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f the Hydraulic & Hydrologic Causes on the Road Drainage Poor Site

노면배수 취약구간의 수리.수문 원인 분석

  • 이만석 ((주)평화엔지니어링 기술연구원) ;
  • 이경하 (한국도로공사 도로교통연구원) ;
  • 강민수 (한국도로공사 도로교통연구원) ;
  • 김흥래 ((주)평화엔지니어링 기술연구원)
  • Received : 2011.03.04
  • Accepted : 2011.05.20
  • Published : 2011.06.15

Abstract

This study aims to compare hydraulic & hydrologic design characteristics by examining generated on weak points for road drainage poor sites. More appropriated methodology of rainfall-intensity calculated is to consider minutely rainfall-intensity decision method for road drainage basins. To use non-uniform flow analysis methodology for road surface drainage facilities inlet spacing decision methods is better than present experience inlet spacing decision equations.

본 연구의 목적은 도로배수 취약구간에 대한 수리 수문 설계 인자들을 비교 및 검토하여 수리 수문학 측면의 도로 노면배수 취약구간 발생 원인을 규명하는 것이다. 본 연구를 통하여 대부분 노면배수시설의 설계홍수량 산정에 사용하는 합리식의 주요 변수인 강우 강도를 도로의 노면배수유역 특성에 적합하게 산정하기 위해서는 분단위 강우강도식을 사용하여 10분 이하 강우지속시간을 고려해야 하고, 검토가 부족했던 노면 수로에 대하여 실제 자연현상을 적절하게 반영할 수 있는 부등류 흐름 수리해석 방법을 적용해야 하며, 도로 노면 강우의 즉시 배제가 목적인 쌓기부 도수로, 깎기부 집수정, 중분대 집수정 등의 설치간격 결정에는 현재 설계 실무에서 사용 중인 경험공식보다 노면 수리해석 기법을 활용하여 설치간격을 계산하는 것이 합리적이라고 판단되었다.

Keywords

References

  1. 국토해양부(2000). 1999년도 수자원관리기법개발연구조사 보고서 - 제1권 한국확률강우량도 작성.
  2. 국토해양부(2003). 도로 배수시설 설계 및 유지관리 지침.
  3. 국토해양부(2007). 수해 예방을 위한 산악지 도로설계 매뉴얼.
  4. 한국도로공사(2009). 도로배수시스템 적정성 검토 연구.
  5. 한국도로공사(2009). 도로설계요령 -토공 및 배수.
  6. 국토해양부(2010). 친환경.지능형 도로설계 기술개발 연구 최종 보고서.
  7. 김홍상, 조강식(1996). "다차선 고속도로 노면배수시설 개선방안 연구.", 상지대학교 산업기술연구원 논문집, 제15권, pp.21-29.
  8. 김성준(1998). "격자기반의운동파강우유출모형개발(1)-이론및모형-." 한국수자원학회지 논문집, 제31권, 제3호, pp.303-308.
  9. 김한준, 김병익, 전경수(2001). "운동파 모형에 의한 확률 홍수량 산정.", 한국수자원학회 2001년 학술발표회 논문집, pp.236-241.
  10. 이종태, 김영란, 김갑수, 윤세의, 박영민(2003). "도로 노면의 형상과 강우의 임계 지속시간을 고려한 적정 우수 유출량 산정 및 영향분석.", 대한상하수도학회지 논문집, 제17권, 제2호, pp.291- 298.
  11. 이만석, 구혜진, 김흥래, 박태권, 유철상, 전경수(2007). "기상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새로운 개념의 도로 배수설계 방향.", 2007년 한국도로학회 학술발표회 논문집, pp.349-354.
  12. 구혜진, 최흥식, 유철상, 전경수, 이만석, 김흥래, 안성순, 박태권 (2008). "새로운 도로 배수설계 기술 개발.", 제8회 도로 및 공항기술사회 기술발표회 논문집, pp.231-287.
  13. 유창열(2008). "합리식의 수정유출계수 적용성 검토.", 한국방재학회지, 제8권, 제4호, pp.62-68.
  14. AASHTO (1999). "Highway drainage guidelines. American Association of State Highway and Transportation Officials." Washington, D.C., USA
  15. AASHTO (2005). "2005 Model drainage manual: SI Edition. American Association of State Highway and Transportation Officials." Washington, D.C., USA.
  16. Brown, S.A., Stein, S.M., and Warner, J.C. (2001). "Urban drainage design manual." FHWA-NHI-02-021, HEC-22, Federal Highway Administration, USA.
  17. Brune W., Graf W.H., Appel E., and Yee P.P. (1975). "Performance of Pennsylvania highway drainage inlets." Journal of the Hydraulics Division, ASCE, Vol. 101, No. 12, pp. 1519-1536.
  18. Escarameia, M., Gasowski, Y., May, R.W.P., and Lo Cascio, A. (2001). "Hydraulic capacity of drainage channels with lateral inflow." Report SR 581, HR Wallingford, UK.
  19. Escarameia, M., Gasowski, Y., May, R.W.P., and Bergamini, L. (2002). "Hydraulic design of paved areas." Report SR 606, HR Wallingford, UK.
  20. Guo, J.C.Y. (1997). (Street hydraulics and inlet sizing.) Water Resources Publications, Highlands Ranch, Colorado. U.S.A.
  21. Naqvi, M.(2003). Design of linear drainage systems. Thomas Telfor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