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ydraulic stimulation

검색결과 16건 처리시간 0.019초

유체 주입 중단이 유발 지진 규모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수리역학적 기초 연구 (A Hydro-Mechanical Basic Study on the Effect of Shut-in on Injection-Induced Seismic Magnitude)

  • 임주휘;민기복
    • 터널과지하공간
    • /
    • 제32권3호
    • /
    • pp.203-218
    • /
    • 2022
  • 본 연구에서는 유체 주입 중단과 유발 지진 규모의 관계에 대하여 수리역학적으로 분석하였다. 수리적 해석을 통해 공극압의 구배가 유체 주입 중단으로 인해 완만해짐과 동시에 주입 중단 이후에도 수 시간 동안 압력 선두에서 상당한 임계 공극압에 도달하면서 더 넓은 영역에서 추가적인 전단을 일으킬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수리역학 복합 해석을 단순화된 균열모델에 적용함으로써 유체 주입 중단 후에 최대 규모의 지진이 발생하는 것을 모사하였고, 유체 주입을 유지하는 경우와의 비교를 통해 급작스런 유체 주입 중단이 지진 유발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또한 공극압의 분포 이외에도 단층 간의 기하학적 관계와 응력 재분배 등에 의해 임계 공극압의 구배가 변하며 이것이 유발 지진의 규모 평가에 중요하게 고려되어야 함을 확인하였다.

인공저류층 지열시스템(EGS) 연구사례: 미국 Fenton Hill과 일본 Hijiori 사례 연구 (Case Studies of Enhanced Geothermal System: Fenton Hill in USA and Hijiori in Japan)

  • 박의섭
    • 터널과지하공간
    • /
    • 제23권6호
    • /
    • pp.547-560
    • /
    • 2013
  • 최근 전 세계적으로 에너지 수급의 불안정 및 기후변화에 의한 이산화탄소 저감의 필요성으로 인하여 신재생에너지에 대한 중요성은 점차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지난 2010년 12월에 시작되어 진행 중인 한국 최초의 포항 인공지열 저류층 생성 기술 (Enhanced Geothermal System; EGS) 지열발전소 프로젝트는 국내 EGS 관련기술 발전에 새로운 계기가 될 것이다. 본 논문은 국내 EGS 실증사업에 일부분이라도 도움이 되고자 미국 Fenton Hill 및 일본 Hijiori 프로젝트 연구사례를 살펴보고, 이를 통해 기존 EGS 프로젝트의 성과와 한계를 습득함으로써 국내 EGS 프로젝트의 시행착오를 최소화하는데 도움이 되고자 한다.

석탄층 메탄가스 저류층의 생산방법 선정을 위한 지능형 시스템 개발 (Development of Intelligent System to Select Production Method in Coalbed Methane Reservoir)

  • 김창재;김정균;이정환
    • 한국가스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1-9
    • /
    • 2014
  • 석탄층 메탄가스 저류층의 개발을 위해서는 석탄층 특성에 부합하는 생산방법을 적용하는 것이 중요하지만 대부분의 개발현장에서는 경험적인 판단에 의존하여 생산방법을 선정하고 있어 결과에 대한 신뢰도가 떨어질 뿐만 아니라 복잡한 시뮬레이션 해석을 통해 최적 생산방법을 규명해야 하는 등의 많은 시간과 노력이 필요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인공신경망을 활용하여 석탄층 메탄가스 최적 생산방법을 선정하기 위한 지능형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시스템 개발에 앞서 문헌 조사를 통해 석탄층 메탄가스 생산방법 선정 가이드라인을 분석하였고, 이를 활용하여 시추 방법과 유정완결법 선정 시스템, 수압파쇄공법 수행시 파쇄액 선정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개발된 생산방법 선정 시스템의 타당성 평가 결과, 높은 정확도를 나타냄으로써 본 연구에서 개발된 생산방법 선정 시스템은 향후 석탄층 메탄가스의 개발에 앞서 석탄층 특성에 부합하는 생산방법을 선정할 수 있는 효율적인 도구로 활용될 것으로 판단된다.

지열에너지와 관련한 유럽에서의 연구프로젝트 소개와 유도지진에 관한 GEISER프로젝트의 주요연구결과에 대한 사례연구 (Overview of Geothermal Energy Projects in Europe and the GEISER Project on Induced Seismicity)

  • 윤정석;다빗 부룬;아노 짱
    • 터널과지하공간
    • /
    • 제23권6호
    • /
    • pp.581-592
    • /
    • 2013
  • 본 사례연구논문에서는 유럽에서의 지열에너지개발과 관련된 연구프로젝트의 현황에 대한 개괄적인 내용과, 저자가 참여했던 GEISER프로젝트(Geothermal Engineering Integrating Mitigation of Induced Seismicity in Reservoirs)와 핵심세부과제인 유도지진(Induced Seismicity)에 관한 연구결과를 요약 정리하였다. 본 사례연구 논문에서 다룬 GEISER프로젝트의 연구결과와 교훈을 통해 수리자극에 의한 지열저류층 개발과 그에 수반되는 유도지진에 따른 문제가 예상되는 향후 지열에너지개발 프로젝트에 도움이 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DFIT 자료 해석을 통한 저류층의 투과도 및 초기압력 추정 (Estimation of Permeability and Initial Pressure in Reservoir by DFIT Data Analysis)

  • 김태홍;이성준;이근상
    • 터널과지하공간
    • /
    • 제23권3호
    • /
    • pp.169-179
    • /
    • 2013
  • 치밀 또는 셰일가스층과 같은 비전통 저류층에서 물성을 구할 때 기존의 전통 가스정 시험법을 적용하면 올바른 결과값을 얻을 수 없다. 일반적으로 셰일가스 저류층에서는 지층의 저투과성으로 인해 유동 속도가 느려 방사형 유동 구간이 나타나기까지의 시간이 매우 오래 걸리며 수압파쇄 후에는 방사형 유동 구간이 전혀 나타나지 않을 수도 있다. 이로 인해 시험 비용이 많이 들 뿐만 아니라 결과값의 정확도 또한 매우 낮다. 이러한 이유로 셰일가스 저류층 물성 분석법으로 DFIT(diagnostic fracture injection test)이 새롭게 주목받고 있다. 수압파쇄 전에 수행되는 DFIT은 셰일가스의 중요성이 커져감에 따라 저류층의 물성을 얻기 위한 가장 실용적인 방법 중의 하나로 알려져 있다. DFIT 데이터를 분석하는 방법에는 여러 가지가 있으며 한 가지 방법으로는 데이터를 잘못 분석할 수 있기 때문에 다양한 방법을 통해서 종합적으로 물성을 분석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다양한 DFIT 분석법들에 대해 설명하고 이를 통해 3개 저류층의 DFIT 데이터에서 여러 가지 분석법들이 어떻게 적용되는지 비교, 분석하여 정확한 저류층 물성을 얻고자 하였다.

항공기용 이중화 비대칭형 직렬 전기-정유압 구동기의 Force Fighting 억제 기법 (Force Fighting Suppressive Technique of Dual Redundant Asymmetric Tandem Electro-Hydrostatic Actuator for Aircraft)

  • 송우근;김상석;최정석;이정운;이종철;이준원;최종윤
    • 항공우주시스템공학회지
    • /
    • 제16권5호
    • /
    • pp.62-69
    • /
    • 2022
  • EHA(Electro-Hydrostatic Actuator)는 기존의 중앙집중식 유압시스템에 비해 높은 에너지 효율을 가진다. 특히 항공기용 EHA는 고장상황에 대비하여 이중화 설계가 일반적이다. 또한 장착공간의 한계로, 구동기 길이를 최적화 하여야 한다. 따라서 양로드형 실린더와 단로드형 실린더의 직렬 구성이 유리하다. 하지만 피스톤 수압부 면적의 비대칭성으로 인해, 일반적인 제어 기법으로 이중화 구동 시 두 실린더 사이에 Force Fighting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본 논문에서는 이중화된 EHA의 시뮬레이션을 통해 Force Fighting 현상을 확인하였다. 이를 억제하기 위한 방법으로 Load Compensation 제어기와 힘 제어 기반 위치 제어기를 적용하였고 시뮬레이션을 통해 각각의 성능을 비교 분석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