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ot water soluble

검색결과 242건 처리시간 0.032초

Hericium erinaceum 균사체와 자실체 열수 추출물의 몇몇 In-Vitro 및 In-Vivo 생물활성 (Some In-Vitro and In-Vivo Biological Activities of Hot Water Extracts from Fruit Body and Cultured Mycelium of Hericium erinaceum)

  • 정재현;이광호;이신영
    • KSBB Journal
    • /
    • 제22권1호
    • /
    • pp.22-29
    • /
    • 2007
  • H. erinaceum은 현재 산업적으로 매우 주목되고 있는 기능성 소재들 중의 하나이다. 본 연구에서는 식용은 물론 각종 약리효과를 나타내는 H. erinaceum의 기능성 식품의 제품화 연구 일환으로, 지금까지 체계적으로 연구된 바 없는 H. erinaceum의 액체배양을 시도하고, 생성된 균사체의 생리기능성의 변화를 자실체의 물 추출물과 비교, 조사함으로써 H. erinaceum 액체배양 생성물의 생리기능 효과를 평가, 규명하고자 하였다. H. erinaceum의 자실체 및 균사체 물 추출물은 HeLa (human cervix epitheloid carcinoma; 인간 자궁 상피암세포), Raw264.7 (mouse monocyte macrophage; 생쥐 단핵 대식세포), Jurkat (human acute T cell leukemia, 인간 급성 T 백혈병 세포), KATO3 (human gastric carcinoma 인간 위장 암세포), EL4 (mouse T lymphoma 생쥐 T 림프종 세포), LyD9 (mouse bone marrow plurypotent stem cell; 생쥐 공수유래 간세포) 등 각종 암세포주에 대해 농도 의존적으로 증식 억제 효과를 나타내었다. 자실체 추출물은 균사체 추출물보다 대부분의 암세포 증식의 억제 효과가 컸으며, 가장 높은 암세포 증식 억제효과를 보인 자실체 열수 추출물의 효과는 Raw 264.7 및 EL4 세포주를 사용한 Taxol와의 비교실험 결과, 자실체 농도 0.01$\sim$10 mg/ml에서 자실체 사용량의 1/1000에 상당하는 양의 Taxol 효과와 비슷하였다. 자실체 및 균사체 열수 추출물들은 1 mg/ml 농도에서 복강세포의 nitric oxide 생산 유도능을 나타내었으며, lipopolysaccharides 자극으로 더욱 증가하였다. 반면, 비장세포의 증식유도능 및 interleukin-2 유도능에서는 각 시료 단독으로는 증식 유도 및 interleukin-2 유도능을 나타내지 않았으나 각각 lipopolysaccharide와 concanavalin A의 첨가 및 concanavalin A 자극으로 강한 증식유도능 및 interleukin-2 생산능을 나타내었고, 그 효과는 균사체 추출물에서 자실체 보다 더욱 높았다. 또 각 시료는 골수세포에 대해서도 약간의 증식효과를 보였으며, 복강세포의 탐식능을 나타내었다.

생약조성물(MH-30)의 면역조혈계 및 재생조직 방사선 손상에 대한 방호 효과 (Protective Effects of New Herbal Composition (MH-30) against Radiation Injuries in Hematopoietic and Self-Renewal Tissues)

  • 정우희;박혜란;이호용;백가영;조성기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5권7호
    • /
    • pp.948-957
    • /
    • 2016
  • 본 연구팀에서는 방사선에 의한 면역조혈계 및 위장관계 손상에 대한 방호를 위하여 당귀, 천궁, 작약 혼합물의 열수 추출물로부터 그 다당체 함량을 강화한 생약조성물 Hemo HIM을 개발한 바 있다. 본 연구에서는 열수 추출물에 기반을 두어 제조된 HemoHIM에 비하여 지용성 폴리페놀 성분을 강화함으로써 더 뛰어난 생리활성을 갖는 생약조성물을 개발하고자 30% 에탄올 추출과 열수 추출을 함께 시행하여 얻은 추출물을 기반으로 생약조성물 MH-30을 제조하였다. MH-30과 HemoHIM의 에탄올 분획 내의 성분을 HPLC로 비교 분석한 결과 수용성 성분에는 큰 차이가 없었으나 여러가지 지용성 성분이 MH-30에서 크게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특히 decursin의 함량은 8.7배로 크게 증가하였다. 다음으로 MH-30의 시험관 내 항산화 및 면역세포 활성화 효과와 방사선 조사 마우스에서 면역조혈계 및 재생조직의 방호 효과를 HemoHIM과 비교하여 관찰하였다. 항산화 활성을 비교하기 위한 시험관 내 hydroxyl radical 및 superoxide anion 소거 활성 평가에서 MH-30이 HemoHIM보다 높은 항산화 활성을 보였다. 림프구 증식능을 이용한 시험관 내 면역세포 활성화 시험에서는 MH-30과 Hemo HIM은 거의 비슷한 활성을 나타내었다. 방사선 조사 마우스에서 MH-30은 내재성 비장 조혈세포 집락수를 증가시키고 골수조직 내 세포사멸을 줄였으며, 위장관 재생조직인 소장움의 생존율을 증가시키는 등 방사선에 의한 면역조혈계와 재생조직 손상을 방호하는 효과를 보여주었다. 또한, 종합적인 방사선 방호 효과를 평가하는 지표인 방사선 조사 마우스의 30일 생존율도 MH-30 투여로 유의하게 증가함을 확인하였다. 특히 상기한 모든 마우스 실험에서 MH-30은 Hemo HIM보다 더 뛰어난 방호 효과가 있음을 관찰할 수 있었다. 이상의 결과들은 새롭게 개발한 생약조성물 MH-30이 면역 조혈계와 재생조직의 방사선 손상을 줄여주는 효과가 있으며 기존에 개발된 HemoHIM에 비해 더 뛰어난 활성을 갖고 있음을 보여주었다. 따라서 MH-30은 방사선 사고 또는 암환자의 방사선치료 시 발생할 수 있는 면역조혈계 및 재생조직의 손상을 경감시킬 수 있는 방사선 방호 물질로서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Effects of sodium diacetate on the fermentation profile, chemical composition and aerobic stability of alfalfa silage

  • Yuan, XianJun;Wen, AiYou;Desta, Seare T.;Wang, Jian;Shao, Tao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30권6호
    • /
    • pp.804-810
    • /
    • 2017
  • Objective: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 of sodium diacetate (SDA) on fermentation profile, chemical composition and aerobic stability of alfalfa (Medicago sativa L.) silage. Methods: Fresh alfalfa was ensiled with various concentrations of SDA (0, 3, 5, 7, and 9 g/kg of fresh forage). After 60 days of the ensiling, the samples were collected to examine the fermentative quality, chemical composition and aerobic stability. Results: The application of SDA significantly (p<0.05) decreased silage pH with the lowest value in silage with 7 g/kg of SDA. The proliferations of enterobacteria, yeasts, molds and clostridia were inhibited by SDA, resulted in lower ethanol, propionic and butyric acid concentrations and dry matter loss in SDA treated silages than control. The increasing SDA linearly decreased free amino acid N (p<0.001), ammonia N (p = 0.018) and non-protein N (p<0.001), while linearly increased water soluble carbohydrate (p<0.001) and peptide N (p<0.001). It is speculated that SDA accelerated the shift from homofermentative to heterofermentative lactic acid bacteria during the silage fermentation, indicated by lower lactic acid production in SDA-9 than SDA-7 silages after 60 days of ensiling. Alfalfa silages treated with SDA at 7 g/kg had highest Flieg's point and remained stable more than 9 d during aerobic exposure under humid and hot conditions in southern China. Conclusion: SDA may be used as an additive for alfalfa silages at a level of 7 g/kg.

벼메뚜기 건제품 저장중의 지질산화와 갈변 (Lipid Oxidation and Browning during Storage of Dried Grasshopper)

  • 이종호;김태수;최병대;김경업;이강호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16권4호
    • /
    • pp.294-299
    • /
    • 1987
  • 벼메뚜기 건제품의 가공저장중 품질의 열화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친 것으로 예상되는 지질의 조성을 분석하고 저장중 생성된 갈변반응물질이 지질산화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였다. 성숙한 벼메뚜기 암컷의 지질함량은 5.12%로서 인지질함량(27.35%)이 높았고 불포화지방산 함량이 68.18%나 되었다. 벼메뚜기 천일 및 열풍건조 과정중 COV는 크게 증가하였으나 POV는 거의 측정되지 않았다. 동결건조 과정중에는 과산화물과 카아보닐 화합물이 거의 생성되지 않았다. 저장중에 POV는 초기부터 급속히 증가하였으나 COV는 저장 98일까지 지속적인 증가를 보였고 저장 초기에 당-아미노반응에 의한 수용성갈변반응물질이 많이 생성됨과 동시에 환원당과 아미노질소 함량은 크게 감소하였다. 벼메뚜기 저장중 생성된 갈변반응물질이 지질화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결과 수용성 구분에서 지질산화의 억제효과가 다소 있는 것처럼 보였으나 지용성 구분에서는 산화촉진 효과를 나타내었다.

  • PDF

음나무 수피로부터 보체계 활성화 다당의 정제 및 특성 (Purif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Complement System Activating Polysaccharide from the Bark of Kalopanax pictus N.)

  • 신금;라경수;백기현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20권4호
    • /
    • pp.73-84
    • /
    • 1992
  • It was observed that the hot-water extract of the bark of Kalopanax pictus N. had the highest anti-complementary activity among the 11 kinds of forest materials. Methanol-and ethanol-soluble portions had low anti-complementary activities, but crude polysaccharide. HKP-0 had a high activity of 80%. HKP-0 contained 54.8% of total sugar and 27.9% of protein. The neutral sugars of HKP-0 consisted of mainly arabinose, galactose and glucose. HKP-4 fraction obtained by cetavlon treatment of HKP-0 showed the highest anti-complementary activity of 90%. The activity was not changed by pronase digestion bu decreased greatly by periodate oxidation. HKP-4 consisted of mainly arabinose and glucose with molar ratio of 1.0 : 22.4, HKP-4-I, an unabsorbed fraction from HKP-4 on DEAE Sepharose CL-6B column showed higher yield and activity than those of absorbed fractions. HKP-4-I was homogeneous, and its molecular weight was about 25,000. HKP-4-I contained 84.0% of neutral sugar and consisted of arabinose and glucose with molar ratio of 1.0 : 11.2. The anti-complementary activity of HKP-4-I was not decreased by the treatment of polymyxin B, and the polysaccharide activated both classical and alternative pathway in complement system. Void volume fraction obtained from HKP-4-I hydrolyzed with ${\alpha}$-amylase on Sephadex G-25 column only had a high anti-complementary activity.

  • PDF

Pharmacokinetic Behavior and Biodistribution of Paclitaxel-Loaded Lipid Nanosuspension

  • Choi, Sung-Up;Park, Jung-Min;Choi, Woo-Sik;Lee, Jae-Hwi;Choi, Young-Wook
    • Journal of Pharmaceutical Investigation
    • /
    • 제39권5호
    • /
    • pp.359-366
    • /
    • 2009
  • In this study, paclitaxel-loaded lipid nanosuspension (PxLN) was prepared and the in vivo profiles after intravenous administration in rats were investigated. We compared the manufacturing processes depending on the temperature: PxLN-H for a hot homogenization process and PxLN-C for solidification of lipid-drug mixtures by liquid nitrogen. Both formulations showed submicron size distribution and the similar drug loading efficiency of about 70%. In vitro release of PxLNs and Taxol$^{(R)}$ performed by a dialysis diffusion method showed similar pattern for PxLN-H and Taxol$^{(R)}$, but the reduced release profile for PxLN-C. PxLN or Taxol$^{(R)}$ was intravenously administered to the rats at a dose of 5 mg/kg as paclitaxel. The drug in blood samples were assayed by the HPLC/MS/MS method. The AUC$_t$ of PxLN-H was 3.4-fold greater than that of Taxol$^{(R)}$. PxLN-H gave higher biodistribution in all tissues than did Taxol$^{(R)}$. In addition, it maintained the higher drug concentration for 12 h. This lipid nanosuspension might be a promising candidate for an alternative formulation for the parenteral delivery of poorly water-soluble paclitaxel.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Antioxidative Compounds from the Aerial Parts of Angelica keiskei

  • Kim, So-Joong;Cho, Jeong-Yong;Wee, Ji-Hyang;Jang, Mi-Young;Kim, Cheol;Rim, Yo-Sup;Shin, Soo-Cheol;Ma, Seung-Jin;Moon, Jae-Hak;Park, Keun-Hyung
    • Food Science and Biotechnology
    • /
    • 제14권1호
    • /
    • pp.58-63
    • /
    • 2005
  • Ethyl acetate-soluble neutral fraction of hot water extracts from the aerial parts of Angelica keiskei showed a 1, 1-diphenyl-2-picrylhydrazyl (DPPH) radical-scavenging activity. Six antioxidative compounds were purified and isolated by various chromatographic procedures. Based on the analyses of FAB-MS and NMR, the isolated compounds were structurally elucidated as luteolin 7-O-${\beta}$-D-glucopyranoside (1), quercetin 3-O-${\beta}$-D-galactopyranoside (2), quercetin 3-O-${\beta}$-D-glucopyranoside (3), quercetin 3-O-${\alpha}$-D-arabinopyranoside (4), kaempferol 3-O-${\alpha}$-D-arabinopyranoside (5), and luteolin 7-O-rutinoside (6). The glycosides of flavonols and luteolin showed DPPH radical-scavenging activity. One molecule of 2, 3, 4, 6, 1, and 5 scavenged 4.2, 4.2, 4.1, 2.5, 2.2, and 1.4 molecules of DPPH radical, respectively.

해바라기의 붕소결핍(硼素缺乏) (Boron deficiency of sunflower (Helianthus annuus.))

  • 박훈;유익상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8권4호
    • /
    • pp.195-198
    • /
    • 1975
  • 해바라기의 생육불량(生育不良) 원인(原因)을 토양(土壤) 및 식물체(植物體) 분석(分析)에 의(依)하여 본 결과 붕소결핍(硼素缺乏)으로 나타났으며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붕소결핍(硼素缺乏)은 토양(土壤)의 유효붕소함량(有効硼素含量)(열수침출(熱水浸出))이 적은데 기인(基因)했으며 유효붕소(有効硼素) 임계농도(臨界濃度)는 0.17ppm으로 나타났다. 2. 식물체(植物體)에서의 임계농도(臨界濃度)는 화부(花部)(두부(頭部))에서 15ppm 근(根)에서는 10ppm으로 나타났다. 상위엽(上位葉)으로 갈수록 B함량(含量)은 상당히 감소하였다. 3. 붕소(硼素)가 적은 토양(土壤)은 Ca가 많았으며 유기물(有機物)이나 산도(酸度) 기타 양분(養分)과의 관계가 불확실했다. 4. 붕소결핍(硼素缺乏)된 식물체(植物體)는 Ca와 P가 두부(頭部)에는 높고 근부(根部)에 낮으며 N는 높고 K는 낮은 편이며 Mg와 Fe는 관계가 불확실했다. 5. 붕소결핍(硼素缺乏)은 줄기와 상부(上部)의 갈변고사(褐變枯死) 및 줄기와 뿌리가 부분적으로 파열(破裂)되고 흑변(黑變)하였다.

  • PDF

부추첨가 김치의 발효과정 중 펙틴질과 무기질 함량 및 조직감 (Contents of Pectic Substance and Minerals and Textural Properties of Leek Added Kimchi During Fermentation)

  • 김유경;이귀주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15권3호
    • /
    • pp.258-263
    • /
    • 1999
  • 부추를 첨가량을 달리하여 김치를 제조하고 15$^{\circ}C$에서 9일간 숙성과정 중 조직감과 이와 관련된 펙틴질과 무기질의 함량을 측정하고 김치의 조직감과 이들 함량과의 상관관계를 알아보았다. 또한 숙성 3일째와 9일째의 김치를 시료로 하여 관능검사를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숙성이 진행됨에 따라 모든 시료구에서 김치조직의 절단변형력은 증가하였다. 부추첨가량에 따른 차이는 미미하였으나 대조구가 숙성기간동안 대체적으로 높은 절단변형력을 보였다. AIS 내의 펙틴질 함량비는 숙성이 진행됨에 따라 대조구는 HWSP와 HXSP가 증가하였고 HCISP는 거의 비슷한 함량을 유지한 반면, 부추첨가구들은 대체로 HXSP와 HCISP은 증가하였고 HWSP를 감소하여 대조구와 다른 경향을 나타내었다. 김치 숙성 중의 무기질 함량은 부추첨가구들이 대조구에 비해 Ca 농도가 높았으며, Na과 K 농도는 낮았다. 김치의 적숙기인 3일째와 숙성말기인 9일째의 김치를 시료로 하여 종합적인 맛(외관. 향미, 신 맛), 조직감(단단한 정도, 아삭아삭한 정도, 씹히는 정도) 그리고 전체적인 선호도에 대해 관능검사를 실시한 결과 9일째 시료들이 더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으며(p<.05) 이는 종합적인 맛보다 조직감에서 더 뚜렷하였다. 부추첨가구들이 대조구보다 좋은 외관과 약한 신맛 그리고 단단한 정도가 높았으며 전체적인 선호도는 12% 부추첨가구가 가장 높았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부추첨가는 김치 숙성 중 김치의 조직감을 향상시키며, 특히 부추는 김치에 향긋한 풍미와 신선감을 증가시켜 관능적으로도 높은 기호성을 나타내는 효과적인 김치 부재료로 생각되어진다.

  • PDF

GABA 함량이 높은 갈색 유색미를 이용한 차 개발 (Development of Brown Colored Rice Tea with High GABA Content)

  • 곽은정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9권8호
    • /
    • pp.1201-1206
    • /
    • 2010
  • 갈색 유색미의 생산증대와 소비증진을 위한 방편으로 GABA 함량이 높은 갈색 유색미차를 개발하기 위한 기초연구를 행하였다. 이를 위해 볶음온도와 시간을 달리하여 갈색 유색미를 볶은 후 색도와 GABA 함량을 측정하였고, 이들의 분쇄물을 열수로 침출한 후 갈색도, 탁도, 환원당, 가용성 고형분, 총 polyphenol, pH와 같은 이화학적 특성을 측정하였다. 또한 $170^{\circ}C$에서 10, 20, 30분간 볶은 갈색 유색미의 차의 관능적 특성을 알아보았다. 볶음온도와 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갈색 유색미의 L값, a값, b값의 색도는 모두 감소하였고, GABA 함량도 낮아졌다. $170^{\circ}C$에서 10분간 볶은 경우의 GABA 함량이 6.83 mg/100 g으로 가장 높았고, $220^{\circ}C$에서 11분간 볶은 경우가 가장 함량이 낮았다. 갈색유색미 차의 갈색도, 탁도, 환원당, 가용성 고형분, 총 polyphenol 함량은 갈색 유색미의 볶음온도와 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였으며, pH는 이와는 반대로 감소하였다. 30분간 볶아 만든 갈색 유색미 차의 색, 향, 맛, 종합적 기호도가 가장 높았는데, 이는 다른 차보다 색, 향, 맛이 가장 강하였기 때문이었다. 이에 GABA 함량도 높고 소비자의 기호도를 만족하는 차를 개발하기 위해서는 GABA 함량이 높은 10분간 볶은 갈색 유색미와 30분간 볶은 갈색 유색미를 적절히 혼합하여 제조할 필요가 있을 것으로 생각되었다.