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uman chorionic gonadotropin

검색결과 157건 처리시간 0.026초

점몰개 Squalidus multimaculatus(Gobioninae)의 난 발생 및 자치어 형태 발달 (Morphological Development of Egg and Larvae of Squalidus multimaculatus (Gobioninae))

  • 송하윤;고명훈;서인영;문신주;방인철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52-61
    • /
    • 2017
  • 한국고유어종 Squalidus multimaculatus의 난 발생 과정 및 초기 생활사를 연구하였다. 성숙된 암컷 친어에 HCG (human chorionic gonadotropin)를 10 IU/g의 농도로 주사하여 성숙란을 얻었으며, 습식법으로 인공수정하였다. 수정란의 직경은 0.8~0.9 mm로 원형으로 투명한 황색을 띈 침성 점착란이었으며, 유구는 없었다. 부화는 수온 평균 $24{\pm}1^{\circ}C$에서 수정 후 65시간을 전후하여 시작하였다. 부화자어는 전장이 2.5~3.1 m로 입과 항문은 열려있지 않았다. 부화 후 5일째 자어는 전장이 4.0~4.2 mm로 난황이 완전히 흡수되며 입과 항문이 완전히 열리면서 후기자어로 이행하였다. 부화 후 30일째 개체의 전장은 11.2~15.7 mm로 모든 지느러미의 기조수가 정수에 달하며 몸의 무늬가 어미와 유사한 치어 단계로 이행하였다. 부화 45일 후에는 전장이 18.8~22.5 mm로 자라 외형이 성어와 유사하였고, 80일 후에는 25.7~35.9 mm로 자라 외형과 반문이 성어와 동일하였다.

대하(Fenneropenaeus chinensis)의 난소 성숙에 대한 Serotonin, Ecdysone 그리고 HCG의 효과 (Effects of Serotonin, Ecdysone and HCG on Ovarian Maturation of the Fleshy Prawn, Fenneropenaeus chinensis)

  • 이재용;김대중;김대현;김명희;김병기;이복규;한창희
    • 한국발생생물학회지:발생과생식
    • /
    • 제13권4호
    • /
    • pp.341-351
    • /
    • 2009
  • 대하, Fenneropenaeus chinensis의 난소 성숙에 대한 serotonin(5-hydroxytryptamine, 5-HT), ecdysone(20-hydroxyecdysone, 20-E) 그리고 HCG(human chorionic gonadotropin)의 효과를 조사하였다. 대하에 5-HT(체중 g당 $5{\mu}g,\;20{\mu}g$), 20-E(체중g당 $5{\mu}g,\;10{\mu}g,\;20{\mu}g$) 그리고 HCG(체중 g당 5 IU, 10 IU)를 5일 간격으로 3회 주사한 후 10일이 더 지난 시점에 채집하여 성 성숙도지수(GSI)의 변화와 난소의 조직학적 변화를 조사하였다. 호르몬제의 효과를 비교하기 위해 멸균한 생리식염 수만을 주사한 대조구와 아무 것도 처리하지 않은 무처리구를 설정하였다. 20-E와 HCG를 처리한 실험구에서는 난소 성숙 효과가 전혀 나타나지 않았으나, 이른 봄에 5-HT를 체중 g당 $20{\mu}g$로 처리한 실험구에서는 유의한 난소 성숙효과를 보였다. 본 실험 결과에서 대하에 5-HT를 체중 g당 $20{\mu}g$ 이상 처리하면 난소성숙을 유도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었으며, 이는 대하의 종묘 생산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 PDF

원발성 폐 융모막암종 1예 (A Case of Primary Choriocarcinoma of the Lung)

  • 조영재;이세원;이상민;임재준;유철규;한성구;심영수;김영환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61권6호
    • /
    • pp.578-584
    • /
    • 2006
  • 저자들은 뚜렷한 종양성 병변이 방사선학적으로는 물론 전신 PET에서도 유일하게 폐에서만 발견이 되었고, 산부인과적 검진 및 골반 MRI 검사에서도 원발성 종양을 의심할만한 병변이 발견되지 않았으며, 병리학적으로 면역조직화학염색을 통해 ${\beta}$-HCG에 양성인 원발성 폐 융모막암종의 증례를 경험하였기에 이 환자의 임상적 소견과 경과를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몰개(Squalidus japonicus coreanus)의 난 발생 및 자치어의 형태 발달 (Morphological Development of Egg and Larvae of Squalidus japonicus coreanus (Gobioninae))

  • 김경무;곽영호;김승용;송하윤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33권4호
    • /
    • pp.252-261
    • /
    • 2021
  • 본 연구는 난과 자치어의 형태 및 생활사가 밝혀지지 않은 Squalidus japonicus coreanus의 초기생활사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S. japonicus coreanus의 친어는 충청남도 공주시의 지천에서 확보하였다. 성숙한 암컷 친어에 HCG (human chorionic gonadotropin)를 10 IU/g의 농도로 주사하여 성숙란을 얻었으며, 습식법으로 인공 수정하였다. 수정란은 불투명한 흰색 원형의 침성점착란으로 난경은 1.12±0.03 mm (1.10~1.16 mm, n=30)였다. 수정란은 수온 23±1℃에서 수정 49시간 후 부화가 완료되었으며, 난황자어의 전장은 3.7±0.1 mm (3.4~3.8 mm, n=16)로 흑색소포가 관찰되지 않았다. 부화 5일 후 자어의 전장은 5.3±0.2 mm (5.0~5.5 mm, n=16)로 난황의 흡수가 완료되고 윤충류 섭식을 시작하여 전기자어기로 이행하였다. 부화 19일째의 자어의 전장 6.0±0.3 mm (5.4~6.5 mm, n=16)로 척삭말단이 굴곡이 시작되고 꼬리지느러미의 기조가 형성되어 중기자어기로 이행하였다. 부화 29일 후 자어의 전장은 9.6±0.5 mm (8.3~10.5 mm, n=16)로 척색말단의 굴곡이 완료되어 후기자어기로 이행하였다. 부화 44일 후 전장 15.5±1.0 mm (13.5~17.0 mm, n=16)로 모든 지느러미의 기조가 정수에 도달하여 치어기로 이행하였다.

치리(Hemiculter leucisculus)의 난 발생 및 자치어 형태 발달 (Morphological Development of Egg and Larvae of Hemiculter leucisculus)

  • 김경무;김승용;송미영;송하윤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32권4호
    • /
    • pp.222-231
    • /
    • 2020
  • 본 연구는 충남 예당호에 서식하는 Hemiculter leucisculus의 초기생활사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성숙된 친어에 HCG (human chorionic gonadotropin)를 10 IU/g의 농도로 주사하여 12시간 후 성숙란을 확보하였으며, 성숙란을 습식법으로 인공 수정하였다. 수정란은 불투명한 담녹색 원형의 침성점착란으로 난경은 0.97±0.02 mm (0.9~1.0 mm, n=30)이었다. 수정란은 수온 22±1℃에서 수정 32시간 후 수정란의 50%가 부화를 완료하였으며, 부화자어의 전장은 3.0±0.2 mm (2.6~3.4 mm, n=15)로 채색은 무색투명하였다. 부화 6일 후 자어는 5.7±0.1 mm (5.4~5.8 mm, n=15)로 입과 항문이 열리고 로티퍼를 섭식하여 전기자어기로 이행하였다. 부화 17일 후 자어는 6.8±0.2 mm (6.5~7.0 mm, n=15)로 척색말단이 굴곡되어 중기자어기로 이행하였다. 부화 30일 후 8.8±0.7 mm (7.9~10.3 mm, n=15)로 등지느러미 기조가 발달하기 시작하였으며, 척색말단 굴곡이 완료되어 후기자어기로 이행하였다. 부화 50일 후 20.8±0.8 mm (18.8~24.6 mm, n=15)로 모든 지느러미의 기조가 정수에 도달하여 치어기로 이행하였다.

Bisphenol A와 Nonylphenol이 노래미, Hexagrammos agrammus 성숙기 난모세포의 스테로이드 생성과정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Bisphenol A and Nonylphenol on In Vitro Steroid Production in Matured Oocyte of Greenlings, Hexagrammos agrammus)

  • 황인준;김형배;백혜자
    • 한국발생생물학회지:발생과생식
    • /
    • 제12권3호
    • /
    • pp.275-281
    • /
    • 2008
  • 본 연구에서는 해산어를 이용하여 bisphenol A(BPA)와 nonylphenol(NP)이 난모세포 성숙 과정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조사하기 위해 성숙단계에 있는 노래미(Hexagrammos agrammus) 난모세포(난경 약 1.88 mm)를 대상으로 in vitro에서 BPA와 NP 처리에 의한 난모세포의 성스테로이드 생성농도를 조사하였다. 난모세포에 BPA와 NP를 농도구별(0.1, 1, 10, 100, 1,000 ng/$m{\ell}$)로 첨가하고, 50 IU의 human chorionic gonadotropin(HCG)를 농도구별 BPA 또는 NP와 함께 첨가하거나 하지 않고 48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배양 후 배양액 내의 $17{\alpha},20{\beta}$-dihydroxy-4-pregnen-3-one($17{\alpha}20{\beta}OHP$), estradiol-$17{\beta}(E_2)$ 그리고 testosterone(T)의 농도를 방사면역측정법(RIA)을 통해 정량하였다. BPA 처리구에서는 100 ng/$m{\ell}$의 농도구에서 HCG 처리 유무에 상관없이 $E_2$ 생성이 촉진되었다. HCG 처리하에서 0.1 ng/㎖의 농도구에서 T 생성은 촉진 되었으나, HCG를 처리하지 않은 실험구의 모든 농도구에서 T 생성은 저해되었다. NP 처리구에서는 HCG를 처리하지 않은 실험구의 10 ng/$m{\ell}$의 농도구에서 $17{\alpha}20{\beta}OHP$와 T 생성이 촉진되었고, 1 ng/$m{\ell}$의 농도구에서는 $E_2$ 생성이 억제되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면, 노래미의 성숙단계의 난모세포에서 BPA는 약한 estrogen-agonistic 효과를, NP는 estrogenantagonistic 효과를 지니는 것으로 사료된다.

  • PDF

Effect of human chorionic gonadotrophin injection after artificial insemination on pregnancy establishment in dairy cattle

  • Lim, Hyun-Joo;Lee, Ji Hwan;Kim, Hyun Jong;Kim, Min Su;Kim, Tae Il;Park, Soo Bong
    • 한국수정란이식학회지
    • /
    • 제33권3호
    • /
    • pp.149-157
    • /
    • 2018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 of treating dairy cattle with exogenous human chorionic gonadotrophin (hCG), five (5) days post artificial insemination (AI) on serum progesterone (P4) concentration and pregnancy rate. In this experiment, five days after AI, cows were assigned randomly to two groups namely: a) treated group (67) which were administrered with 1500 IU hCG (Chorulon) and b) control group (61), which received no treatment. On day 5, 10, 15 and 20 after the artificial insemination, blood samples from a total of 8 cows (4 from each group) were collected and were analyzed for serum P4 concentration. Cows were detected for estrus according to standing heat by visual observation. Cows that were detected still in estrus after days 18-24 were re-inseminated and recorded as not pregnant (open). Pregnancy diagnosis was conducted by ultrasonographic examination and transrectal palpation of the uterus on approximately 60 days in cows that observed to be not in estrus. The conception rate in hCG treated and control groups were 52.5 and 36.1%, respectively. The results proved that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conception rate between two groups (p=0.0568). However, pregnancy rates were reduced by hCG treatment. Average serum P4 concentrations did not differ between Hcg-treated and control groups on day 5 (0.377 versus 0.375 ng/ml). On day 20 serum P4 concentrations were greater in the treated group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3.085 versus 2.010 ng/ml). The treatment with hCG seemed to increase P4 level compared with the control. In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1500 IU of hCG administered on 5 day post AI increased conception rate in dairy cows. This was supported by the results on serum P4 concentration which was greater in hCG treated group.

COOH-Terminal Animo Acids of Tethered-Buman Glycoprotein Bormone $\alpha$-Subunit Play an Important Role for Secretion

  • Min, K.S;Yoon, J.K.
    • 한국가축번식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395-399
    • /
    • 2002
  • Human chorionic gonadotropin (hCG) is a member of the glycoprotein hormone family which includes FSH. hCG TSH. These hormone family is characterized by a heterodimeric structure composed a common $\alpha$-subunit noncovalently linked to a hormone specific $\beta$-subunit. To determine u and $\beta$ -subunits can be synthesized as a single polypeptide chain (tethered-hCG) and also display biological activity, the tethered-hCC and -FSH molecule by fusing the carboxyl terminus of the hCG $\beta$-subunit to the amino terminus of the $\alpha$-subunit was constructed. To determine the importance of $\alpha$ COOH -terminal amino acid, we also deleted the $\alpha$ COOH-terminal amino acids. The expressing vectors were transfected into CHO-K 1 cells. The tethered-wthCG and -wtFSH was efficiently secreted. The $\alpha$ Δ83hCG and $\alpha$ Δ 83FSH mutants had no secretion. These results are the first conclusive evidence that COOH-terminal amino acids are very important for secretion in human glycoprotein hormone $\alpha$-subunit. These results demonstrated that the $\alpha$ Δ83hCG and $\alpha$ Δ 83FSH mutants could be play a pivotal role in the secretion of tethered-molecule.

성선자극호르몬이 흰쥐 난소의 GnRH와 GnRH mRNA의 발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Gonadotropin on the Expression of GnRH and GnRH mRNA in Rat Ovary)

  • 백원영;정파진;박신근;김완영;이종학;김종화;김명옥;최완성
    • Clinical and Experimental Reproductive Medicine
    • /
    • 제21권1호
    • /
    • pp.121-130
    • /
    • 1994
  • Expression of gonadotropin releasing hormone(GnRH) has been described in the rat ovary. It remains, however, unkown whether GnRH is synthesized as a prohormone. Therefore, this study was performed to verify the expression of pro-GnRH by in situ hybridization and further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gonadotropin on GnRH or GnRH mRNA in rat ovary by immunohistochemical and in situ hybridization techniques. Adult female Sprague-Dawely rats were used and the estrous cycle was synchronized by intraperitoneal injection of pregnant mare's serum gonadotropin(PMSG). Ovaries were fixed with 4% paraformaldehyde and embedded with G.C.T. compound and cut by cryostat. For immunohistochemistry, avidin-biotin peroxidase complex(ABS) method was employed and for in situ hybridization, $^{35}S$-end labeled oligonucleotide was used and followed by autoradiography. By in situ hybridization using GnRH oligomer and GAP(GnRH associated protein) oligomer, GnRH mRNA and GAP mRNA were co-localized in the fullicular cells, luteal cells, interstitial cells and theca cells. GnRH or GnRH mRNA signals in the ovary increased by human chorionic gonadotropin(hCG) injection. At the 3 and 6 hrs after hCG injection, the number of GnRH and GnRH mRNA containing cells increased rapidly and the density of GnRH and GnRH mRHA culminated at 9 hrs after heG injection. With the follicular development, the high expression of GnRH and GnRH mRNA was also observed within the follicles. After ovulation, the density of GnRH or GnRH mRNA decreased in the follicles but increased in the corpus lutea.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