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ub network

검색결과 319건 처리시간 0.026초

철도화물운송을 위한 Hub-and-spokes서비스네트워크 디자인모형의 개발 (Hub-and-spokes service network design for rail freight transportation)

  • 정승주
    • 대한교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교통학회 2003년도 제43회 학술발표회논문집
    • /
    • pp.75-93
    • /
    • 2003
  • Hub-and-spokes전략은 교통분야에서 널리 이용되는 네트워크전략이지만, 철도의 경우 대개 이 전략을 이용하기 어려운 네트워크구조를 가지고 있어 그 적용사례를 찾아보기 어렵다. 그러나 유럽에서는 철도망이 도로망처럼 조밀하게 형성되어 있다는 점과 환적 처리기술의 발달로 90년대 초부터 이 전략이 철도화물운송부문에도 도입되기 시작했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 논문은 철도화물운송망에서의 hub-and-spokes전략을 구현하는 서비스네트워크 디자인모형을 개발하고, 모델의 실제철도망에의 적용성을 평가한다. 개발되는 모형이 전략모형임에도 불구하고 모형에서는 일반화된 운영비용 외에 열차속도, 서비스빈도, 터미널에서의 화물처리속도 등에 따른 시간지체비용도 고려되었다. 시간지체비용의 고려에 따라 야기되는 비선형 목적함수는 빈도별 서비스결정변수의 설정을 통해 선형화되어 결과적으로 모형은 선형 binary정수 최적화문제로 표현되었다. 규모가 큰 네트워크의 경우 해도출의 어려움 때문에 본 논문은 전체문제의 분할(decomposition)에 기초한 휴리스틱방법((heuristic method)으로 해결한다. 해도출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서비스빈도개선과 관련하여 세 알고리즘이 개발되었다. 개발된 알고리즘은 유럽의 실제네트워크를 기초로 도출한 4개의 테스트문제에 적용되어, 해의 정확도와 해 도출의 효율성이 비교·평가되었다.

  • PDF

편리한 사물인터넷 서비스를 위한 IoT 관리 허브 연결 방법 (The Way of IoT Management Hub Connection for Convenient IoT Service)

  • 김상현;김영돈;이창석;이동호;박현주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9권11호
    • /
    • pp.2656-2664
    • /
    • 2015
  • IoT 단말을 관리하는 IoT 관리 허브가 수집한 센싱데이터를 원격의 서버로 저장하기 위해서 인터넷 네트워킹이 가능해야 한다. 네트워크에 접속하기 위한 방법은 유선연결 방법과 WLAN AP에 접속하는 방법이 있는데, WLAN AP에 접속하기 위해서는 접속 가능한 영역의 AP 목록을 조회하고 특정 AP를 선택해야 한다. AP에 보안키가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해당 보안키를 입력 할 수 있는 방법 또한 필요하다. 기존 방식에서는 IoT 관리 허브가 AP의 목록조회를 위한 디스플레이 장치가 필요했고, 목록을 선택하고 보안키를 입력하기 위한 입력 장치가 필요했다. 이러한 방식은 IoT 관리 허브가 디스플레이 장치와 입력 장치를 포함한 형태로 구성되기 때문에 단말의 소형화와 저가격화를 방해하게 된다. 또한 IoT 서비스가 대중화 되었을 때 사용자들에게 불편한 서비스로 인식될 우려가 있다. 본 논문에서는 스마트폰의 Wifi, 디스플레이 장치, 입력 장치를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친숙한 방법으로 IoT 관리 허브를 WLAN 네트워크에 연결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인터넷 상호접속 진화에 따른 대역폭 거래(Bandwidth Trading)의 필요성 및 거래시스템 아키텍처 설계 (Evolution of Internet Interconnections and System Architecture Design for Telecom Bandwidth Trading)

  • 김도훈
    • 한국IT서비스학회지
    • /
    • 제7권1호
    • /
    • pp.131-149
    • /
    • 2008
  • Bandwidth Trading(BT) represents a potential market with over 1 trillion USD across the world and high growth potential. BT is also likely to accelerate globalization of the telecommunications industry and massive restructuring driven by unbundling rush. However, systematic researches on BT remain at an infant stage. This study starts with structure analysis of the Internet industry, and discusses significance of Internet interconnection with respect to BT Issues. We also describe the bandwidth commoditization trends and review technical requirements for effective Internet interconnection with BT capability. Taking a step further, this study explores the possibility of improving efficiency of network providers and increasing user convenience by developing an architectural prototype of Hub-&-Spoke interconnection model required to facilitate BT. The BT market provides an Innovative base to ease rigidity of two-party contract and Increase service efficiency. However, as fair, efficient operation by third party is required, this research finally proposes an exchanging hub named NIBX(New Internet Business eXchange).

무선 LAN 환경에서 단말 이동시 전송되는 AP간 WEP 키 전송 개선 방안 (Improvement of WEP Key transmission between APs, during STA Movement in Wireless Environment)

  • 송일규;홍충선;이대영
    • 정보처리학회논문지C
    • /
    • 제11C권2호
    • /
    • pp.219-228
    • /
    • 2004
  • 무선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이란 옥내 또는 옥외 환경에서 무선으로 네트워크 환경을 구축하는 것을 말하며, 기술적인 측면에서는 허브(Hub)에서 PC(Personal Computer), 노트북PC, PDA 등 클라이언트까지 유선 대신 전파나 빛을 이용하여 네트워크를 구축하는 방식을 말한다. 현재, IEEE 802.11 WG(Working Group) 중에는 AP(Access Point)간의 표준화된 프로토콜을 개발하는 TGf(Task Group F)가 있다. 이 그룹에서는 서로 다른 제조업체에서 생산한 AP 간의 상호연동을 보장하기 위한 IAPP(Inter Access Point Protocol)를 제안하였는데, 이는 동일 서브네트워크 내의 서로 다른 AP간에 이동성을 보장하기 위한 프로토콜로, STA(Station)들이 이동할 때 재인증 과정을 거치지 않고 AP간의 Security Context 정보나 Layer 2 forwarding 정보를 공유함으로서 STA간의 seamless 연결성을 제공한다. 본 논문에서는 위의 AP간 메시지 전달 시 발생할 수 있는 보안성이 요구되는 iapp-move 요청, 응답 메시지를 이미 사용되고 있는 인증된 경로를 통해 전달함으로써 WEP키 등의 보안성이 요구되는 정보의 유출을 막고, 무선구간의 보안성을 제공하기 위해 공개키를 이용한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The Lifespan of Social Hub In Social Networking Sites: The Role of Reciprocity, Local Dominance and Social Interaction

  • Han, Sangman;Magee, Christopher L.;Kim, Yunsik
    • Asia Marketing Journal
    • /
    • 제17권1호
    • /
    • pp.69-95
    • /
    • 2015
  • This paper examines a highly used social networking site (SNS) by studying the behavior of more than 11 million members over a 20 month period. The importance of the most highly active members to the overall network is demonstrated by the significant fraction of total visits by extremely active members in a given period but such members have surprisingly short lifespans (an average of only 2.5 months) as social hubs. We form and test a number of hypotheses concerning these social hubs and the determinants of their lifespan. We find that the speed of achieving social hub status increases the lifespan of a social hub. The norm of reciprocity is strongly confirmed to be present in the social hub population as visits are reciprocated. We also find that increasing local dominance in terms of activities over neighboring agents leads to a longer lifespan of a social hub. Contrary to expectations, local clustering in the vicinity of social hubs is smaller (rather than larger) than overall clustering. We discuss managerial implications in the paper.

Discovery of Anticancer Activity of Amentoflavone on Esophageal Squamous Cell Carcinoma: Bioinformatics, Structure-Based Virtual Screening, and Biological Evaluation

  • Chen, Lei;Fang, Bo;Qiao, Liman;Zheng, Yihui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32권6호
    • /
    • pp.718-729
    • /
    • 2022
  • Esophageal squamous cell carcinoma (ESCC) is the most common primary esophageal malignancy with poor prognosis. Here, due to the necessity for exploring potential therapies against ESCC, we obtained the gene expression data on ESCC from the TCGA and GEO databases. Venn diagram analysis was applied to identify common targets. The protein-protein interaction network was constructed by Cytoscape software, and the hub targets were extracted from the network via cytoHubba. The potential hub nodes as drug targets were found by pharmacophore-based virtual screening and molecular modeling, and the antitumor activity was evaluated through in vitro studies. A total of 364 differentially expressed genes (DEGs) in ESCC were identified. Pathway enrichment analyses suggested that most DEGs were mainly involved in the cell cycle. Three hub targets were retrieved, including CENPF, CCNA2 (cyclin A), and CCNB1 (cyclin B1), which were highly expressed in esophageal cancer and associated with prognosis. Moreover, amentoflavone, a promising drug candidate found by pharmacophore-based virtual screening, showed antiproliferative and proapoptotic effects and induced G1 in esophageal squamous carcinoma cells. Taken together, our findings suggested that amentoflavone could be a potential cell cycle inhibitor targeting cyclin B1, and is therefore expected to serve as a great therapeutic agent for treating esophageal squamous cell carcinoma.

LMDS 시스템에서 전파지연시간이 서비스 영역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A Study of limitation of Service Area by transmission delay in LMDS System)

  • 박두일;김동현최광주오성환
    • 대한전자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자공학회 1998년도 추계종합학술대회 논문집
    • /
    • pp.347-350
    • /
    • 1998
  • 본 논문에서는 최근 광대역 무선 가입자망으로 각광받고 있는 LMDS(Local Multipoint distribution Service)시스템에서 Head-End 의 AIU(Air Interface Unit)와 HUB 사이의 거리에 따른 전송지연 시간과 HUB 와 가입자 장치(CPE:Customer Premises Equipment)내의 NIU(Network Interface Unit)간의 전송 지연 시간에 의하여 서비스 반경이 제한되어 지는 것에 관하여 살펴보고 적절한 서비스 반경에 대하여 제안하였다.

  • PDF

문학 진흥 인프라 구축을 위한 문학관 네트워크 조직 및 운영 방안 연구 (The Research about Literature Museum Network Organization and Operation plan for Establishment of Literature Promotion Infrastructure)

  • 채근병
    • 지역과문화
    • /
    • 제7권2호
    • /
    • pp.57-84
    • /
    • 2020
  • 문학관 네트워크는 <문학진흥법>의 입법 취지를 현실화하고 전국 지역문학관의 균형적 발전을 이루기 위해, 문학관 네트워크 지원센터와 거점문학관을 권역별로 선정하여 운영하고자 한다. 문학관 네트워크 지원센터에서는 국립한국문학관을 정점으로 하는 지역문학관간 협력 사업을 전담하고, 거점문학관에서는 문학관 네트워크 지원센터가 기획하는 각종 사업을 시범 운영하여 파생적인 콘텐츠 창출을 꾀하거나 문학관 근무인력의 교육 등의 업무를 담당한다. 기존의 광역 단위 행정구역을 활용해 권역을 구성한다면 전국은 총 4개 권역으로 편제할 수 있다. 서울경기문학관 네트워크(지역문학관 23개소), 강원충청문학관 네트워크(지역문학관 32개소), 영남문학관 네트워크(지역문학관 30개소), 호남제주문학관 네트워크(지역문학관 22개소) 등이 그것이다. 각 권역별로 1개소의 문학관 네트워크 지원센터를 설립하고 1개소의 지역문학관을 거점문학관으로 선정한다. 문학관 네트워크 지원센터는 문학 자료의 수집 및 관리, 콘텐츠 및 프로그램 개발, 홍보 및 대외협력 등을 맡는다. 거점문학관은 콘텐츠 및 프로그램 시범 운영, 문학관 전문인력 양성 및 교육, 공동수장고 운영 등을 맡는다. 이 사업들은 국립한국문학관 내 설치된 문학관 네트워크 운영위원회를 통해 감독받도록 한다. 문학관 네트워크의 구조적 체계와 효율적인 운영은 궁극적으로 문학 진흥 인프라 구축의 동력과 공공성이 담보된 문화거버넌스 형성의 계기를 제공할 것이다.

Differences in Large-scale and Sliding-window-based Functional Networks of Reappraisal and Suppression

  • Jun, Suhnyoung;Lee, Seung-Koo;Han, Sanghoon
    • 감성과학
    • /
    • 제21권3호
    • /
    • pp.83-102
    • /
    • 2018
  • The process model of emotion regulation suggests that cognitive reappraisal and expressive suppression engage at different time points in the regulation process. Although multiple brain regions and networks have been identified for each strategy, no articles have explored changes in network characteristics or network connectivity over time. The present study examined (a) the whole-brain network and six other resting-state networks, (b) their modularity and global efficiency, which is an index of the efficiency of information exchange across the network, (c) the degree and betweenness centrality for 160 brain regions to identify the hub nodes with the most control over the entire network, and (d) the intra-network and inter-network functional connectivity (FC). Such investigations were performed using a traditional large-scale FC analysis and a relatively recent sliding window correlation analysi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right inferior orbitofrontal cortex was the hub region of the whole-brain network for both strategies. The present findings of temporally altering functional activity of the networks revealed that the default mode network (DMN) activated at the early stage of reappraisal, followed by the task-positive networks (cingulo-opercular network and fronto-parietal network), emotion-processing networks (the cerebellar network and DMN), and sensorimotor network (SMN) that activated at the early stage of suppression, followed by the greater recruitment of task-positive networks and their functional connection with the emotional response-related networks (SMN and occipital network). This is the first study that provides neuroimaging evidence supporting the process model of emotion regulation by revealing the temporally varying network efficiency and intra- and inter-network functional connections of reappraisal and suppress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