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ydrocyclone

검색결과 38건 처리시간 0.028초

금(金) 광산(鑛山) 광미(鑛尾)로부터 유가자원(有價資源) 회수(回收)에 관한 연구(硏究) (Recovery of Valuable Materials from Gold Mine Tailings)

  • 오원;조희찬;이진수
    • 자원리싸이클링
    • /
    • 제19권6호
    • /
    • pp.77-85
    • /
    • 2010
  • 가행중인 금(gold) 광산에서 발생하는 광미(tailing)로부터 금 및 실리카와 같은 유가자원을 회수하기 위해 선별특성을 검토하였다. 금 선별에는 고비증액(heavy liquid}을 이용한 비중선별(gravity separation)을 하였고, 실리카 선별에는 하이드로싸이클론을 이용한 분급/비중선별, 부유선별(froth-flotation) 그리고 마찰대전형 정전선별 (triboelectrostatic separation)을 하였다. 실험결과 금은 비중액의 비중이 2.72일 때 품위가 최고 5.58 g/ton인 정광을 약 3 wt.% 회수하였으며, $SiO_2$의 함량이 약 94%인 고순도 실리카를 회수할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하여 환경을 훼손하는 광미의 감량 및 무해화는 물론 유가자원 회수를 위한 공정을 수립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하이드로싸이클론을 이용한 해수 양식장 침전 고형물의 제거 효율 평가 (Removal Efficiency of Settleable Solids in Seawater Aquaculture Farm Wastewater)

  • 서준혁;김병기;박정환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56권1호
    • /
    • pp.116-123
    • /
    • 2023
  • Flow-through aquaculture systems generate large amounts of wastewater containing compounds such as solids that can settle near aquafarms and cause eutrophication. The settled solids are often reintroduced into flow-through systems, and aquatic animals can be affected by the solids and pathogens associated with these solids. For a sustainable aquaculture operation, adequate wastewater treatment is required. Hydrocyclones are one of the most promising technologies for the removal of solids in aquaculture wastewater. In this study, a model for performance prediction of hydrocyclones was investigated under three different operating conditions: water temperature, solids concentration, and water inlet velocity. The synthetic solids solution was prepared using settled solids from abalone aquaculture farms. The daily solids removal rates of the tested hydrocyclones ranged from 0.18 to 26.0 g solids-m-3-day-1, and removal efficiency ranged from 5.1 to 34.4%. The inlet water velocity had the greatest effect on solids removal and hydrocyclone efficiencies. The following multiregression model equation was derived from the daily solids removal rate (g solids-m-3-day-1) results for water temperature (T, ℃), solids concentration (SS, mg-L-1), and tangential inlet water velocity (TIV, m-sec-1): daily solids removal rate: f(z)=4.465+0.809TIV-0.375T+0.217SS (r2=0.976).

Recovery of Diatom Skeleton from Low Grade Diatomaceous Earth by Shape Separation Method Using Fluid Field

  • Lee, Minyong;Yoon, Ki-Byung;Shigehisa Endoh
    • 대한전자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자공학회 2001년도 The 6th International Symposium of East Asian Resources Recycling Technology
    • /
    • pp.349-352
    • /
    • 2001
  • Shape separation method - a separation process which utilizes the fact that particles of different shape behave differently in force fields- is regarded as an useful measure for recycling, mineral processing, upgrading powdered material and so on. In this study, a trial was given to shape separation method using fluid field to recover pure diatom skeleton - which is thought to have many uses in itself and potential for various applications -from low grade diatomaceous earth of southeastern part of the Korean Peninsula. The striking difference of shape between diatom skeleton and other minerals like clay and quartz made it natural to choose shape separation method. Considering the size of particles to be separated, among many possible methods of shape separation, hydrodynamic field using hydrocyclone was adopted. And it resulted in recovery of pure diatom skeleton with high purity

  • PDF

폐PET병의 리싸이클링 (Recycling of Used PET-Bottles)

  • 허종오
    • 자원리싸이클링
    • /
    • 제6권2호
    • /
    • pp.42-46
    • /
    • 1997
  • PET병은 투명성, 경량성, 안전성, 내약품성 등이 우수하여 94년 현재 약 1,330 백만개가 사용되었으며 연평균 20%의 증가율을 나타내고 있으며 국내 PET병의 재활용율은 약 3%로 재활용체의 영세성, 시장변동 및 기술개발능력 부족 등의 문제를 안고 있다. PET병의 재활용기술은 Hydrocyclone process, Flotation process, Solution washigng process 등이 있으며 PET병을 생산하고 있는 삼양사에서는 Solution washing process를 도입하여 처리량 8,000 톤/년의 재활용 공장을 가동하여 재생 fiber용 뿐만 아니라 포장재용 등에 사용 가능한 재활용 제품을 생산하고 있다.

  • PDF

화강암 석재 가공 슬러지의 재활용 (The Recycling of Sludge from Granite Stone Cutting and Polishing)

  • 이성오;국남표;임영빈;신방섭
    • 자원리싸이클링
    • /
    • 제4권1호
    • /
    • pp.12-19
    • /
    • 1995
  • 화강암 석재가공 공장의 절단 및 연마공정시 발생하는 슬러지를 재활용하기 위해 광물학적 조사 및 화학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철분 및 불순물등의 제거 실험을 위한 습식 하드로싸이클론 및 고구배자력선별 실험을 실시하였다. $SiO_2$$Al_2O_3$의 함량은 각각 70.9%, 13.6%이었으며, 요업 및 사업원료로 사용하는데 있어서 백색도를 저하시키는 불순물인 $Fe_2O_3$함량은 2.52%로 비교적 많았으며, $TiO_2$함량은 0.29%이였다. 하이드로싸이클론 실험결과 슬러지의 양은 100~150g/l, Underflow Nozzle의 크기는 2.0~2.5mm, 압력은 1.2~1.6kg/$\textrm{cm}^3$의 조건에서 $-37{\mu}\textrm{m}$ 입도 85%를 얻을 수 있었다. 고구배자력실험결과 10,000가우스에서 $Fe_2O_3$는 0.65%, $TiO_2$는 0.07%인 비자착산물을 얻을 수 있었으며, 분산제로 Sodium tripolyphosphate를 사용한 결과 탈철에 효과적이였다. 슬러지 산물의 물리적인 특성은 백색도 68.5%, 수축율 13.4%, 비표면적 $3.0812m^2/g$로 나타났다.

  • PDF

A water treatment case study for quantifying model performance with multilevel flow modeling

  • Nielsen, Emil K.;Bram, Mads V.;Frutiger, Jerome;Sin, Gurkan;Lind, Morten
    • Nuclear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제50권4호
    • /
    • pp.532-541
    • /
    • 2018
  • Decision support systems are a key focus of research on developing control rooms to aid operators in making reliable decisions and reducing incidents caused by human errors. For this purpose, models of complex systems can be developed to diagnose causes or consequences for specific alarms. Models applied in safety systems of complex and safety-critical systems require rigorous and reliable model building and testing. Multilevel flow modeling is a qualitative and discrete method for diagnosing faults and has previously only been validated by subjective and qualitative means. To ensure reliability during operation, this work aims to synthesize a procedure to measure model performance according to diagnostic requirements. A simple procedure is proposed for validating and evaluating the concept of multilevel flow modeling. For this purpose, expert statements, dynamic process simulations, and pilot plant experiments are used for validation of simple multilevel flow modeling models of a hydrocyclone unit for oil removal from produced water.

폐 공용화기사격장 내 납오염 사격장 군부지의 물리적 토양세척정화기술 적용성 연구 (A Study on the Application of Physical Soil Washing Technology at Lead-contaminated Shooting Range in a Closed Military Shooting Range Area)

  • 정재윤;장윤영
    • 환경영향평가
    • /
    • 제28권5호
    • /
    • pp.492-506
    • /
    • 2019
  • 공용화기사격장 내 중금속 오염물은 대부분 탄두원형으로 존재하거나 입자로 존재하는 금속조각편이며 이들 미세한 금속입자들은 오랜 기간 풍화되어 표면이 산화물 또는 탄산화물로 존재할 가능성이 매우 높다. 특히 사격장 토양에서 대표적 오염물질인 납은 연성이 높아 무르고 잘 늘어나므로 더 미세입자로 존재한다. 따라서 물리적 세척 실험으로 입도분석, 입경별 중금속농도, 금속물질 성분분석, 비중, 자력, 부상선별의 적용성 평가를 실시하였다. 금속파편의 경우 FESEM분석과 무게측정결과 납은 무른 특성에 따라 얇게 조각나고 편모양의 구조로 비슷한 면적의 구형 토양보다 무게가 더 적게 나가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비중선별 적용성이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 결과를 적용하여 하이드로사이클론을 이용한 정화효율평가 결과 1회 71%, 2회 80%, 3회 91%의 누적 정화효율을 보였다. 이에 비해 자력선별은 17%의 낮은 효율을 보였고 부상선별은 입경 0.5 mm 미만으로 선별한 대상토는(-35 mesh) 39%로 비교적 높은 효율을 보였으나 입경 2 mm 미만으로 선별한 대상토의(-10 mesh) 효율은 16%에 불과하였다. 토양세척의 대상 처리입경은 2 mm ~ 0.075 mm로 입도구분을 추가로 하여 실규모 장치에 적용하여야 하며 이는 설치비용과 공정이 추가로 구성됨에 따른 관리가 필요할 것으로 분석되었다. 결과적으로 공용화기사 격장 오염의 토양정화는 탄두 원형을 유지한 탄두는 5.56 mm 이상으로 자갈입경보다 크므로 고비중을 이용한 비중선별을 실시하고, 금속파편으로 존재하는 오염물질은 얇게 조각나고 편모양의 구조로 같은 입경의 토양보다 무게가 더 적음에 따라 토양세척의 하이드로사이클론을 이용하여 분리하여 처리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농축산저수지 오염퇴적토의 토양정화기술에 대한 적용성 연구 (A Study on the Applicability of Soilremediation Technology for Contaminated Sediment in Agro-livestock Reservoir)

  • 정재윤;장윤영
    • 환경영향평가
    • /
    • 제29권3호
    • /
    • pp.157-181
    • /
    • 2020
  • 하천, 호소 및 해양항만의 퇴적물은 수계로 배출된 오염물질의 종착점이면서 동시에 지속적으로 오염물질을 수계로 배출하는 오염원(source)으로 작용한다. 지금까지 오염퇴적물은 육상매립 또는 해양투기해왔던 것이 현실이었다. 하지만 육상매립은 고 비용, 해양투기는 런던협약으로 인해 전면 금지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대상부지인 왕궁축산단지의 오염퇴적토를 대상으로 토양정화방법을 적용하여 연구하였다. 토양정화방법은 해외 적용사례와 국내 처리 가능한 적용기술을 선별하여 전처리, 퇴비화, 토양세척, 동전기, 열탈착을 적용하였다. 오염특성파악을 위한 대상 부지 조사결과 수질은 용존산소(Disolved Oxigen, DO), 부유물질(Suspended Solid, SS), 화학적산소요구량(Chemical Oxygen Demand, COD), 총질소(Total Nitrogen, TN), 총인(Total Phosphorus, TP) 이 방류수 수질기준을 초과하였고 특히 SS, COD, TN, TP는 기준을 수십 배에서 수백 배 초과하였다. 토양은 돼지사료의 성장을 촉진하는 구리, 아연의 농도가 높게 나타났으며, 카드뮴이 토양환경보전법 기준치 1지역을 상회하였다. 전처리기술은 하이드로사이클론을 활용하여 입도분리를 실시하였으며, 미세토양이 80% 이상 분리되어 선별효율이 높게 나타났다. 퇴비화는 유기물 및 석유계 총 탄화수소(Total Petroleum Hydrocarbon, TPH) 오염토양을 대상으로 실시하였으며, TPH는 우려기준 이내로 처리되었고, 유기물의 경우 대장균이 높게 분석되어 70℃에서 퇴비화 최적조건을 적용하여 비료규격을 만족하였으나 비료규격에 비하여는 유기물함량이 낮게 분석되었다. 토양세척은 연속추출시험결과 Cd는 미세토에서 5단계인 잔류성(Residual)물질이 확연하게 존재하였고 Cu 및 Zn은 오염분리가 쉬운 이온교환성(1단계), 탄산염(2단계), 철/망간산화물(3단계)의 함량이 대부분을 차지했다. 산용출과 다단세척을 단계별로 적용결과 염산, 1.0M, 1:3, 200rpm, 60min이 최적 세척인자로 분석되었으며 다단세척실험결과 오염 퇴적토는 대부분 1단에서 토양환경보전법 우려기준을 만족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의 적용성 시험결과 중금속오염이 높은 오염토는 전처리 후 토양세척을 적용하여 처리토를 골재로 활용하고, 유기물 및 유류 오염토는 퇴비화를 적용하여 오염물질과 대장균을 사멸한 후 부숙토로 사용하는 것이 효율적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