating-leaved:submerged hydrophytes was 18.25g/kg, community of emergent hydrophytes was 16.88g/kg, and community of hydrophytes was 25.63g/kg. The range of content of T-N in soil of community of floating-leaved;submerged hydrophytes was 0.022~0.307%, and that of community of emergent hydrophytes was 0.029~0.681% and that of community of hydrophytes was 0.088~0.325%. Apart from three sites in the surveyed area, most parts were over the standards or below the standard. After this study, we will conduct and discuss the relationship between vegetation characteristics and environments, which will be used of the best practical management and restoration of wetland.

청미천에서 홍수 유황의 변화에 따른 하안식생의 확장 (Expansion of Riparian Vegetation Due to Change of Flood Regime in the Cheongmi-cheon Stream, Korea)

  • 진승남;조강현
    • Ecology and Resilient Infrastructure
    • /
    • 제3권4호
    • /
    • pp.322-326
    • /
    • 2016
  • 하천에서 식생의 분포는 수리적 특성에 영향을 받는다. 본 연구에서는 청미천에서 홍수 유량의 변화에 의한 식생분포의 변화 및 식생 유형과 지난 10년 동안의 홍수 빈도와의 관계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청미천에서 2006년부터 2016년까지 홍수 유량은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특히 2013년 이후로는 $160m^3/s$ 이하로 크게 감소하였다. 이러한 홍수 유량의 감소는 2013년 이전에는 식생이 드물게 분포하였던 청미천 점동 구간의 넓은 사주에 달뿌리풀 (Phragmites japonica)의 정착을 야기하였다. 2016년에는 사주의 대부분이 달뿌리풀로 뒤덮였다. 조사대상구간 홍수터의 식생은 우점하는 종에 의해 1년생 습생식물 군집, 다년생 습생식물 군집 및 중건생식물 군집으로 분류되었다. 식생 유형과 홍수 빈도의 상관 관계를 분석한 결과, 1년생 습생식물, 다년생 습생식물 및 중건생식물 군집은 각각 1년이하의 홍수 범람 범위, 1년에서 10년 빈도의 홍수 범람 범위, 그리고 7년 이상의 홍수 범람 범위에서 분포하였다. 결론적으로, 청미천에서 홍수터 식생의 분포는 홍수 유량 및 빈도와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