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Research about Literature Museum Network Organization and Operation plan for Establishment of Literature Promotion Infrastructure

문학 진흥 인프라 구축을 위한 문학관 네트워크 조직 및 운영 방안 연구

  • 채근병 (경희대 후마니타스칼리지)
  • Received : 2020.05.31
  • Accepted : 2020.06.23
  • Published : 2020.06.30

Abstract

The Literature Museum Network aims to realize the legislative purpose of the Literature Promotion Act and achieve balanced development of local literature centers across the country. In the Literature Museum Network, the literature museum network support center will be established by region to take charge of cooperation projects between local literature centers, which will be the culmination of the National Literature Museum of Korea. It is intended to test-run various projects planned by the Munhakwan Network Support Center to create derivative contents, or to establish a regional hub literature center in charge of education and other affairs of the literature museum's workforce. If the existing metropolitan administrative districts are used to form zones, the entire country can be organized into four zones. They include the Seoul-Gyeonggi Literature Museum Network (23 local literature centers), the Gangwon Chungcheong Literature Museum Network (32 local literature centers), the Yeongnam Literature Museum Network (30 local literature centers), and the Honam Jeju Literature Museum Network (22 local literature centers). One literature museum network support center will be established for each region and one local literature center will be selected as the hub literature center. The Literature Hall Network Support Center is in charge of collecting and managing literary materials, developing contents and programs, promoting and foreign cooperation, etc. The hub literature museum will be in charge of pilot operation of content and programs, training and education of experts in the literature museum, and running joint storage facilities. This structural system and efficient operation of the literature museum network will ultimately provide an opportunity for the formation of cultural governance in which the power and public nature of the establishment of literary promotion infrastructure are secured.

문학관 네트워크는 <문학진흥법>의 입법 취지를 현실화하고 전국 지역문학관의 균형적 발전을 이루기 위해, 문학관 네트워크 지원센터와 거점문학관을 권역별로 선정하여 운영하고자 한다. 문학관 네트워크 지원센터에서는 국립한국문학관을 정점으로 하는 지역문학관간 협력 사업을 전담하고, 거점문학관에서는 문학관 네트워크 지원센터가 기획하는 각종 사업을 시범 운영하여 파생적인 콘텐츠 창출을 꾀하거나 문학관 근무인력의 교육 등의 업무를 담당한다. 기존의 광역 단위 행정구역을 활용해 권역을 구성한다면 전국은 총 4개 권역으로 편제할 수 있다. 서울경기문학관 네트워크(지역문학관 23개소), 강원충청문학관 네트워크(지역문학관 32개소), 영남문학관 네트워크(지역문학관 30개소), 호남제주문학관 네트워크(지역문학관 22개소) 등이 그것이다. 각 권역별로 1개소의 문학관 네트워크 지원센터를 설립하고 1개소의 지역문학관을 거점문학관으로 선정한다. 문학관 네트워크 지원센터는 문학 자료의 수집 및 관리, 콘텐츠 및 프로그램 개발, 홍보 및 대외협력 등을 맡는다. 거점문학관은 콘텐츠 및 프로그램 시범 운영, 문학관 전문인력 양성 및 교육, 공동수장고 운영 등을 맡는다. 이 사업들은 국립한국문학관 내 설치된 문학관 네트워크 운영위원회를 통해 감독받도록 한다. 문학관 네트워크의 구조적 체계와 효율적인 운영은 궁극적으로 문학 진흥 인프라 구축의 동력과 공공성이 담보된 문화거버넌스 형성의 계기를 제공할 것이다.

Keywords

Acknowledgement

이 논문은 2018년 대한민국 교육부와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임 (NRF-2018S1A5B5A07073735)

References

  1. 곽효환(2017), 국립한국문학관 건립과 지역문학 발전 방안 연구, 한국문예창작 통권 39호.
  2. 국민대학교 산학단(2007), 박물관협력망 운영활성화 방안 연구, 국민대학교 산학단.
  3. 권영득(2007), 민속생활사박물관 협력망 사례로 본 박물관 활성화 방안 연구, 박물관교육연구 창간호.
  4. 김금미 외(2012), 구글지도를 활용한 문학지도 제작, 한국콘텐츠학회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5. 김재광(2015), 문화공공성과 문화다양성을 제고하기 위한 법적 과제, 공법연구 제43집. p54.
  6. 김종우(2014), 복합문화공간으로의 문학관 운영 방안에 관한 연구-대구문학관을 중심으로, 문화정책논총 28(1). https://doi.org/10.16937/JCP.28.1.201401.253
  7. 김창호(2010), 문학공간의 문화콘텐츠화 연구-광주전남지역을 중심으로, 전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8. 나윤지(2016), 한국 근현대문학의 가치 계승을 위한 문학관 운영 방안 연구, 고려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9. 노홍주(2014), 문화예술역량 신장을 위한 문학체험 활동 방안 연구-에코뮤지엄으로서의 미당시문학관을 중심으로, 동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0. 문화체육관광부 문화예술정책실 예술정책과(2017), 제1차 문학진흥기본계획, 문화체육관광부.
  11. 문화체육관광부 문화예술정책실 예술정책과(2017), 제1차 문학진흥기본계획 보도자료, 문화체육관광부.
  12. 박덕규(2009), 문학공간의 명소화와 문화산업화 문제, 한국문예창작 16호.
  13. 박용관(1999), 네트워크론, 커뮤니케이션북스.
  14. 박재용.조윤희(2004), 도서관/박물관 협력체제 모형 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문헌정보 38호. pp328-329
  15. 오창은(2013), 국립근대문학관 건립 방안에 대한 연구, 어문론집 제56집.
  16. 유은지(2007), 문학관을 활용한 문학 진흥 방안 연구, 단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7. 이원호(2016), 문화공공성과 문화거버넌스를 통한 한국문학진흥정책에 관한 연구-문학축제를 중심으로, 단국대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27.
  18. 이정호(2012), 작은도서관 협력 네트워크의 효과에 관한 연구: 네트워크의 구조적 특성과 조직효과성의 관계를 중심으로, 사회과학연구 제25권.
  19. 조현성(2018), 거점형 문학관 도입 및 활성화 방안, 한국문화관광연구원.
  20. 채근병(2018), 문학관 협력망 구축 및 운영 방안 연구-문학관 협력망 지원센터를 중심으로, 한국문예창작 44호.
  21. 한국도서관협회(2002), 도서관협력망 협력사업 표준모델 개발, 도서관협회. pp55-78
  22. 한국문화관광연구원(2017), 지역문학관 실태조사 및 활성화 방안 연구, 문화체육관광부.
  23. 한국문화관광연구원(2009), 지역문학관 활성화 정책 연구, 문화체육관광부.
  24. 한정호(2007), 문화예술행정과 지역문학의 실천 방안, 영주어문 13집. p137
  25. 고산윤선도문학관 (완도군청홈페이지, http://www.wando.go.kr, 자료검색일 2020.05.15.)
  26. 국가법령정보센터홈페이지 (http://www.law.go.kr, 자료검색일 2019.02.10)
  27. 김환태문학관 (무주군청홈페이지 http://tour.muju.go.kr/art/index.do, 자료검색일 2020.05.15.)
  28. 목포문학관홈페이지 (https://munhak.mokpo.go.kr, 자료검색일 2020.05.15.)
  29. 미당시문학관 (고창군청홈페이지 http://gochang.grandculture.net, 자료검색일 2020.05.15.
  30. 백호문학관홈페이지 (http://baekhomoonhak.or.kr, 자료검색일 2020.05.15.)
  31. 석정문학관홈페이지 (http://shinseokjeong.com, 자료검색일 2020.05.15.)
  32. 순천문학관 (순천시청홈페이지, https://www.suncheonbay.go.kr, 자료검색일 2020.05.15.)
  33. 시문학파기념관 (강진군청홈페이지 http://www.gangjin.go.kr, 자료검색일 2020.05.15.)
  34. 아리랑문학관 (김제시청홈페이지 http://www.gimje.go.kr, 자료검색일 2020.05.15.)
  35. 전라북도문학관홈페이지 (http://www.jbmunhak.com, 자료검색일 2020.05.15.)
  36. 조태일시문학관 (곡성군청홈페이지, http://www.gokseong.go.kr, 자료검색일 2020.05.15.)
  37. 채만식문학관 (군산시청홈페이지 https://www.gunsan.go.kr, 자료검색일 2020.05.15.)
  38. 천관문학관 (장흥군청홈페이지, http://www.jangheung.go.kr/tour, 자료검색일 2020.05.15.)
  39. 최명희문학관홈페이지 (http://www.jjhee.com, 자료검색일 2020.05.15.)
  40. 혼불문학관 (남원시청홈페이지 http://www.namwon.go.kr, 자료검색일 2020.05.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