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ydrologic characteristics

검색결과 321건 처리시간 0.028초

자기상관함수의 비선형 유추 해석 (Nonlinear Analog of Autocorrelation Function)

  • 김형수;윤용남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32권6호
    • /
    • pp.731-740
    • /
    • 1999
  • 자기상관함수는 수문시계열의 선형상관 관계를 나타내는 척도롤 널리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비선형 동역학에서 필수적인 지체시간 또는 무상관시간 $\tau$d를 산정하는데는 적합하지 않을수도 있기 때문에 비선형 상관관계의 척도로 상호정보이론이 추천되어 왔다. 최근에 일부 학자들은 카오스 동역학 분석을 위하여 지체신간 $\tau$d대신에 상태 공간상에 구축된 각 상태 벡타점 성분들의 총시간을 표시하는 지체시간창을 제안하였다. 그러나 지체신간창은 자기상관함수나 상호정보이론에 의해 추정될 수 없다. 기본적으로 지체신간창은 시계열 자료의 상관관계가 가장 작을 최적시간이며 지체시간은 국지적인 최소값 중 첫 번째의 최적시간이다. 본 연구에서는 수문시계열의 지체시간과 지체사간창을 구하기 위하여 C-C밥법이라는 기법을 이용하고, 여기에서 산정된 값들을 근거로 수문시계열의 모형화와 예측에 중요한 선형 또는 비선형 종속성을 파악하고자 한다.

  • PDF

시험유역 운영을 통한 강우-유출수의 비점오염물질 유출특성 분석 (Assessment of the Wetland Soil Development of Constructed Wetlands using Soil Properties of a Reference Wetland)

  • 이주헌;김창주;박민재;신정수;장호원
    • 한국습지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181-192
    • /
    • 2012
  • 대동천 유역은 2007년부터 UNESCO IHP(International Hydrologic Programme)의 대표시험 유역으로 선정되어 운영되고 있다. 대동천은 대전광역시에 위치하고 있으며 도시/방재 시험유역으로서의 모니터링 계획이 수립되어 강수량, 유출량 및 수질 등과 같은 수문 기초자료를 수집하여 제공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2011년도에 측정된 유량 및 수질관측 자료를 활용하여 도시하천 유역에서의 강우-유출수 비점오염물질에 대한 유출특성을 분석하였다. 시험유역 운영결과로서 판암교 지점과 철갑교 지점의 수위-유량관계곡선을 작성 하였으며, 강우량에 따른 비점오염원의 유출특성을 비교하기 위하여 10개의 수질항목에 대한 유량가중평균농도(EMC)를 산정하여, 강우량, 선행강우량 및 토지이용 상태에 따른 관측지점별 비점오염원의 유출특성에 대해 분석 하였다.

하도 합류부의 기하학적 특성과 유량조건에 따른 수리학적 특성 해석 (Analysis of Hydraulic Characteristics Depending Upon the Geometrical and Discharge Condition at Channel Junctions)

  • 안승섭;최수철;임동희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16권4호
    • /
    • pp.495-503
    • /
    • 2007
  • In this study, we took the geometrical character of the river channel junction and hydrologic conditions as independent variables, and hydraulic behavior characteristics as an independent variable. The result, after multiple analysis was carried out, proved that, except for the generating area of the accelerating zone of velocity the accelerating zone and both the main channel and the tributary zone of stagnation the stagnation zone, there was correlation of over 90%. Also, derived presumed expression of the hydraulic characteristics of the junction was applied to the real natural channel - the river channel of the Guem-ho main channel(the A-yang bridge to the Guem-ho bridge). As the result, it proved that it represented hydraulic characteristics relatively well.

동적계획법을 이용한 유수체계의 최적설계 (Optimal Design of Datention System using Incremental Dynamic Programming)

  • 이길성;이범희
    • 물과 미래
    • /
    • 제28권1호
    • /
    • pp.153-168
    • /
    • 1995
  • 본 연구의 목적은 다지점 유수체계의 최소비용 설계를 위한 효율적 모형을 개발하려는 것이며,로서 제안된 IDP 모형은 수문-수리학적 모형(강우-유출모형과 유역 및 하도 공수추적모형)과 최적화모형 등 2개의 부모형을 포함하고 있다. 목적함수는 대지구입비용과 유수지 설치비용 및 펌핑 시스템의 설치비용의 합으로 구성되며, 모형의 입력자료로는 각 하도자료와 수문 매개변수 및 설계강우와 비용함수등이 제시되어야 한다. 본 모형은 다지형 하도의 유수체계를 포함하고 있는 서울의 중랑천 유역에 적용되었으며, 모형의 적용결과 여러 조건의 변화에 대해서도 합리적인 유수체계의 설계가 가능하며, 다지점 유수체계의 설계에 대한 적용이 가능함을 보여주고 있다.

  • PDF

패턴 인식 방법을 적용한 하천유출의 비선형 예측 (Nonlinear Prediction of Streamflow by Applying Pattern Recognition Method)

  • 강관원;박찬영;김주환
    • 물과 미래
    • /
    • 제25권3호
    • /
    • pp.105-113
    • /
    • 1992
  • 본연구는 홍수기의 일단위 하천유출량을 예측하기 위한 방법으로 인공지능의 구현 모형으로 사용되고 있는 신경회로망이론을 도입하여 실수문계에 적용하고 그 결과를 제시하는 것이다. 강우-유출과정으로 형성되는 수문계의 동적거동을 입출력패턴으로 보아서 모형을 구성하는 유니트의 비선형 응답특성에 따라 네트워크의 상호 결합강도를 조정하여 시스템의 매개변수를 반복추정하는 방법으로 시스템을 특정 평가하였다. 일강우와 일유량의 과거 관측치를 신경회로망 모형의 순전파알고리즘으로 학습시켜 추정된 매개변수를 이용하여 하천유출량을 예측하였고 그 결과를 관측된 유량과 비교하기 위하여 통계학적으로 분석하였다.

  • PDF

노면배수 취약구간의 수리.수문 원인 분석 (A study of the Hydraulic & Hydrologic Causes on the Road Drainage Poor Site)

  • 이만석;이경하;강민수;김흥래
    • 한국도로학회논문집
    • /
    • 제13권2호
    • /
    • pp.133-138
    • /
    • 2011
  • 본 연구의 목적은 도로배수 취약구간에 대한 수리 수문 설계 인자들을 비교 및 검토하여 수리 수문학 측면의 도로 노면배수 취약구간 발생 원인을 규명하는 것이다. 본 연구를 통하여 대부분 노면배수시설의 설계홍수량 산정에 사용하는 합리식의 주요 변수인 강우 강도를 도로의 노면배수유역 특성에 적합하게 산정하기 위해서는 분단위 강우강도식을 사용하여 10분 이하 강우지속시간을 고려해야 하고, 검토가 부족했던 노면 수로에 대하여 실제 자연현상을 적절하게 반영할 수 있는 부등류 흐름 수리해석 방법을 적용해야 하며, 도로 노면 강우의 즉시 배제가 목적인 쌓기부 도수로, 깎기부 집수정, 중분대 집수정 등의 설치간격 결정에는 현재 설계 실무에서 사용 중인 경험공식보다 노면 수리해석 기법을 활용하여 설치간격을 계산하는 것이 합리적이라고 판단되었다.

Development of Hydrologic Simulation Model for the Prediction of Long-Term Runoff from a Small Watershed

  • 고덕구;권순국
    • 한국농공학회지
    • /
    • 제32권E호
    • /
    • pp.33-46
    • /
    • 1990
  • Abstract Over 700/0 of the rural land area in Korea is mountainous and small watersheds provide most of the water resources for agricutural use. To provide an appropriate tool for the agricultural water resource development project, SNUA2, a mathematical model for simulating the physical processes governing the precipitation-runoff relationships and predicting the storm and long-term runoff quantities from the small mountainous watersheds was developed. The hydrological characteristics of small mountainous watersheds were reviewed to select appropriate theories for the simulation of the runoff processes, and a deterministic and distributed model was developed. In this, subsurface flows are routed by solving Richard's two dimensional equation, the dynamics of soil moisture contents are simulated by the consideration of phenological factors of canopy plants and surface flows are routed by solving the kinematic wave theory by numerical analysis. As a result of an application test of the model to the Sanglim watershed, peak flow rates of storm runoff were over-estimated by up to 184.2%. The occurence time of peak flow and total runoff volume of storm runoffs simulated were consistent with observed values and the annual runoff volumes were simulated in the error range of less than 5.8%.

  • PDF

RUSLE의 강우침식도 추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Estimation of Rainfall Erosivity in RUSLE)

  • 이준학;정영훈;허준행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08년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1324-1328
    • /
    • 2008
  • RUSLE(Revised Universal Soil Loss Equation) is one of empirical models for estimating the soil loss effectively, when there is no measured data from the study areas. It has been researching into application and estimation of the RUSLE parameters in Korea. As one of the RUSLE parameters, the rainfall-runoff erosivity factor R, is closely connected hydrologic characteristics of the study areas. It requires a continuous record of rainfall measurement at a minute time step for each storm to calculate an accurate R factor by the RUSLE methodology and it takes a lot of time to analyze it. For the more simplified and reasonable estimation of the rainfall erosivity, this study researched for correlation between the rainfall erosivity and mean annual precipitation used 122 data from the existing studies in Korea. Considering hydrologic homogeneity, new regression equations are presented and compared with other annual erosive empirical index for the test of application. As the results, the study presents the isoerodent map at 59 sites in Korea, using annual rainfall data by the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from 1978 to 2007.

  • PDF

HyGIS를 이용한 유역특성인자 추출에 대한 검토 (A Study on the Estimating Watershed Characteristics Using Hydrologic Geography Information System)

  • 김경탁;최윤석;박동선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04년도 학술발표회
    • /
    • pp.1267-1270
    • /
    • 2004
  • DEM(Digital Elevation Model)을 활용한 기술이 수자원분야에서 필수적인 GIS 활용기술인 이유는 DEM을 이용할 경우 유역의 수문학적 지형특성인자를 객관적인 방법으로 추출할 수 있고 이를 활용하여 분포형 수문모형을 개발, 적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 국내에서도 GIS를 이용하여 수문모형의 입력인자를 추출한 다든가 분포형 수문모형에 대한 연구를 수행할 경우 DEM을 활용한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이러한 것은 GIS S/W인 Arc/Info, ArcView, WMS 등에서 DEM을 활용하여 수문학적인 유역분석 기능을 제공해 주기 때문에 가능하다. 즉, DEM을 이용하여 하천망을 추출하고, 유역을 분한하고 이를 이용하여 유역 Boundary 내에서의 지형특성인자를 추출하는 기능을 말한다 본 연구는 수자원분야에서 GIS를 활용할 때 필요한 필수기능인 DEM의 활용기술을 순수 국내기술로 개발하였다. DEM활용에 대한 최신 알고리즘을 검토하여 국내 기술로 개발된 GIS Engine인 GEOMaina v.3.0을 이용하여 수문학적인 DEM 활용 Module을 개발하였으며 HyGIS(Hydrologic Geography Information System)라 명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개발된 HyGIS를 이용하여 수문학적 지형특성인자를 추출하고 기존에 사용되어오던 GIS S/W와 비교 검토하여 HyGIS의 환용 가능성에 대하여 검토하고자 한다.

  • PDF

제주 외도천 유역의 통합 물수지 분석 (An Integrated Water Budget Analysis of Oedocheon Watershed in Jeju Island)

  • 김남원;정일문;나한나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471-480
    • /
    • 2015
  • Hydrologic component analysis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water budget characteristics the Oedocheon watershed, Jeju Island. For this purpose, integrated SWAT-MODFLOW model was applied to this watershed for continuous surface water-groundwater modeling. Pasture and forest-deciduous are the major land use types and these affect general hydrologic component ratio. The spatio-temporal groundwater recharge can be obtained from SWAT and then distributed groundwater recharge can be reproduced by MODFLOW. The groundwater level variation was simulated with distributed groundwater pumping data. The water budget in this watershed was compared with the previous estimated result by Jeju-Do(2013). As this result considered discharge to the coastal side, the discrepancy was found. However, it was found that the overall tendency of both analyses were simila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